•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선택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8초

패밀리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restaurant's selection attributes are brand imag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 서경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11-1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에 대한 고객들의 선택속성 요인과 브랜드 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패밀리레스토랑의 하위요인인 브랜드, 매장, 가격이 고객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가격, 매장/서비스가치, 브랜드가치, 음식이 미치는 영향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브랜드 이미지와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 4가지(가격 속성,매장/서비스 속성, 브랜드 속성 음식 속성)중 중요도에 가장 유의한 관계에 있는 선택속성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청결 및 위생 상태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메뉴와 질로 나타났고,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 4가지 중 필요도에 가장 유의한 관계에 있는 선택속성은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영양이 풍부한 음식의 인식,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맛과 영양성, 패밀리레스토랑 매장의 음식의 메뉴와 질로 나왔다. 따라서 패밀리레스토랑을 선택속성 중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격속성과 매장/서비스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패밀리레스토랑 경영의 전략적인 방안을 통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의복관심 및 브랜드와 구매에 대한 태도 연구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다른 사람과 차별되며 특별하게 지각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의독특성 욕구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와의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 있어 문화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과정의 모형을 검증한 후, 두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대학생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85부-한국 271부와 미국 214부-만이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으며, Prelis 2와 Lisrel 8.53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소비자의 선택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모형의 구조에도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각 변수간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하위차원인 '독창적 선택'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두 그룹간의 반대의 성향을 보였으며, '비대증적 선택'과 '브랜드 인식'도 또한 한국 소비자는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미국소비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유사성을 회피하려는 한국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브랜드 충성도'는 두 집단 모두 '구매의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출 브랜드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브랜드 및 도메인 개발 컨설팅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The exploratory study on exporting brand strategy: Focused on the demand survey for brand & domain consulting)

  • 김귀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51-560
    • /
    • 2009
  • 최근의 글로벌 경영환경,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수출기업들의 브랜드 및 웹 도메인 개발에 관한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한 전략적 선택이다. 특히 웹 도메인 개발은 기업의 브랜드 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브랜드 개발 시 동시에 개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출기업의 해외 브랜드 및 웹 도메인 개발 전략에 관한 수요조사결과를 토대로 수출브랜드전략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기위하여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전략 결정요인으로 수출경쟁력, 시장의 유사성, 환경의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브랜드 전략과의 관계를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수출기업의 경우에 기대한 바와 같이 수출경쟁력이 높을수록 OEM브랜드 수출비중이 낮고, 환경의 불확실성이 클수록 OEM브랜드 수출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장의 유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브랜드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도 수출경쟁력이 높은 기업일수록 글로벌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고 환경의 불확실성이 클 경우에는 로컬브랜드 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시장의 유사성은 글로벌브랜드 전략 또는 로컬브랜드 전략과의 유의미한 통계적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다.

  • PDF

전통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자산, 브랜드태도, 브랜드애호도와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Culture Festival Storytelling, Brand Equity,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 이제용;유광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47-659
    • /
    • 2018
  • '천년의 기다림 세계인의 어울림! 인류무형문화유산인 2017 강릉단오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축제이다. 하지만 역사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축제 브랜드자산 가치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을 통한 축제의 브랜드자산, 브랜드태도, 브랜드애호도간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논문소재의 공간적 범위는 강릉단오제행사에 방문한 657명의 관광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가설검증결과 축제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이 브랜드자산에, 브랜드자산이 브랜드 태도와 애호도에, 브랜드태도가 브랜드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그 지역의 맞는 풍습을 찾아 지역전문가와 주민과 함께 지역 콘텐츠문화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스토리텔링의 선택속성을 살려 고유성의 전략이 우선시 될 수 있는 브랜드자산을 높여야 한다. 셋째, 축제인력으로서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역할을 구분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공개적인 참여를 통해 단계적인 발전을 이루어 내야 한다.

유통업체 브랜드(PB)와 제조업체 브랜드(NB) 상품의 속성별 소비자 선호 분석 (A Study on Consumer's Preference on Private Brand and National Brand by Characteristics)

  • 황성혁;구자성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4호
    • /
    • pp.47-70
    • /
    • 2008
  • 현재 유통업체 매장에 출시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소비자 선택은 무엇이며 이런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이와 경쟁하는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 사이에서 이를 선택하려는 소비자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제품의 속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브랜드 차이에 따른 소비자 선호가 실제로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 상품의 어떤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실제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과 제조업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브랜드의 차이를 가지고 구매 행위를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이 제품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품의 속성은 품질이었으며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란 속성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국내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브랜드(유통업체 브랜드 대 제조업체 브랜드)에 대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은 유통업체 브랜드와 제조업체 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아직까지 소비자가 유통업체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때 유통업체 브랜드를 제조업체 브랜드와 함께 고려 상표군(Consideration Brand Set)으로 아직까지 인식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의 선호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좀더 많은 마케팅 노력과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교차문화적 관점에서 경쟁적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거리 및 국가이미지 (Psychic Distance and Country Image Influencing on Consumers' Competitive Brand Choice on Cross-Cultural Perspectives)

  • 천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53-61
    • /
    • 2006
  • 교차문화적 관점에서 보면 일국의 문화, 그리고 현지국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태도는 글로벌 마케팅 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소비자 자민족 중심주의와 문화적 친근성이 심리적 거리와 국가이미지, 그리고 경쟁적 브랜드선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자료는 대인면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234명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친근성은 심리적 거리에는 부의 영향, 국가이미지에는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소비자 자민족 중심주의는 심리적 거리와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국가이미지는 경쟁적 브랜드 선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심리적 거리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몽골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매체와 판촉유형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ongolian Consumer's Korean Cosmetics Selection Attributes on Brand Relia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Advertising Media and Promotion Type-)

  • 간볼드 간둘람;장형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34-145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화장품 선택속성 (친숙성, 가격, 이미지 및 품질)이 몽골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광고매체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 간의 영향 관계와 판촉유형에 따른 구매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몽골 소비자 255명의 설문지를 수집하고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품 가격, 이미지, 품질은 브랜드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친숙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는 브랜드 신뢰도는 구매 의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매체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결과 제품 선택속성과 브랜드 신뢰도 간의 영향 관계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판촉유형은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 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기업이 몽골의 화장품 산업에 진출했을 때 현지에서 구사할 전략에 시사점을 도출한다고 할 수 있다.

체면민감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ce Sensitivity on Consumer's Choice of Luxury Product's Logo Size)

  • 조승호;조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500-5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체면민감성이 명품브랜드의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루이비통과 가격이 좀 더 저렴한 코론을 명품 브랜드로 선정하였고, 각 브랜드마다, 형태, 색상, 크기 등 외관상 구별이 되지 않는 제품에 세 가지 유형의 로고를 설계하였다. 첫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로고가 없으며, 두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작은 로고를, 세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큰 로고를 부착하였다. 본 실험에 총 115명이 참여하였으며, 참가자들은 20대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루이비통의 경우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상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주었으며, 코론의 경우도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남 녀 간 체면민감성 차이는 없었고, 루이비통의 로고사이즈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국소비자 특성과 구매성향이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Korea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Propensity to Purchase in Brand Choice)

  • 이형석;김철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321-339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 선택행위에 대한 설명과 예측에 유용한 이산적 선택모델들 중 널리 알려진 다항 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통해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 행동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화장지 시장을 중심으로 제조업자 브랜와 유통업자 브랜드간 경쟁상황을 파악하고 어떤 인구 통계적 특성과 마케팅 변수들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개개인의 시점별 구매기록이 담겨진 패널(panel) 자료를 연구목적에 맞도록 재구성하고 소비자의 구매시점별 브랜드 선택 확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구매자의 연령과 소득이 높을수록 제조업자 브랜드 구매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 장소가 달라짐에 따라 브랜드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백화점이나 대형할인점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판매촉진의 경우에는 고소득자는 오히려 구매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촉진의 형태가 사은품일 경우보다 가격할인이 일어날 경우에 구매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단계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명제조업자 브랜드 충성고객은 가격이 높을수록 구매확률이 증가하고, 유통업자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고객은 가격할인을 통한 판매촉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웨어 선택기준 집단의 추구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 (Sportswear Evaluative Criteria Segments: Benefits Sought, Attitudes toward Imported and Domestic Brands, and Sportswear Image Preferences)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42-1753
    • /
    • 2007
  • 본 연구는 스포츠웨어 선택기준으로 스포츠웨어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간 스포츠웨어 추구 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총 773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는 요인분석, 군집분석, t-test, 카이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결과 스포츠웨어 시장은 브랜드/디자인, 기능성 중심의 두 세분시장으로 나누어졌으며 두 세분시장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브랜드/디자인을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하는 세분시장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으로 이성어필/인상향상, 개성, 신분과시를 추구하며 해외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스포츠웨어를 선호하였다. 반면 기능성을 중시하는 세분시장은 편안함을 추구하였고, 국내 브랜드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단순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스포츠웨어를 선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