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라켓 탈락 양상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7초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OND STRENGTH OF RECYCLED BRACKETS)

  • 서정훈;최은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1-657
    • /
    • 1998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 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Flowable resin을 이용한 브라켓의 재접착 시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rebonded orthodontic bracket with flowable resin)

  • 김동우;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7-215
    • /
    • 2005
  • 본 연구는 교정 치료 중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 시 탈락 전과 유사한 위치로 재접착하기 위하여 브라켓 탈락 전 위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flowable resin을 이용하여 재접착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재접착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브라켓이 탈락된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산 부식 후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새로운 브라켓을 접착하는 통상적인 재접착 방법을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탈락된 브라켓과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치면을 산부식 후 탈락된 브라켓을 Transbond XT와 CharmFil Flow로 재접착한 군을 각각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군간 전단 결합강도를 비교하였으며 ARI score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였고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중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6.30\pm1.01MPa)$의 전단결합강도가 대조군$(6.51\pm1.21 MP3)$에 비하여 낮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34), CharmFil Flow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7.29\pm1.54MPa)$은 Transbond XT을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0.009). 탈락 양상을 관찰했을 때 대조군에서는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레진-치면 간의 파절 양상이 고르게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는 레진-치면간의 탈락 양상은 보이지 않았고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간의 탈락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재접착 방법과 flowable resin의 재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osteonectin 및 osteocalcin의 발현 (THE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OSTEOCALCIN IN THE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RAT)

  • 배성렬;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99-716
    • /
    • 1998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 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글라스 아이오노대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Tensil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s)

  • 변승민;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4
    • /
    • 1996
  • 브라켓 접착제로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복합레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교정영역에서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사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lonomer Cement(Shofu Co., U.S.A.)와 GC Fuji I(GC Co., Japan), KETAO 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 하였다가 증류수에 침 적 하여 $37^{\circ}C$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말-액 비율을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 (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Shofu Glaslonomer Cement와 GC Fuji I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2.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때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 (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 PDF

전단접착강도와 탈락양상을 고려한 브라켓-접착제의 선택 (A Study on Bracket-Adhesive Combinations in Aspect of Shear Bond Strength and Bond Failure)

  • 한재익;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5-974
    • /
    • 1998
  •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손상과 브라켓파절을 적게 일으키는 브라켓-접착제의 그룹을 찾아내기 위하여 전단접착강도, 법랑질손상, 브라켓탈락양상,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연구하였다. 교정치료 목적으로 발치한 240개의 치아를 각각 10개씩 2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브라켓을 접착한 후 48시간 후에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탈락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접착된 치아를 반으로 자른 후 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였다. 6종류의 브라켓과 4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되었으며 브라켓은 Image, Plastic, Crystaline, Fascination, Transcend, metal bracket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제로는 No-mix, Light-Bond, OrthoLC, Superbond C&B가 사용되었다. 이와같은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전단접착강도는 Fascination-Light Bond 군에서 36.58 Kg(410.07 Kg/$cm^2$)으로 가장 높았으며 Image-OrthoLC 군에 서 8.93 B◎ (75.51 Kg/$cm^2$)으로 가장 낮았다.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전단접착강도는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비교적 낮았다. 2.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Fascination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Image, Plastic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낮았다. Crystaline, Transcend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metal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와 비슷하거나 낮았다. 3. 전단접착강도와 법랑질 파절, 브라켓 파절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접착강도가 증가할수록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증가하였다. 4.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Superbond C&B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는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의 빈도가 높았다. 5. No-mix, Light-Bond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eramic bracket에서 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6.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을 일으키지 않는 군은 Crystaline-No mix, Crystaline Light Bond, Crystaline-OrthoLC, metal-No mix, metal-Light Bond, metal-OrthoLC군이였다.

  • PDF

도재브라켓의 제거방법에 따른 법랑질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학적 관찰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enamel surface by debracketing of ceramic bracket)

  • 박미숙;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13-622
    • /
    • 1996
  • 도재브라켓의 제거방법에 따라 법랑질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80개의 발거된 소구치를 대상으로 통법에 의해 도재브라켓을 부착시키고 일 주일후 각각 40개의 기계적 방법에 의한 제거군과 전기열전도 방법에 의한 제거군으로 구분하여 도재브라켓의 제거를 유도한 후, 그 탈락양상 및 도재브라켓과 법랑질 표면의 주사선사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전기열전도 방법에 의한 제거군을 다시 각가 10개씩 고속 tungsten carbide but에 의한 연마군, 저속 sof-lex disc에 의한 연마군, 고속 resin polishing bur에 의한 연마군, 그리고 초음파 치속제거기에 의한 연마군으로 분류하여 잔여레진의 연마를 시행한 후, 잔여레진의 평가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찰와이어 절단용 겸자를 이용한 도재브라켓의 기계적 제거시, 0.69의 평균 잔여레진 부착지수를 보임으로써 법랑질과 레진 경계부에서 파절이 가장 빈발한 양상을 보였다. 2) 전기열전도 방법을 이용한 도재브라켓의 제거시 2.19의 평균 잔여레진 부착지수를 보임으로써 브라켓과 레진 경계부에서의 파절이 가장 빈발한 양상을 보였다. 3) 기계식 방법으로 도재브라켓의 제거시, 법랑질표면의 주사현미경 관찰소견은 실험군의 $7.5\%$에서 법랑질표면의 탈락과 패임 등의 손상을 보였다. 4) 잔여레진의 제거의 고속 resin polishing bur사용군에서 가장 적은 잔여레진막을 보였다.

  • PDF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적용이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lorhexidine varnish applic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 임동혁;김태우;장영일;남동석;양원식;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5-22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르헥시딘 처리가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와 탈락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험군으로 4주간 4회의 클로르헥시딘 바니쉬를 도포한 22개의 사람 소구치를 선택하였고, 대조군으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22개의 사람 소구치를 선택하였다. 모든 치아는 $37\%$의 phosphoric acid gel로 부식시키고 교정용 브라켓을 같은 조건으로 부착시켰다. 전단접착강도의 측정을 위해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을 이용하였고, 법랑질과 브라켓 표면은 SEM으로 관찰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t-test를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클로르헥시딘의 법랑질 처리는 전단접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클로르헥시딘으로 법랑질을 처리한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브라켓 탈락 양상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클로르헥시딘으로 법랑질을 처리하여도 브라켓 접착에 유해한 작용이 없었고, 따라서 임상사용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한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과 브라켓 간의 결합 강도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enamel with a self-etching primer after bleaching and desensitizer application)

  • Attar, Nuray;Korkmaz, Yonca;Kilical, Yasemin;Saglam-Aydinatay, Banu;Bicer, Ceren Ozg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42-348
    • /
    • 2010
  • 본 연구는 미백, 탈감작제 도포 후, 셀프 에칭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브라켓 접착 시 법랑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48개의 소구치를 무작위로 12개씩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15% hydrogen-peroxide office bleaching agent (Illumine Office-IO), Group 2: IO +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3: Bis-Block Oxalate Dentin-Desensitizer, Group 4: 아무것도 하지 않음(대조군). 브라켓 접착 24시간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의 속도를 5 mm/min로 하여 브라켓이 탈락할 때까지 시행하였다. Modified adhesive remnant index를 이용하여 탈락 양상을 분석하였다. 미백만 시행,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 탈감작제만 도포한 경우 모두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p$ = 0.001), 이 세 실험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Group 1-Group 2, $p$ = 0.564; Group 1-Group 3, $p$ = 0.371; Group 2-Group 3, $p$ = 0.133). 세 실험군에서 브라켓의 탈락은 주로 법랑질-접착제 계면에서 발생하여 브라켓 베이스에 접착제의 100%가 남아있었다. 따라서 미백과 탈감작제 도포는 교정치료 후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과 인산으로 법랑질표면 처리후 전단결합강도의 비교 (A Comparison of shear Bonding Strength with Polyacrylic acid and Phosphoric acid Enamel Surface Conditioning)

  • 노정섭;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51-57
    • /
    • 2002
  • 이번 연구의 목적은 3가지의 서로 다른 법랑질 표면처리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각각의 경우 전단결합강도를 실험실에서 측정하고 비교해보는 것이다. (1)30% sulfated polyacrylic acid with 0.3M lithium sulfate (2)40% sulfated polyacrylic acid with 0.3M lithium sulfate (3)37% phosphoric acid. 105개의 사람의 소구치를 35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3가지의 준비된 용액을 분류된 각 군에 적용하고 동일한 자가 중합 레진을 사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부착하였다. 각각의 치아마다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브라켓을 제거한후 법랑질표면과 브라켓 베이스의 파절양상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0%와 40% 폴리 아크릴산을 사용한 군에서 측정된 전단결합강도는 37% 인산을 사용한 그룹의 2/3수준으로 임상적응용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충분하지는 않았다. 2. 폴리아크릴산 그룹간의 전단결합강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3. 브라켓의 탈락양상을 관찰한 결과 폴리아크릴산을 사용한 군에서는 브라켓과 접착제간의 파절보다 접착제와 법랑질간의 파절빈도가 높았다. 인산을 사용한 군에서는 폴리아크릴산의 군과 반대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폴리아크릴산을 임상에 사용하려면 전단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단결정형 세라믹 브라켓의 재접착 시 tribochemical silica coating이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bochemical silica coating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bonded monocrystalline ceramic brackets)

  • 전영미;손우성;강상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4-194
    • /
    • 2010
  • 본 연구는 탈락된 세라믹 브라켓을 tribochemical silica coating하고 nano-filled flowable composite resin (Transbond Supreme LV, 3M Unitek, Monrovia, Calif, USA)을 이용하여 재접착하였을 때 교정치료에 충분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총 60개의 소구치를 준비하여 다음의 4개 군으로 나누었다: Tribochemical silica coating (TC) + Transbond Supreme LV (LV), TC + Transbond XT (XT), Sandblast treatment(SA) + LV, SA + XT. 재처리된 세라믹 브라켓은 각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치아에 부착하였다. 시편들을 상온의 생리식염수에 1주일간 보관한 뒤 열순환을 시켰다. 만능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한 뒤 파절양상을 평가하였다. TC군은 임상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보였다(TCLV: 10.82 $\pm$ 1.82 MPa, TCXT: 11.50 $\pm$ 1.72 MPa). 하지만 SA군은T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전단접착강도를 보였다(SALV: 1.23 $\pm$ 1.16 MPa, SAXT: 1.76 $\pm$ 1.39 MPa, p < 0.05). LV군과 XT군의 전단접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CLV, TCXT군 모두 시편의 77%가 접착제에서의 파절을 보였고, 각 군당 1개씩의 시편에서 법랑질 파절이 관찰되었다. SA군은 모든 파절이 브라켓과 접착제 계면에서 발생하였다. LV군과 XT군의 탈락양상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면 nano-filled flowable composite resin과 tribochemical silica coating 처리를 이용하여 세라믹 브라켓을 재접착하면 충분한 전단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 단 법랑질 파절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탈접착 시 적절한 기구와 기술을 이용해 주의깊게 브라켓을 제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