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붕괴재난현장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Early Detection System Based on US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 조기감지시스템의 설계)

  • Ji, geun-seok;Min, byoung-won;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3-14
    • /
    • 2013
  •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의 안전관리를 위한 계측자료관리가 일부 시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관리기준과 계측기설치 기준 등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고 이를 제시하고 있는 매뉴얼 및 지침서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관리기관 재난관리 담당자들은 붕괴위험지역의 지반 침하, 붕괴 등에 따른 징후 파악 및 재해가 발생되어도 신속한 상황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계측관리에 전문지식이 없어 계측결과를 통보 받고도 적절한 판단이나 대책을 세울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 급경사지에 계측, 자료관리 시스템이 단위 현장별로 구축되어 있으나, 계측인력 및 전문 인력의 부족과 예산확보 등의 어려움으로 통합관리 인프라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재난 정보를 일반 국민들에게는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안전관리 및 인명피해예방을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인 USN 기반 조기감지시스템의 모델을 설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Anchored In-situ wall using Back-Analysis Technique (역해석기법을 이용한 앵커지지 흙막이벽체의 수치해석)

  • Woo, Je-il;Chung, Dae-seou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9
    • /
    • 2020
  • Purpose: In this study,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supplementing the field displacement prediction management technique was performed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IDAS GTS / NX program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Approximating the displacement data and displacement tren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llapse site, the collapse prevention method was applied after estimating the cause of collapse. Result: The cause of the collapse was estimated by soil parametar, one of the results obtained by performing the Back-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e length of the anchor was insufficient, and the free length of the anchor was changed by the collapse prevention method, and the displace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Conclusion: If Back-analysis technique is used in field management, estimating the cause of collapse and suggesting a reasonable collapse prevention measure will help to reduce collase.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Assessment of Lifeline Construction Technology for Buried Alive in Building Collapse (도심지 붕괴사고에 따른 매몰지역 생명선 시공기술 평가)

  • Ryu, Byung-Hyun;Kang, Jae-Mo;Lee, Jangguen;Kim, Young-Sam;Joo, Rak-B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9
    • /
    • pp.47-52
    • /
    • 2016
  • Unusual extreme weather events, which exceed a safe design capacity of the infrastructure, increase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has also been enlarged damage scale. Aging buildings and rapid urban progress act as weighting factors for the new composite disasters. Technological advances support detecting pre-disaster risk, real-time data analysis, and rapid response to the disaster site, but it is insufficient that emergency relief for buried alive must take advantage of the proven technologies through field test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directional drilling performance through underground soils and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primary lifeline installation in order to quickly provide relief supplies for buried alive when urban structures collapse.

Improving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Demander-Centered Approach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 방안)

  • Yoo, Hyun-Jung;Lee, Jae-Eun;Rho, Jin-Chul;Kim, Gyum-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5
    • /
    • pp.224-236
    • /
    • 2008
  • To enhance the quality of disaster management service, the paradigm shift is necessary from the supplier-centered approach to demander-centered approach. In this paper, demander means all the policy actors that participate in the field of disaster such as central & local governments, emergency rescue systems, civil volunteer groups as well as the disaster victim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urrent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demanders' point of view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n address suggestions based on each entity's recognitions and understandings re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Lack of systemicity in the current disaster management service. 2) The mutual distrust and understanding among the policy actors participating in the disaster site. 3) In the field of disaster, not only the disaster victims but also people related to entities are deprived of a stable living due to a long period of rescue activities. Furthermore, the conflicts derived from allocations of the aid fund can bring about the collapse of local community involved in disaster. 4) The life of the disaster victims that have been damaged mentally and financially is earnestly necessary to be conveniently served by disaster management service.

Performance Evaluation of LTE-VPN based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for Sharing Disaster Field Information (재난사고 정보공유를 위한 LTE-VPN기반 현장조사시스템 성능평가)

  • Kim, Seong Sam;Shin, Dong Yoon;Nho, Hyun J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602-609
    • /
    • 2020
  •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typhoon, landslide, and building collapse, the disaster situation awareness and timely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play a key role in the disaster response and decision-making stages for disaster management, such as disaster site control and evacuation of residents. In this paper, an exited field investigation system of ND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was enhanced with an LTE-VP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an effective on-site response in an urgent disaster situation and share observation data or analysis information acquired at the disaster fields in real-time. The required perform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e disaster field investigation system was then analyzed and evaluated. The experimental result for field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of a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investigation system showed that the UDP transmission performance of at least 4.1Mbps is required to ensure a seamless video conference system between disaster sites. 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bandwidth of approximately 10 Mbps should be guaranteed to smoothly share the communication and field data between the survey equipment currently mounted on the survey vehicle.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during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단체 테마 현장체험학습의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Bang, Sungmin;Kim, Chang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63-72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e of accidents and related issues related to Theme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security measures to prevent future incidents. Case studies of the sunken Sewol ferry and the collapse of the gymnasium at Mauna resort in Gyeongju a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existing literature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edia sources and related agencies. With a basis on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legal foundation and disaster and risk management systems (systematic revision of the laws, raised safety awareness among citizens, production and education of security managers, formation of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headquarters in case of emergency and installation of first aid facilities, improved national response system, enforcement of disaster drills, introduction of assessment system, etc.) must be establish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afer society.

A Study for Safety Management on the Basis of Lateral Displacement Rates of Anchored In-situ Walls by Collapse Case Histories (붕괴 사례를 통한 앵커지지 가설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속도에 의한 안전관리 연구)

  • Chung, Dae-Seouk;Lee, Yong-Beo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3
    • /
    • pp.367-378
    • /
    • 201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asonable safety management of the anchored in-situ wall systems constructed in the ground conditions consisting of multi-layered soils underlain by bedrocks in the urban area of Korea. Method: Field measurements collected from collapse case histories with deep excavations were analyzed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wall systems supported by the earth anchors in terms of lateral displacement rates. Results: The average maximum lateral displacement rate in a collapsed zone of the in-situ wall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completion of the excavation. Particularly, the collapse of the in-situ wall system due to the sliding occurring along the discontinuities of the rock produced a considerably large lateral displacement rate over a relatively short period. Conclusion: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wall system during or after the excavation work, the utiliza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criteria of the in-situ wall system by the lateral displacement rate was found to be much more reasonable in judging the safety of earthworks than the application of the quantitative management criteria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the excavation sites.

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for Large-scale Human Accident at Workplace for Efficiency of Disaster Response (재난대응 효율화를 위한 사업장 대규모 인적사고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정방안 연구)

  • Woo Sub Shim;Sang Beam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656-664
    • /
    • 2023
  • Purpos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anages disasters based on the standard manual for risk management of large-scale human accidents in workplaces when large-scale disasters such as fires and collapses occur in workplaces. We are going to check the standard manual currently in oper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insufficient items. Method: Accordingly, the standard manual was checked together with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in the disaster management manual and disaster management staff at headquarters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items to be improved were identified with priority. Result: In case of a collapse accident,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accurately present the selection criteria in order to eliminate the controversy over the selec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In addition, it seem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etails of the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and evacuation guidelines. Conclus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at meets the public's eye level, it is expected to prepare a standard manual for risk management of large-scale human accidents in workplaces that guarantees the lives and safety of workers through the collection of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disaster management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Applicability of AE for the Prediction of Rock Slope Failure (암반비탈면 붕괴시 예측가능한 AE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Lee, Dong-Keun;Kim, Yeon-Joong;Kim, Seok-Chun;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7 no.1
    • /
    • pp.25-34
    • /
    • 2011
  • In general, many instrumentations of slope rely on theory or experience because on-site accessibility and long term instrumentation are difficult to conduct the instrumentation of slopes. Also the prediction of disaster is very difficult. Therefor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an effective method to predict collapse of slope and on-site applicability in this study. The collapse of slope was able to be predicted by applying AE sensor which we call WEAD to the failure criteria. The parameters of AE generated during the collapse of slope were secured through bending shear test. Test co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slope with a history and a possibility of collapse.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AE parameters do not exceed the failure criterion and is found to be stable slopes. As the real symptoms of collapse did not appear, AE was found to have excellent applic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