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붕괴거동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llapse Modeling of model RC Structure Using Applied Element Method (AEM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모형 구조물의 붕괴 모델링)

  • Park, Hoon;Suk, Chul-Gi;Kim, Seung-K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9 no.1
    • /
    • pp.43-51
    • /
    • 2009
  • In order to analyze collapse behavior of structure containing irregular and large displacement, many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using a new method, Applied Element Method (AEM) for collapse analysis of structures, collapse behavior of model RC structures Is simulated. From these simulations results, displacement of X-direction (or horizontal) and displacement of Y-direction (or vertical) is similar to that of mode) RC structures. It is confirmed that collapse behavior of structures using AEN is reliable accurately simulated with that of model RC structures.

Collapse Behavior of Small-Scaled RC Structures Using Felling Method (전도공법에 의한 축소모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거동)

  • Park, Hoon;Lee, Hee-Gwang;Yoo, Ji-Wan;Song, Jeung-Un;Kim, Seung-Ko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7 no.5
    • /
    • pp.381-388
    • /
    • 2007
  • The regular RC structur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irregular RC structures by alternate load of RC structures during explosive demolition. Numerical simulation programs have contribut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large displacement collapse behavior during explosive demolition, but there remain a number of problems which need to be solved. In this study, the 1/5 scaled 1, 3 and 5 stories RC structure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To consider the collapse possibility of upper dead load, fabricated RC structures were demolished by means of felling method. To observe the collapse behavior of the RC structures during felling, displacement of X-direction (or horizontal), displacement of Z-direction (or vertical) md relative displacement angle from respective RC structures were analyzed. Finally explosive demolition on the scaled RC structures using felling method are carried out, collapse behavior by felling method is affected by upper dead load of scaled RC structures. Displacement of X and Z direction increases gradually to respective 67ms and 300ms after blasting. It is confirmed that initial collapse velocity due to alternate load has a higher 3 stories RC structures than 5 stories.

Impact energy absorption characteristics for metal and composite members (금속 및 복합재료 충격흡수부재의 에너지흡수특성 비교연구)

  • 전완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5
    • /
    • pp.15-2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 방안으로서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한 충격흡ㅅ수 구조재인 Side Member(측면부재)의 응용을 위한 시뮬레이션용 Box Tube의 충돌에너지 흡수특성 및 거동에 대해서 기존 금속 측면부재와 비교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1. 금속 충돌흡수 부재의 붕괴거동. 2. 복합재료 충격흡수부재의 붕괴거동.

  • PDF

Experimental Study on Influence of Levee Breach Depth on Flood Wave Propagation in Inundation Area (제방붕괴깊이 조건에 따른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9-90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에 의한 제내지 홍수파 거동 해석의 일환으로 제방붕괴시 제방의 붕괴깊이에 따른 제내지에서의 홍수파의 거동 양상을 수리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다양한 제방붕괴폭과 초기하도수위 및 제방붕괴고 조건에 대해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범람홍수파 선단(wave-front)의 이동속도는 동일한 하도수위조건에서는 붕괴고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방붕괴시 월류수심 $H_w$가 범람홍수파 전파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최대수심은 일정한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방인근 지점에서 최대수심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붕괴부로부터 일정 지점이 지나면 수위가 급격히 감소하여 거리에 관계없이 일정한 최대수심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 수위조건이라면 제방붕괴고가 낮을수록 제내지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여 초기에 제방붕괴부 주위에서 수심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범람홍수파의 전파속도와 최대수심을 산정하는 식을 무차원변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 PDF

Pier Stiffness and Bridge Collapse Mechanism (교각 강성과 교량의 붕괴기구)

  • Kook, Seung-Kyu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9 no.2
    • /
    • pp.187-192
    • /
    • 2016
  • While structures are designed within elastic range by other designs, plastic behavior of structures should be verified and controlled in order to prevent structural collapse by the earthquake resistant design. No Collapse Requirement for typical bridges is to avoid falling down of superstructure by way of plastic behavior of certain structural elements and to operate emergency vehicles after earthquake. Such plastic behavior is restricted to connections or pier columns and appropriate measures are required for each case. Earthquake Resistant Design part of Roadway Bridge Design Code provides design processes for Ductile Collapse Mechanism by forming plastic hinges at pier columns. Also for bridges with reinforced concrete piers ductility-based design processes are provided as an appendix constructing Brittle Collapse Mechanism with connection yielding. In this study, a typical bridge with steel bearing connections and reinforced concrete piers is selected and No Collapse Design procedure considering both Ductile and Brittle Collapse Mechanism is proposed together with revisions required for the Earthquake Resistant Design part.

Experimental Study on Effects of Levee Breach Width and Duration Time on Floodwave Behavior in Floodplain (하천제방 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이 제내지 범람홍수파 거동에 미치는 영향 검토 실험)

  • 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1-1285
    • /
    • 2006
  • 하천제방 붕괴시 홍수파가 제내지에서 거동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제내지에서의 범람형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제내지 지형 및 구조물과 초기 제내지범람상태, 하도형태, 홍수수문곡선, 제방붕괴시 붕괴면 경사 및 붕괴시간 등 많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폭과 붕괴지속시간에 따른 홍수파의 형태, 유속, 수심, 방향 등의 일반적인 법칙성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수조의 전체 크기는 가로 30m, 세로 30m이며, 수조 내부에 제내지, 제방, 하도를 제작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도는 폭 5m, 길이 30m이며, 제내지는 폭 28m, 길이 24m이다. 하도와 제내지의 하상은 수평이며, 시멘트 모르타르로 표면을 처리하였다. 제방붕괴 재현장치는 최대붕괴폭 4m, 높이 0.6m가 되도록 하였으며, 하도의 중간지점에 설치하였다. 하도에서의 초기수심은 $h_o$이며, 제내지는 건조상태이다. 제방붕괴장치의 개방속도는 $0{\sim}18cm/sec$범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실험결과,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지속시간은 제내지에서의 홍수파 전면(wave-front)의 이동속도와 제내지에서의 시간별 수심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내지에서의 최대수심은 제방붕괴폭과 제방붕괴 지속시간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loodwave by Inundation due to Levee Failure (제방붕괴에 의한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거동 실험)

  • Yoon, Kwang-Seok;Yeo, Kyu-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21-1025
    • /
    • 2005
  • 물리적 파괴력을 가진 하천의 유수 및 토사가 주택, 농경지, 시설 등에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저감하기 위해서는 홍수방어 및 조절 계획에 따라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적절히 강구해야 한다. 구조적 대책 중에서도 제방은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하천제방이 붕괴되었을 때 발생하는 홍수범람구역의 정확한 추정과 홍수파가 제내지에서 거동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는 홍수전에는 치수사업 계획시 좀더 정확한 경제성 분석을 하는데 필요한 입력자료와 효율적인 계획수립에 있어서 그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홍수시에는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고, 긴급한 수방대책을 수립하는데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내지 범람 홍수파에 대한 수치해석은 여러 차례 수행된 바 있으나, 범람홍수파의 수리특성 규명이나 수치모형 검증을 위한 수리실험은 거의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방붕괴의 원인에 따라 붕괴형태나 과정은 많은 차이를 보이겠으나 제방이 붕괴되는 과정에서 홍수류가 제내지로 어떠한 양상으로 유입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행된 실험을 분석한 후, 제내지 범람 수리실험 방안을 수립하였다. 본 논문은 제방붕괴에 의한 홍수범람에 대한 대피체계를 설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학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수리실험은 홍수터에서 홍수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방붕괴와 홍수터에서의 홍수파 유속, 최대수심, 수면곡선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Collapse Behavior in Industrial Stack Explosive Demolition (산업용 연돌 발파해체에서 붕괴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Pu-Reun Jeon;Gyeong-Jo Min;Daisuke Fukuda;Hoon Park;Chul-Gi Suk;Tae-Hyeob Song;Kyong-Pil Jang;Sang-Ho Cho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41 no.3
    • /
    • pp.62-72
    • /
    • 2023
  • The aging of plant structures due to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blast demolition. While blasting can reduc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ion by shortening the demolition period, improper blasting design and construction plans pose significant safety risks. Thus, it is vital to consider optimal blasting demolition conditions and other factors through collapse behavior simulation. This study utilizes a 3-D combined finite-discrete element method (FDEM) code-based 3-D DFPA to simulate the collapse of a chimney structure in a thermal power plant in Seocheon, South Korea. The collapse behavior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is compared to the actual structure collapse,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 presents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building demolition. Additionally, various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imney model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duct size in the pre-weakening area. The no-duct, duct, and double-area duct models were compared in terms of crack pattern and history of Z-axis displacement. The findings show that the elapse-time for demolition decreases as the area of the duct increases, causing collapse to occur quickly by increasing the load-bearing area.

PIV Measurement on Collapse Behavior of Cavitation (캐비테이션 붕괴거동에 관한 PIV 유동계측)

  • Gim, Ok-Sok;Han, Min-Su;Kim, Seong-Jong;Lee, G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30-131
    • /
    • 2013
  • 캐비테이션 현상은 고 유속 환경에서 발생(inception), 성장(growth), 붕괴(collapse) 및 소멸(disappearance)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며 그 과정에서 기포붕괴에 따른 큰 충격압력을 방지하려는 분야와 이를 능동적으로 산업분야에 적용하려는 분야로 크게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의 붕괴거동을 수중 초음파 진동자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PIV기법을 이용하여 유동장을 계측하였다. 초음파 진동자는 직경 16 mm이며, 진동주파수는 20 kHz, 진폭은 $5{\mu}m$, $10{\mu}m$, $30{\mu}m$$50{\mu}m$를 각각 적용하였다. 유동구조, 난류강도, 레이놀즈 응력에 대한 통계적 유동정보를 계측한 결과 충격압력의 원인으로 알려진 캐비티 붕괴로 인해 유동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of Building Structures with Infill Steel Panels (강판벽이 설치된 건물의 연쇄붕괴 저항성능)

  • Lee, Ha-Na;Kwon, Kwang-Ho;Kim, Jin-Ko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1
    • /
    • pp.19-26
    • /
    • 2012
  • In this study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 of a moment frame with infill steel panels is evaluated using nonlinear static pushdown analysis. The analysis model is a two story two span structure designed only for gravity load, and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is obtained with the center column removed. To obtain local stress and strain as well as the global structural behavior, finite element analysis is conducted using ABACUS. Through the analysis the effect of the span length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on the progressive collapse behavior of the structure is investigated, and the effect of the dividing the infill panel using stud columns is also stud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ickness of the panels required to prevent progressive collapse increases as the span length increases, and as the number of panel division increases the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increases slightly but the effect is not significant. It is also observed that when the infill panel is installed in only a part of the span the progressive collapse resisting capacity is somewhat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