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붉나무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2초

Mycoplasma 성(性) 붉나무빗자루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Mycoplasma-Like Organism Associated with Witches' Broom of Rhus javanica (I))

  • 김영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5
    • /
    • 1980
  • 붉나무빗자루병은 국내외적(國內外的)으로 처음으로 발견된 병(病)으로서 그 병원체(病原體), 병징(病徵), 전염경로(傳染經路) 항생물질반응(抗生物質反應)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1. 붉나무빗자루병의 병징(病徵)은 지엽(枝葉)의 총생(叢生), 기관(器官)의 위축(萎縮), 위황(萎黃), 화기(花器)의 엽화(葉化) 등 빗자루병 특유(特有)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2. 이병주(罹病株)의 총엽병(總葉柄) 및 주맥조직(主脈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에 의해서 관찰한 결과 사관세포(篩管細胞) 및 사부유세포(篩部柔細胞)에서 mycoplasma-like organism 이 관찰되었다. 3. 본(本) 병원체(病原體)는 unit membrane에 싸여 있고 이분(二分), 출아(出芽)에 의하여 증식(增殖)하며 사공(篩孔)을 통해서 식물체내(植物体內) 이동(移動)을 하는 것이다. 4. 이병엽(罹病葉) 주맥(主脈)의 사관세포(歸管細胞)는 위축(萎縮)되었고 각(各) 유관속(維管束)의 사부(篩部)는 분리(分離)되어 있는데 반하여 목부(木部)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병주(罹病株)의 엽내조직(葉內組織)은 선상표피(腺狀表皮)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전자현미경관찰결과(電子顯微鏡觀察結果) 도관세포(導管細胞)에는 이상결정물질(異常結晶物質), 호(好) osmium성(性) 과립(顆粒)들이 관찰되었고 엽록체(葉綠體)의 grana 구조(構造)가 미발달(未發達)되어 있었다. 6. 접목전염(接木傳染)이 용이(容易)하며 아접(芽接)이 절접(切接)보다 전염성이 높았고 접아(接芽)나 접수(接穗)가 활착되지 않았어도 전염은 가능했다. 그러나 즙액전염(汁液傳染), 충매전염(虫媒傳染)은 부정적이었다. 7. Teracyclin과 terramycin을 처리(處理)한 효과(効果)는 일시적이었으며 영구치료(永久治療)는 되지 않았다. 또한 근부침지(根部浸漬)가 엽면살포(葉面撒布)보다 반응(反應)이 좋았으며 농도(濃度)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1,000 ppm이 가장 효과적(効果的) 이었다.

  • PDF

붉나무.참싸리.비수리 종자의 침지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erminations in Soaking Treatment of Rhus chinensis, Lespedeza cyrtobotrya and Lespedeza cuneata)

  • 허영진;김민호;차고운;안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2-51
    • /
    • 2010
  • Herbs and shrubs are employed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purposes. Among common herbs and shrubs, few species with low germination rates were selected and studied for enhanced germination rates and decreased germination times via soaking treatment. Rhus chinensis, incubator grown samples treated with the bacterial solution for 72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26.7% and germination period of 5.7 days, 3 days decrease from the control. Treatment of distilled water (t=3.79, p<0.01), nutrient broth (t=4.44, p<0.00) and bacterial solution (t=4.42, p<0.00)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soil tests, treating in the nutrient broth for 72 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yielded the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23.3% with 7.3 days to initial germination, a decrease of 14.7 day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All the sample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2.13, p<0.05). Incubator grown samples of Lespedeza cyrtobotrya showed different results. The incubator samples suspended for 48 hrs in distilled water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and 1 day drying display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96.7%, surpassing that of the control by 33.4%.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the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showed enhanced germination. But only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for 48hrs showed the increased germination in soil tests. All the sample treated for 24 hrs followed by immediate seeding or dried for 1 day showed initial germination as early as 1 day in incubator. The initial germinations were shortened in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nutrient broth for 48hrs in soil tests. Lespedeza cuneata incubator sample treated with nutrient broth for 24 hrs and dried for 1 day exhibit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83.3%, a 31.1%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for 48 hrs (t=4.20, p<0.01) showed effective increase of germination. The treatment of distilled water (t=2.96, p<0.05) and bacterial solution (t=2.24, p<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ermination rates in soil were less than those of incubator and the control. The incubator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and bacterial solution displayed 1 day germination period, shortened by 1.3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For soil grown samples, the samples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showed delayed initial germination and those treated with nutrient broth for 48hrs and bacterial solution for 72hrs shortened initial germination.

수목종자 직파에 의한 암반절개사면 부분녹화 (Studies on Partial Revegetation of Rock Cut-Slope by Direct Seeding of Woody Species Seeds)

  • 홍성각;김종진;이덕수;이기철;윤택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1
    • /
    • 1999
  • 본 연구는 암반절개사면에 천공 또는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조성한(전사면의 $10{\sim}20%$) 식생기반에 자생수종(소나무, 붉나무, 담쟁이덩굴)의 종자 또는 파종립을 직파하여 식생을 도입하는 암반사면 부분 녹화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발아촉진처리된 종자에 피트모스, 진흙, 흡습제(3.5:1:0.2, v/v)를 피복한 파종립$(1{\sim}2cm^3)$은 대조구 종자보다 포장 및 현지 실험에서 발아율이 약 2배 더 높았다. 현지 실험에서 직파종자의 발아율 및 발아한 묘목의 생존율은 여름 및 가을철 직파시 보다 봄철 직파시에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현지 실험에서 공시 수종의 파종립과 종자의 발아율은 퇴비가 포함된 배양토에서 $0{\sim}3%$로 매우 낮았는데 퇴비는 발아종자 또는 유묘의 모잘록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묘의 생존율은 외부 침입 초본류에 의한 피압과 피압 받은 후 겨울철 건조에 영향받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공율이 낮은 여름철 직파법의 대안으로써 1998년 8월에 소나무, 담쟁이덩굴 2년생 포트묘를 암반절개지에 식재한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내 훼손지의 5년간(2010~2014년) 식물상 변화 (Change of Flora of Damaged Land in Juwangsan National Park for Five Years (2010~2014))

  • 유주한;김미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4호
    • /
    • pp.233-247
    • /
    • 2016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 내 훼손지의 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훼손지 발생 원인의 경우 조사구 1은 답압에 의한 식생 훼손, 조사구 2, 3, 4는 광암사 철거, 조사구 5, 6, 7은 내원마을 철거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전체 조사구는 인위적 교란과 간섭에 의한 것이다. 출현 식물상은 52과 109속 116종 2아종 17변종 등 135분류군이며, 조사구별 식물상 현황은 조사구 6이 가장 많은 52분류군, 조사구 1은 가장 적은 23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은 1분류군, 특산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0분류군, 귀화식물은 9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1분류군이다. 식피율 변화 분석 결과, 관목층의 경우 조사구 7이 $0%{\rightarrow}50%$, 초본층의 경우 조사구 5가 $75%{\rightarrow}95%$로 가장 많이 변하였다. 종수 변화의 경우 대부분 조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천이에 의해 다양한 종이 이입 또는 발생된 것이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이가 진행되어 발생된 것으로 주변 자연식생과 유사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우점종의 경우 관목층은 쇠물푸레나무, 싸리, 붉나무, 조록싸리, 버드나무, 등, 느티나무가, 초본층은 억새, 주름조개풀, 쑥, 바랭이새, 개망초이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 분석 결과, 귀화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감 현상이 있었으며, 도시화지수는 대부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도시화지수의 증가는 천이과정 상 선구식물인 귀화식물이 지속적으로 이입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산 옻나무과의 지리적 천연분포와 종의 특징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정재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5-173
    • /
    • 1995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옻나무과 수종을 대상으로 석엽표본 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하여 지리적 분포 현황을 확인하였으며, 자생지서 수한 잎과 화서,열매,동아,줄기를 관찰하여 종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옻나무는 우리나라 전지역에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추운지방에서 많은 재배를 하고 있었다. 잎은 개옻나무에 비해 두꺼웠으며, 열매는 황갈색이었다. 2. 개옻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먼 일부도서지방을 제외한 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엽병이 붉고, 열매는 6-7월에 성숙하며 강모가 있는게 특징이었다. 3. 산검양옻나무는 난대지방과 온대남부지방에 폭넓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36$^{\circ}$이남지방의 해안과 제주도를 포함한 도서지방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주맥과 2차맥의 형성각이 70$^{\circ}$이상이었으며, 잎과 엽병에 많은 털이 있어 검양옻나무와 구별되었다. 4. 검양옻나무는 난대수종으로 제주도와 남쪽 일부 도서지방에만 분포하고 있었으며, 제주도에는 큰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잎은 피침형 내지 장타원형이며 털이 거의 없는게 다른 수종과 구별되었다. 5. 붉나무는 난온대지방에 매우 폭넓게 분포하는 수종으로, 우리나라 전지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해조 800-900m에까지 분포하고, 원추화서는 8-9월에 가지끝에 달리는 것이 특징이었다. 6. 덩굴옻나무는 난대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연천군 광도와 상백도에 천연분포하고 있었으며, 낙엽덩굴성으로 잎은 삼출복엽이고, 질이며 광택이 있고, 뒤로 젖혀지는 특징이 있었다.

  • PDF

식물 추출물이 어유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Plant Extracts in Fish Oil)

  • 장지선;홍장환;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26-731
    • /
    • 2006
  • 식물 추출물들의 어유에 대한 항산화력을 rancimart test, 과산화물가, TBA, DPPH 소거능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44종 식물추출물을 1,000 ppm 첨가한 어유를 선 실험하여 대조구보다 induction period가 약 $1.5{\sim}3.1$배 증가된 결과를 보인 추출물 7종을 선별하여 주된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농도별(100, 200, 300, 500, 700, 1,000 ppm) rancimat test 결과 감자 추출물이 가장 연장된 induction period를 보였으며 붉나무는 첨가량에 따른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과산화물가와 IBA에서 감자와 붉나무의 항산화력이 보였으며, DPPH 소거능에서는 붉나무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난대지역 산림시업지 내의 벌채수준별 외생균근성 버섯 다양성 및 발생빈도 비교 (Comparisons of Diversity and frequency of Ectomycorrhizal Fruiting Bodies by Cutting levels in Subtropical Forest Areas)

  • 오광인;조덕현;장석기;김종영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34-45
    • /
    • 2002
  • 2001년 6월부터 10월(14회)까지 난대림 지역내 소나무ㆍ붉가시나무 임분의 벌채수준별 버섯 다양성 및 발생빈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 동안 동정한 균류는 총 1문 1아문 2강 3아강 5목 15과 30속 50종이었다. 진정담자균 강의 원생모균아강에서 1과 1속 1종, 모균아강의 주름버섯목은 7과 18속 37종, 민주름버섯목은 3와 6속 7종, 복균아강은 4과 5속 5종이 조사되었다. 2. 외생균근성 버섯은 총 5과 10속 22종 137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소나무 대상벌채지에서는 3과 6속 10종 79개체가 조사되었고, 붉가시림의 대상벌채지에서는 4과 5속 9종 24개체, 정량간벌지에서 3과 4속 10종 25개체가 각각 조사되었다. 3. 기주선택성에 있어 제주쓴맛그물버섯은 소나무림 조사지의 편백나무 뿌리 및 지표면에서 만발생되어 편백나무에 대한 선택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는 두 지역에서 모두 조사되어 기주의 선택성이 넓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외생균근성 버섯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상대습도와 강수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김삼식;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51-16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 6식종(植種)과 외래(外來) 2식종(植種)을 대상(對象)으로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조사(形質調査), 엽맥상(葉脈相)의 특징(特徵) 조사(調査),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기공(氣孔)과 잎의 epidermal 세포(細胞)의 구조특성(構造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대한 분류군간(分類群間)의 각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의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에 의(依)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산검양옻나무, 미국털옻나무, 검양옻나무 유집군(類集群)과 개옻나무, 붉나무, 옻나무 유집군(類集群) 및 덩굴옻나무, 미국덩굴옻나무 유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엽형질(葉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서는 Eigenvalue 1.0이상(以上)인 제(第)3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2.6%로서 설명력(說明力)이 높았다. 2. 엽맥(葉脈)의 형태(形態)와 2차맥(次脈)의 분지각(分枝角)에 따라 망상(網狀), 곡주맥(曲走脈)과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2차맥(次脈)의 발달(發達) 정도(程度)에 따라 종(種)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하였으며, 종검색표(種檢索表)를 작성(作成)하였다. 3. 기공(氣孔) 형태(形態)는 paracytic과 anomocytic형(形)으로 구별(區別)되었으며, 기공지수(氣孔指數)에 따라 종간(種間)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또한 잎 표면세포(表面細胞)의 구조(構造)와 형태(形態)도 synclinal과 anticlinal cell wall pattern으로 구분(區分)되어 종간(種間)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기법을 통한 제주 자생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Evalu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ju Seaweeds Using High Throughput Screening (HTS) Technique)

  • 김길남;허수진;차선희;전유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70-177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산 해조류의 생리활성을 대량검색하기 위해 HTS 기법을 이용한 실험과정의 제어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DPPH 라디칼을 이용하여 HTS를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제주산 해조류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대량 검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HTS를 위한 효율적인 검색방법을 개발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은 해조류를 검색하게 되었다. 녹조류의 경우 납작파래 (20G6)의 $20^{\circ}C$ 추출물(1 mg/ml)에서 약 60%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을 뿐 나머지 해조류에서는 40% 미만이 낮은 활성만을 보였다. 갈조류의 경우 꽈배기 모자반 (20B17), (70B17), 참그물바탕말 (70B1), 큰잎모자반 (70B16)과 감태 (70B26)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였다. 홍조류 중에서는 왜떨기나무붉은실 (20R24)에서 가장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갈래잎 (20R17), 굵은참우뭇가사리 (20R18), 부채분홍잎 (20R23) 또한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던 해조류를 대상으로 용매분획 및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통해 해조류 유래의 기능성 신소재를 개발한다면, 해조류의 고부가가치화 및 HTS기술의 보편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