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포화 지방산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8초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의 지방산의 정량 정성 및 산화안전성 평가

  • 박남영;조희정;전진영;김진숙;이지영;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416-4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성 유지인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을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해 각 유지별 지방산의 정성, 정량하였으며 이들 유지의 산화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산화적 반응의 기작의 생성물인 휘발성 분해 산물인 Pentanal 생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1. Soybean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7.79%, 포화지방산은 12.21%를 차지했으며 Olive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2.77%, 포화지방산은 17.23%를 차지했다. Hot pepper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5.42%, 포화지방산은 14.58%를 차지했다. 2. 콩기름, 올리브기름, 고추씨기름의 pentane의 함량은 43.4, 30.4, 19.7nL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고추씨기름이 다른 유지에 비해 산화에 대하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험에 선택된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에는 포화 지방산보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해 식품으로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체내 생체 활동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패도 비교 평가에서는 hot pepper seed oil이 olive oil이나 soybean oil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어 다른 유지보다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까치복 알의 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pid Composition of Egg from Fugu xanthopterus)

  • 이민경;조용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8-212
    • /
    • 1997
  • 까치복(Fugu xanthopterus) 알을 총지질 함량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조성별 분획하여 얻은 TG, 인지질, wax ester의 지방산과 wax ester의 알코올 조성을 GC로 분석하였다. 까치복 알의 총지질 함량은 12.6%였고 알 지질의 분획별 함량에서는 TG가 59.37%로 가장 많았고 인지질이 15.46%였으며 wax ester가 6.9%로 나타났다. 까치복 알의 지방산 조성은 각 분획마다 DH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A, EPA의 함량도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인지질 분획에서는 DHA가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35.3, 27.4, 37.3%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까치복 알의 wax ester의 지방산 분획에서는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5.8, 47.0, 47.4%로 나타났는데, 알코올 분획에서는 C16:0가 62.6%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포화 알코올이 86.3%로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 불포화 알코올은 1.2%의 아주 낮은 함량을 보인 것이 특징적이었다.

  • PDF

포화·불포화 지방산 함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 성능 (Biogas Produc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 김수아;방연규;김상헌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27-127
    • /
    • 2017
  • 우리나라 음식물 폐기물은 수분함량 및 유기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부패와 악취, 침출수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이를 혐기 소화 처리한다면 구성성분에 따라 60-80%가 생분해되어(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2001) 친환경적으로 처리가능하고, 혐기소화 결과물로 발생한 메탄가스를 대체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어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은 계절 및 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의 비가 다르며, 성분 중 지방 함량이 많을 때 바이오가스 생산이 지연되어 생산효율 감소의 주된 원인이 된다(Kafle and Kim, 2013). 전국음식물 폐기물 중 지방함량이 높은 어육류의 발생량은 3차 조사(환경부, 2008)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향후 음식 섭취의 서구화로 인한 육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환경부,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함량이 높은 유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지방산 종류에 따라 포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부산물의 혐기소화 능력 및 바이오가스 생산 성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수준인 부산물의 바이오가스는 629.96-749.14 mL/g VS 이며,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수준의 부산물은 560.18-715.43 mL/g VS 였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25.31%-46.26%로 많아질수록 초기 순응기간은 13일에서 25일로 증가하였고, 총 바이오가스 생산량의 90%가 생산되는 기간인 T90은 57일에서 72일로 증가하여 바이오가스 생산 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화 지방산은 함량이 24.10-48.74%로 증가할수록 초기 순응기간의 변화는 없었고, T90은 69일에서 62일로 감소하였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유기물은 모두 바이오가스 생산 과정에서 2단계의 지연현상을 보였지만, 포화지방산은 함량이 증가하여도 1단계의 지연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방산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차이(Diana, 2007)와 불포화 지방산의 굴곡된 형태가 지방산과 미생물이 상호 작용 방식에 악영향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Diana, 2013). 결론적으로, 두 지방산의 소화 방식은 차이가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많은 유기물은 탄수화물 함량이 많은 유기물을 10% 이상 혼합하여 지연상을 감소시킬수 있다(Kim, 2017). 포화 지방산 함량이 많은 유기물은 초기 지연 현상 해결을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 PDF

오리의 비밀-오리기름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46호
    • /
    • pp.78-79
    • /
    • 2007
  • 오늘날 질병은 과거의 질환이나 섭생부주의로 오는 것이 아니라 호흡과 음식물의 섭취를 통해 체내에 유입돼 축척되는 온갖 독성물질과 중금속, 유해물질이 면역체계를 약화시켜 발생한다는 것이 지금의 의학계 소견이다. 오리의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이 다른 육류와는 크게 다르다. 포화 지방산이 20% 정도인데 불포화 지방산이 70% 이상이다. p/S비율(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포화 지방산 함량으로 나눈 값)은 3.4이며 포화 지방산인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육류에 비해 적다. 또한 콜레스테롤 함량도 적은 편이다.

  • PDF

아실체인 구조가 효소 Lipase-OF 360,000에 의한 지방산의 가수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yl Chain Structure on the Hydrolysis of Fatty Acids from Fish Oil by Lipase-OF 360,000)

  • 허병기;우동진;박경원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72-75
    • /
    • 2000
  • Candida cylindracea 유래의 효소 Lipase-OF 360,000을 사용하여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각 지방산의 가수분해 특성을 규명하여 보았다.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지방산중 $C_{14.0}$, $C_{16.0}$$C_{18.0}$의 포화지방산과 이중결합이 하나인 $C_{16.1}$, $C_{18.1}$(n-7), $C_{18.1}$(n-9), $C_{20.1}$$C_{22.1}$의 불포화 지방산은 $\omega$-3 다중불포화지방산에 비하여 쉽게 가수분해되었다. $\omega$-3다중불포화지방산중 탄소수는 동일하나 불포화도가 상이할 경우 불포화도가 낮은 지방산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보다 쉽게 가수분해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불포화도는 동일하나 탄소수가 다른 경우 탄소수가 적은 지방산이 탄소수가 많은 지방산보다 쉽게 가수분해되었다. $\omega$-3 다중불포화지방산중 가수분해 반응 후 모노-, 디- 및 트리-클리세라이드 혼합물에 가장 많이 농축되는 지방산은 DHA로 물고기 기름을 구성하는 총 $\omega$-3 지방산의 31.87%에서 가수분해반응 120시간 후에는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을 구성하는 총 $\omega$-3 지방산의 51.89%까지 증가하였다.

  • PDF

고온(高溫)과 재배광도(栽培光度)가 인삼(人蔘) 잎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Growth Light Intensity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 박훈;박현석;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66-371
    • /
    • 1986
  • 광도(光度)가 다른 포장조건에서 자란 6년근 인삼잎과 온도별 20시간 처리된 관행재배 6년근 절제엽중(切除葉中)의 지방산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재배광도(온도)가 높을수록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다. Linoleic, linolenic, palmitic과 palmitoleic acid가 다량(多量)지방산으로 80%였다. 지방산 조성의 유사도는 광도 20%까지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30%에서 차이를 보여 20%가 재배 한계 광도인 것 같다. 재배광도가 높을수록 불포화 지방산비율이나 불포화대(不飽和帶)의 비율이 적어져서 고온에 대한 적응 기작으로 보였다. 30% 수광율과 수확기잎이 지방산특성이 유사하였으며 고온적응과 노화(老化)의 관계가 불분명(不分明)하였다. 단시간(短時間)의 고온처리 ($25^{\circ}$$35^{\circ}C$)는 지방산함량, 불포화산비율 및 불포화도의 비율을 증대시켰고 지방산 조성이 유사하여 장기 온도효과와는 반대의 결과였다.

  • PDF

배양 조건을 달리한 Dunaliela tertiolecta의 조체내 지방산 분석 (Evaluation of Fatty Acids in Dunaliela tertiolecta, in Various Culture Conditions)

  • 윤덕현;전중균;박철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3-51
    • /
    • 1989
  • 녹조 편모류인 Dunaliella tertiolecta Butter를 광도, 광주기 및 온도 조건을 달리하여 배양한 후 조체내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광주기와 온도 조건은 D. tertiolecta의 성장에 뚜렷한 영향을 주었고, 성장기에 최대 세포수는 $2.32{\times}10^6$, 세포 분열율은 1.97 division/day였다. 여러조건에서 배양한 조체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Cl6(Palmitic acid), C18 : 3$\omega$3 (cis-Linolenic acid)가 주성분이었으며 EPA나 DHA와 같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은 소량 검출되었다. 불포화 지방산(Polyene)은 배양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되었으며, 광도는 불포화 지방산 함량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광주기 조건에서, 명주기를 오래할수록 D. tertiolecta의 성장은 증가했지만, 반면에 조체내의 불포화 지방산(Polyene)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트랜스형 불포화 지방산이 mice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unsaturated Fatty Acid on Serum Lipid Levels in Mice)

  • 유선녕;안정빈;박은영;이선정;탁민지;김광연;김상헌;김기대;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126-113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형태의 지방산이 ICR mice의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주령 수컷 ICR mice를 일반 식이섭취군(C), 10%의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1), 30%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2), 50% 트랜스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TFA-3), 50% 포화 지방산 섭취군(SFA), 불포화 지방산 섭취군(USFA) 으로 나누어 식이 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TFA-3 군과 SFA 군의 지질함량이 다른 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중성지방지수 역시 높게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수치를 이용하여 나타낸 LDL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도 50%의 트랜스 지방산을 섭취한 군에서 포화 지방산을 섭취한 군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10%, 30%의 트랜스 지방산을 섭취한 군에서는 일반식이 섭취군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많은 양의 트랜스 불포화지방산을 짧은 기간 동안 섭취하더라도 포화지방산을 섭취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산 "김"의 성분에 관한 연구 (II) -유리 지방산에 대한 연구- (Studies of the Components of Purple Laver(II) -On Free Fatty Acids-)

  • 국채호;조윤상;주상섭
    • 생약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1-216
    • /
    • 1974
  • 시판(市販) ${\ulcorner}$${\lrcorner}$의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을 20% DEGS (diethyleneglycol succinate) 칼람을 장치(裝置)한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를 사용하여 separation factor 및 oxymereuration-demercuration법(法)을 이용(利用)함으로써 23종(種)의 지방산(脂肪酸)을 확인(確認)하였으며, 가스 크로마로그람의 면적(面積)으로부터 그들을 각각 정량(定量)하였다. 진기(珍奇)한 산(酸)은 존재(存在)하지 않았으며, $C_{22}F{\times}1,\;C_{26}$, oleic acid, palmitic acid가 거의 60%를 차지했다. Oxymercuration-demercuration법(法)에 의(依)하여 분리(分離)된 불포화 지방산(脂肪酸)중에서 $C_{13}F{\times}1,\;C_{18}F{\times}1,\;C_{20}F{\times}1$는 명명(名名) 두 개(個)의 기하이성체(幾何理性體)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쇄상 포화 지방산(脂肪酸) 및 $F{\times}1$$F{\times}2 $의 쇄상 불포화 지방산(脂肪酸)은 $R_{USEVA}-A_{TANSONA}$$M_{URRAY}$등이 언급(言及)한 바와 같이 지방산(脂肪酸)의 탄소수(炭素數)에 대해서 $t_R\;(retention time)$을 semi-log plot를 하였을때 직선(直線)을 주었다.

  • PDF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1보. 화학성분 조성-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 조재선;조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57-261
    • /
    • 2003
  •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밤꽃에는 sucrose와 maltose가 많은 반면, 밤잎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탄닌은 밤잎에 1.98%, 밤꽃은 0.16%로 밤잎이 12배정도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밤꽂과 밤잎에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밤꽃의 불포화 지방산은 61.4%, 포화 지방산은 23.1% 였으며, 밤잎은 불포화 지방산이 76.4%, 포화 지방산이 17.1%로 나타나 밤잎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밤꽃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의 많은 순이나, 밤잎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밤꽃에는 aspartic acid와 proline이 가장 많았고, 밤잎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밤꽃이 230.33mg/100g 인데 비하여 밤잎은 1,550.36mg/100g로 약 6.7배나 높았다. 무기질은 밤꽃과 밤잎 모두에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a, Mg, Fe, Mn,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밤꽃과 밤잎 중에ascorbic acid가 각각 5.2 mg/100 g 및 6.4 mg/100 g 함유하고 있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모두 trace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