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완전 척수손상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sual Biofeedback Simulation Training for Balance in Patient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 박창식;강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4-203
    • /
    • 2011
  •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의 적용을 통해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불완전 척수손상환자 중 기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ASIA장애척도 C, D환자 15명을 실험군 7명, 대조군 8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균형진단과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가능한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을 6주간 일주에 3회씩, 1회에 15분간 총 18회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집단 내 전과 후의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시행하였고, 두집단 사이 전후 변화량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자세 흔들림을 측정하는 안정성지수와 낙상의 위험정도를 나타내는 낙상지수 및 각각의 체중 변화를 감지하는 체중분포도(A, C, D, LEFT, HEEL)와 체중분포지수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자세조절능력을 나타내는 동조화에서는 좌우뒤꿈치(AC)간과 좌우앞꿈치(BD)간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대조군은 체중분포도(A, C, LEFT)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변화량에서 체중분포도(A, B, C, HEEL)와 안정성지수 및 낙상지수, 그리고 동조화 AD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에게 부가적으로 균형증진을 위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시뮬레이션훈련은 균형능력향상에 있어서 유용할 것이며 추후 더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불완전 척수손상자의 퇴원 후 운동훈련의 효과 사례보고 (Effects on Exercise Training in person with Incomplete Hemisection cord injury after Discharge)

  • 박미희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1
    • /
    • 2005
  • 이 사례연구는 2002년 10월 15일 칼에 의한 좌상으로 경추 3-4번의 불완전 척수손상을 입은 25세의 남자 환자가 최초 병원에서 2002년 12월 한달 간의 치료를 마친 후, 2003년 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태릉에 위치한 N 재활센터에서 주 5회 2시간의 자세조절 훈련, 심폐지구력 훈련, 웨이트 훈련, 스포츠(축구, 소프트 볼), 여가활동(등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손상 환자의 사회적응을 돕기위한 재활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한 기초 선행 작업으로 시작되었다. 신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수동근력검사(Muscle Manual Test), 경직(Spasticity), 신체체력(Physical Fitness), 발란스(Balance: one leg stand), 상대적인 등속성 하지근력(Isokinetic Muscle Strength) 그리고 신체조성(Body Composition)로 하였다. 재활기간을 통해 처음 시작 일자에서 45일 간격으로 3차례의 측정을(1월 3일부터 4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실시하였다. 최초 환자의 상태는 부분적으로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상태로 동작을 시작하려 할 때 경직이 발생되어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했으며, 작은 물건 잡기와 글씨쓰기, 타이핑 작업은 불가능 한 상태였다. 또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활동 역시 불가능 한 상태였다. 3달 15일간의 기간 동안 환자는 복학을 준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신체조성은 재활 훈련을 통해 체중, 체지방율(%), 복부지방율(WHR)의 많은 감소를 가져왔다. 경직을 측정하는 Ashworth Scale은 정상에 가깝게 감소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고관절, 무릎, 발목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수동근력검사(0-9)는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신체체력능력 항목에서 근지구력의 윗몸일으키기와 팔굽히기, 악근력, 유연성으로 앉아 체간 숙이기, 민첩성으로 사이드 스텝, 순발력의 서전트는 모두 크게 향상되었다. 환자의 일상능력에서도 옷을 입고 벗기, 신발 신고 벗기, 운전, 식사, 보행과 계단보행, 경사보행에서 보조자의 도움이 필요없었으며, 타이핑 작업은 5손가락을 모두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1분에 80타로 큰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축구와 소프트볼, 등산을 달에 1회 정도 실시하여 약간의 도움만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척수 손상 환자의 중추성 통증에 대하여 시행한 Microsurgical DREZotomy의 효과 (Microsurgical DREZotomy for Treatment of Intractable Central Pain in Patient with Spinal Cord Injury)

  • 이지인;김성호;안상호;장성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49-54
    • /
    • 2002
  • 척수손상 환자에게 동반되는 통증은 흔하지만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환자들의 일상생활에 더욱 장애를 줄 수 있는 합병증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3년 전 외상성 척수손상으로 인하여 불완전 하지 마비 소견을 보였던 52세 된 남자 환자로 손상 직후부터 발생된 양측 T10위치의 분절통과 손상 1개월 후부터 발생된 양하지 통증이 있어 약물요법,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 등의 여러 가지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아 DREZ(Dorsal Root Entry Zone)otomy 수술을 시행한 후 분전통이 호전된 증례가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척수손상 후 통증의 경우 DREZotomy 수술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척수손상환자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by the Spinal Cord Injury on Quality of Life)

  • 이원우;김희정;권혁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04
    • /
    • 2012
  • 목적 : 척수손상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여가활동으로 보고, 여가활동이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작업치료 중재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9개 기관에서 척수손상환자 12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94부를 대상으로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 검증과 일원변량분산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척수손상부위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마비정도에 따른 여가만족도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05). 결론 : 요수손상환자의 여가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불완전손상일수록 여가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가활동 유형이 여가만족도와 삶의 질에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손상자의 어깨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oulder Pain on the Quality of Life of Manual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ies )

  • 이정규;강모열;전은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33-4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수동휠체어를 주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며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척수손상자를 대상으로 어깨통증 발생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어깨통증과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한 대상자 수는 탈락률과 불완전 응답률을 고려하여 총 182명을 산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14명을 제외한 최종 168명을 분석하였다. 휠체어 사용자의 어깨통증 측정을 위한 한국어판 휠체어 사용자 어깨통증 지수(Wheelchair User's Shoulder Pain Index, WUSPI) 15문항, 삶의 질 평가를 위한 한국어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단축형(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WHOQOL-BREF) 26문항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WUSPI 총점은 50.75점으로 나타났으며, 휠체어를 사용한 이동 영역과 머리 위 활동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WHOQOL-BREF 전체 총점은 70.48점, 평균은 2.71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WHOQOL-BREF 전체 평균 3.11점, 근골격계 만성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의 WHOQOL-BREF 전체 총점 77.92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 : WUSPI와 WHOQOL-BREF 총점을 비롯한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 전반적인 삶의 질과 만족도 영역, 사회적 영역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어깨통증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를 비롯한 임상 전문가들은 수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손상자에게 어깨통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한다.

맥동전자장이 불완전 척수손상 흰쥐의 기능회복과 GAP-4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GAP-43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in Rats)

  • 방현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49-356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o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GAP-43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SCI) in rats. Methods : To confirm the damage of SCI and effect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2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used and divided randomly 2groups (SCI, PEMF). Incomplete SCI was induced by using modified NYU drop model. After operation, functional recovery test,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measured at 1, 2, 3 weeks.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were apply three weeks (one times a day, five days a week and twenty minutes a session). Results : In the this study, applications of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after incomplete SCI induc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neurotrophic facto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ot print test, PEMF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SCI (p<.05). Expression of GAP-43, PEM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SCI at 2 and 3 weeks (p<.05). Conclusion : In conclusion,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were positive effect in functional recovery and expression of GAP-43 after incomplete SCI in rats.

척수신경손상 환자의 보행훈련 전.후의 능동적 근육제어의 변화 (Voluntary Motor Control Change after Gait Training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 임현균;이동철;이영신;셔우드아더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3-14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보행훈련 전후에 실시된 보행속도 측정 결과와 누운 자세에서 능동적 발목 배굴시의 근전도 활동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9명의 불완전 척수손상 환자들이 3개월 동안 하루 20분 주 5회로 이루어진 체중부하 감소장치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보행훈련 (STAT supper-ted treadmill ambulation training)에 참가하였다. 보행속도 실험과 능동운동 실험은 보행훈련 시작 및 종료된 시점의 동일한 날, 혹은 같은 주에 실시되었다. 환자의 능동운동시의 표면근전도 값을 측정하였고. 동일한 운동시 열명의 건강한 피실험자들로부터 측정된 근전도값을 기준값으로 비교하는데 사용하였다 하지 열곳의 근육에서 측정된 표면근전도 값은 반응벡터 (response vector)라고 명명되었고 크기 및 근육 제어 분포 패턴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속도는 0.47$\pm$0.35 m/s에서 0.68$\pm$0.52 m/s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근전도 해석결과에서는 우측 발목관절 배굴시에 근전도의 증가를 보인 6인의 환자들의 값은 109.7$\pm$148.5 $\mu\textrm{V}$에서 145.9 $\pm$ 180.7 $\mu\textrm{V}$ 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p〈0.055). 또한 좌측 발목의 배굴에서 측정된 근전도에서는 단 2명만이 상관계수와 근전도 증가를 보였다 보행훈련 후의 환자들의 근육 활동의 변화는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하였고. 보행훈련 후의 상태는 보행훈련 전의 상태에 매우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인 해석을 위해 새로 도입된 반응벡터의 사용은 척수손상 환자들의 보행훈련 전후에 환자의 상태를 평가. 예측, 혹은 훈련의 방향 설정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ne(chloroform)와 toluene 등이 가장 자주 검출되는 성분이었다. 대부분의 aromatic hydrocarbons, alkyl benzenes및 다른 유기용매 성분은 검출농도 이하이다.한 대사적인 문제와 생활 양식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BMI가 높은 노인들에게 부족되고 있는 영양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비타민 A, E B 복합체는 노인성 질병과 관련하여 그 기능이 규명되어야 할 영양소이다. 이는 항산화효소의 증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삼소와 PGE$_2$및 TXA$_2$등의 유의적인 감소가 유선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방산 투여 에 따른 과산화물 생성과 항산화 시스템이 유선암 세포에서는 상호기전적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이는 농도와 배양시간에 따른 CLA의 항암효과가 in vivo 실험에서 재검증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장시간의 세포배양 실험시 PGE$_2$는 반감기가 짧고 다른 대사물로 쉽게 전환되는 불안전한 물질이므로 새로운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더욱이 CLA에 의한 항암효과가 정확히 어떤 기전에 의한 것인지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얻은 에이코사노이드 대사의 변화 등은 유선암 예방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들어가 면서 점차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5, 10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된 세포는 초기에 매우 낮은 탄소동화율을 보였으며, 5 $\mu\textrm{g}$ L$^{-1}$의 농도에 노출시킨 세포의 경우 12일째부터 단위세포 당 탄소동화율이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사례 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Function: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고석범;박혜연;김종배;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63-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불완전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불완전 경수 손상 진단을 받은 성인 3명으로,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기초선(A1) 5회기, 중재기(B) 20회기, 재기초선(A2) 5회기로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 동안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제공되었고, 모든 회기에는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측정하였으며, 기초선(A1) 전, 재기초선(A2) 후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통해 기초선(A1)보다 중재기(B)에서 우세 손 기능이 향상되었고, 재기초선(A2)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재기초선(A2) 후 COPM, JTHFT와 WMFT의 결과, 우세 손 기능의 향상과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선택한 훈련 과제의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불완전 척수손상 후의 자동보행훈련 (Auto-Walking Training Afte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 정재훈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1-9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gait training method in incomplete spinal cord injured persons using an auto-walking machine. Person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level C or D on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participated for eight weeks in an auto-walking training program. The gait training program was carried out for 15 minutes, three times per day for 8 weeks with an auto-walking machine. The foot rests of the auto-walking machine can be moved forward, downward, backward and upward to make the gait pattern with fixed on crank. The patient's body weight is supported by a harness during waking training. We evaluated the gait speed, physiologic cost index, motor score of lower extremities and the WISCI (walking index for spinal cord injury) level before the training and after the forth and eighth week of walking training. 1. The mean gait spee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2 m/s at pre-training to .28 m/s after 4 weeks of training and .31 m/s after 8 weeks of training (p=.004). 2. The mean physiologic cost index was decreased from 4.6 beats/min at pre-training to 3.0 beats/min after 4 weeks and 2.0 beats/min after 8 weeks of training,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140). 3. The mean motor score of lower extrerniti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9.8 to 35.8 after 8 weeks of training (p=.043). 4. The mean WISCI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level 10 to level 19 after 8 weeks of training (p=.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ait training program using the auto-walking machine increased the gait speed, muscle strength and galt pattern (WISCI level) in persons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A large, controlled study of this technique is warranted.

  • PDF

PNF에 기초한 탄력저항운동이 불완전 척수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Elastic Resistance Exercis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Single Subject Design-)

  • 김좌준;김민수
    • PNF and Movement
    • /
    • 제14권3호
    • /
    • pp.245-25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lastic resistance exercis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daily activities of a patient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The result will be proposed as background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a patient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Methods: The target subject was a patient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to the cervical cord (C6). Elastic resistance exercise based on PNF was performed for 30 min daily, fiv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ASIS motor scale was applied to test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upper limb, and th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II (SCIM II) was used to evaluate the capacity of daily activity. Results: By applying elastic resistance exercise based on PNF,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upper limb increased and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y improved. Conclusion: Because elastic resistance exercise based on PNF positively influences the ASIA motor scale and SCIM II of the patient with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It can be used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capacity of daily activity of the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