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연무기물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폐유리를 활용한 불연 무기물 발포 보드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Non-flammable Mineral Foam Board Using Waste Glass)

  • 김현수;최원영;김상헌;최승환;박순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폐유리 불연 무기물 발포 보드를 개발하고, 국내 시장에서의 사용 활성화를 위한 과정으로 물리적·역학적·환경적 특성 시험을 통해 건축 내외장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물리·역학적 특성으로 밀도, 흡수율, 압축강도, 내동해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환경적 특성으로 열전도율, 불연성능, 가스유해성, 중금속 함유, 곰팡이 저항성 등의 시험을 실시였다. 또한, 실제 건축물 내외장재로 활용하기 위한 적용을 실시하여 실제 건축 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생활쓰레기 유동상(流動床) 소각로(燒却爐) 불연물(不燃物)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Recycling of Incombustion Materials from MSWI Fluidized Bed Incinerator Ash)

  • 최우진;박은규;강승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4호
    • /
    • pp.3-9
    • /
    • 2008
  • 국내의 경우 2006년 유동상 소각로에서 발생한 소각재는 약 13,952톤에 달하고 있으며, 대부분 자력선별 후 매립처리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상 소각로에서 발생한 불연물로부터 분리 회수한 무기물 시료와 점토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소결체를 제작하였으며, 물성평가를 통하여 세라믹스(요업)원료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체가름 및 자력선별 후 회수된 불연물 시료에 대한 중금속 함량 분석결과 Pb 등 일부 중금속의 농도는 여전히 높게 나타났으나 $Cr^{6+}$의 경우는 0.4ppm이하로 낮게 나타났으며, 용출실험결과는 모두 KSLP 기준치 이하로 조사되었다. 최종 회수한 불연물 시료의 XRF 분석결과 금속산화물이 선별공정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회수된 불연물 시료를 점토와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제조된 소결체의 물성조사 결과 $1,000^{\circ}C$$1,050^{\circ}C$에서 소성한 제품의 경우 불연물을 첨가하면 융제로서의 역할이 가능하여 소성온도를 약 $50^{\circ}C$정도 낮출 수 있다. 또한, 불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소성수축률 및 흡수율이 낮아져서 소결체의 압축강도가 개선되었다.

흑요소 펄라이트와 진주암 펄라이트의 단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Ballon Pearlite and Pearlite)

  • 이재성;전찬기;박종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183-1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불연성 무기단열재 제조를 위해 재료의 치환으로 열전도율을 충족시켜 경량 무기단열재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단열재로도 쓰이지만 화단의 흙을 대신하여 쓰이는 펄라이트 2종류와 바인더를 배합하여 샘플 3개를 제작하였다. 3가지 샘플들을 완전건조 후 열전도 측정기인 HFM-435를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펄라이트와 흑요소 펄라이트 두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총 3개의 샘플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열전도 효율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단열재를 제작하고 각 재료들의 단열 특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PDF

옥천 용암사 마애불의 거동특성 해석과 이차적 훼손 (Behavior Interpretation and Secondary Degradation of the Standing Sculptured Buddha at the Yongamsa Temple, Ogcheon, Korea)

  • 이찬희;정연삼;김지영;이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17권
    • /
    • pp.83-94
    • /
    • 2005
  • 용암사 마애불의 구성재질은 기계적 및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반상흑운모화강암이다. 이 마애불의 모암과 주변의 기반암에는 수직에 가까운 경사와 $N8^{\circ}E$의 주향을 갖는 불연속면이 산재한다. 또한 다른 절리계와 이를 사교하는 절리계가 발달되어 있어 암반의 구조적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 이 암반의 토압과 편압력은 마애불 전신으로 향해있으며 암반상부에서는 불연속면의 이격을 따라 전도파괴, 평면파괴 및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마애불의 구조적 안정을 위한 지반공학적 보강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마애불이 선각된 암반 사면의 표면과 공극에는 무기물 및 지의류와 선태류의 오염이 심각하며, 절리대는 토양화의 진행에 의하여 잡초와 수근이 암석의 기계적 풍화작용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이차적 훼손과 불연속면에 서식하는 식생을 제거하기 위한 생화학적 처리도 필요하다.

  • PDF

바인더 종류에 따른 무기단열재의 열전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Inorganic Insulation Properties According to the Binder Types)

  • Jeon, Chanki;Lee, Jaeseong;Chung, Hoon;Park, Jongpil;Shim, Jaey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86-29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불연성 무기단열재를 제조하기 위해 바인더 종류를 대체하여 열전도율을 충족시키고 경량 무기단열재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열전도율 측정은 열전도 측정기인 HFM-436을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무기단열재를 바인더 SH-1(액체), SH-2(고체)와 펄라이트를 배합하여 단열재 샘플1을 만들었고, SH-3(액체)와 펄라이트를 배합하여 단열재 샘플 2를 제조했다. 총 4개의 샘플을 제조했다. 각각 바인더와 펄라이트를 틀에 넣어 성형하였으며 완전건조 후 HFM-435을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두 가지 다른 바인더를 사용하여 열전도율을 측정하였고 바인더에 따른 열전도율의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