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안정성 골절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3초

불안정성 흉·요추부 골절에 대한 단 분절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추체 보강 성형술 - 예 비 보 고 -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in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 Preliminary Report -)

  • 김영우;오성한;윤도흠;진동규;조용은;김영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271-1277
    • /
    • 2001
  • Objectives : Since vertebroplasty has been introduced, we performed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in patients with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Our intentions ar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and indication of this new technique compare to conventional methods. Material and Methods : The surgery comprised of pedicle screw fixations on one level above and below the fracture site, and the fractured level itself, if pedicle is intact, an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under the fluoroscopic guide with in-situ postero-lateral bone graft. Also, in cases of bone apposition, we removed those with small impactor through a transfascetal route. During the last 2 years, we performed in seven(7)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patients who consisted of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those four(4) with primary or secondary osteoporosis and three(3) of young and very healthy. All patients were followed clinically by A.S.I.A. score and radiography. Results :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We observed well decompressed state via transfascetal route in cases of bone fragments apposition and no hardware pullout in osteoporotic cases, no poly-methyl-methacrylate (PMMA) leakage through the fracture sites into the spinal canal, and no kyphotic deformities in both cases during follow-up periods. All patients demonstrated solid bony fusion except one following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on other sites. Conclusions : In the management of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we believe that this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reduce the total length or levels of pedicle screw fixation without post-operative kyphotic deformity.

  • PDF

제5 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통한 족관절 외측 불안정성 평가의 기여도 (Contribution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Evaluation with MRI to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

  • 유종민;주인탁;이규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9-122
    • /
    • 2010
  • Purpose: One of the main contributors to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 is ankle inversion and the incidence of recurrence may increase in patients with ankle instability. So, the authors confirmed the patients of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 with ankle instability by checking the histor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assessed the value of MRI as therapeutic prognosis and clinical indicators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s visited our hospital during recent five years were reviewed. 35 patients with suspected damage by ankle inversion had been identified a history of ankle instability and checked the hindfoot malalignment through hindfoot alignment view and MRI was performed prospectively. The patients was devided to three groups on the location of fracture site and the groups were compared each other. Results: The mean time from injury to checking MRI was 10.7 days. There was no structural abnormality an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fracture. The patients with history of ankle inversion were 31(88.6%) and the patients with history of chronic or recurrent injury were 22 patients (62.9%). The lesion of MRI related to lateral ankle instability were identified in all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noted a high incidence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that was identified by MRI in the patients of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 Aggressive treatment for lateral ankle instability should be needed for complications as proximal fifth metatarsal fracture to reduce the recurrence and occurrence.

암의 다발성 뼈 전이의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The Radiopharmaceutical Therapy for Multiple Bone Metastases of Cancer)

  • 최상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07-215
    • /
    • 2014
  • 암의 다발성 뼈 전이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에서 흔히 관찰된다. 뼈 전이는 뼈에 발생한 이차적인 암으로 통증, 골절, 그리고 체중을 지지하는 뼈의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어 신체활동과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뼈 전이 치료 시 병리조직소견, 환자의 전신 상태, 침범 부위, 그리고 환자의 신경학적 소견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진통제, 수술, 항암화학요법 그리고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게 된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전통적으로 국소 뼈 전이로 인한 통증의 치료에 이용되어왔지만 특히 유방암이나 전립선암의 다발성 골형성 뼈 전이의 경우 $^{89}Sr$, $^{186}Re$, $^{188}Re$, $^{153}Sm$ and $^{117m}Sn$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데, 약제 투여의 간편함, 낮은 부작용, 방사능 피폭위험에서의 안전성, 높은 치료 반응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치료로 임상에서의 유용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상완골 근위부 불안정성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 김영규;장영훈;김건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권2호
    • /
    • pp.198-204
    • /
    • 1998
  • Unstable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continue to be difficult problems for orthopaedic surgeons. The optimum treatment of these fractures has remained a matter of controversy.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underwent for patients of unstable fractures of proximal humerus after minimum 12 months follow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pen reduction and rigid plate fixation. Twenty-two patients were managed with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Mean follow up duration was 20.6 months(range, 12 to 28 mon.). Because the age of patient as a maker of degree of osteoporosis was considered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anatomic reconstruction, w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ge. Group A was comprised of 12 cases with younger than 50 yrs of age. Ten cases of older than 50 yrs of age were Group B. According to Neer's classification, five cases(22%) were two part fracture, 12 cases(64%) were three part fracture, and three cases(14%) were four part fracture. We used the Neer rat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results. In Group A, overall scores were 79.1. In Group B, overall scores were 76.8. Overall scores in two part fracture were 85, overall scores in three part fracture 78.4 and overall scores in three part fracture 68.3. We achiev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nine cases(75%) of Group A and seven cases(70%) of Group B. Also, we obtained excellent or good results in all cases of two part fracture, ten cases(71%) of three fracture and one case(33%) of four part fracture. The complications were three metal loosening, one avascular necrosis of humeral head, one severe stiff shoulder, one superficial wound infection and one ectopic ossification. The results were excellent or good in 16 cases(73%) out of 22 cases. In conclusion, rigid fixation and supervised early exercise would be a good option for unstable fracture of the proximal humerus.

  • PDF

견관절 인공관절 재치환술의 원인과 치료 (Etiology and Treatment of Revision Shoulder Arthroplasty)

  • 김영규;정규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0-109
    • /
    • 2019
  • 견관절 인공관절 성형술의 빈도가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일차적 인공관절 성형술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합병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재치환술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견관절 인공관절 재치환술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차적 인공관절 성형술 후 나타난 회전근 개 파열, 관절와 상완 관절의 불안정성, 관절와 또는 상완골 치완물의 해리, 인공 치환물의 실패, 치환물 주위 골절, 감염 등이 있다. 재치환술은 술기적으로 어려운 과제이다. 실패한 견관절 인공관절 성형술은 해결할 수 있는 외과적 선택이 많지 않다. 특히 관절와 골 결손 또는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어렵다. 또한 재치환술의 결과는 일차적 성형술의 결과에 비해 항상 좋지 않다. 결국 외과의는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일차적 인공관절 성형술이 실패한 원인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패한 일차적 인공관절 성형술 후 재치환술의 적응증에 대해 살펴보고 실패의 원인에 따른 재치환술의 술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When do we use the Recycling Autograft in Limb Salvage Surgery?)

  •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105
    • /
    • 2008
  •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거골하 관절경 : 적응증과 그 결과 (Subtalar Arthroscopy : Indication and Results)

  • 안재훈;이광원;김하용;이승훈;최원식;김승권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7
  • 목적: 저자들은 각종 질환이나 외상에 대해 거골하 관절경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여 거골하 관절경의 적응증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5년 8월까지 본원에서 거골하 관절경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4명,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 43예, 여자 14예였고, 평균 연령은 40세, 평균 추시 기간은 18개월이었다. 술전 진단은 족근 동 증후군 19예, 퇴행성 관절염 13예, 종골 골절 10예, 관절 섬유화 5예, 삼각골 증후군 3예, 거골 골절 3예, 거종 결합 3예, 종골 종양 1예였다. 결과의 분석은 술전 및 술후 AOFAS ankle-hindfoot scale과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외 거골하 관절경술로 인한 합병증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관절경술은 활액막 절제술 23예, 거골하 관절 유합술 13예, 진단적 관절경술 11예, 유착 박리술 5예, 유리체 제거술 4예, 삼각골 제거술 3예, 관절경적 골절 정복술 1예가 시행되었으며 이중 4예에서 두 가지 수술이 병행되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족관절의 충돌 증후군이 17예,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이 11예, 거골의 골연골 병변이 7예 관찰되었으며, 이에 대해 족관절 관절경술 25예, 변형 Brostrom 수술 11예 등의 동반 술식이 시행되었다. AOFAS ankle-hindfoot scale은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시행한 군에서는 술전 33점에서 술후 7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그 이외의 군에서는 술전 69점에서 술후 89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42예에서 만족, 4예에서 불만족을 표시하여 91%의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특별한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적절한 적응증에 대해 시행한 거골하 관절경술은 관절에 대한 손상을 가능한 줄이면서 병변을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술식이나 기법의 숙달을 위한 노력 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불안정성 골반골 골절 손상에서 동반 복부 고형장기 손상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 이상원;김선휴;홍은석;안력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ssociated with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0 for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 was defined as lateral compression types II and III, antero-posterior compression types II and III, vertical shear and combined type by young classification.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injured group) and without (non-injured group)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to evalu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actured depended on the presence of associated solid organ injury. Data included demographics, mechanism of injury, initial hemodynamic status, laboratory results, revised trauma score (RTS),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injury severity score (ISS), amount of transfusion,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mortality. Results: The subjects were 21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4 years and included 134 male patients(61.8%). The injured group included 38 patients(16.9%). Traffic accidents were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and lateral compress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fracture in all groups. The initial blood pressure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ISS was greater. The arterial pH was lower in the injured group, and shock within 24 hours after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more frequent in the injured group. The amount of the transfused packed red blood cells within 24 hours was higher in the injured group than the non-injured group. Invasive treatment, including surgery and angiographic embolization, was more common in the injured group, and the stay in the ICU was longer in the injured group. Conclusion: A need exists to decide on a diagnostic and therapeutic pla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intra-abdominal solid organ injur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s and multiple associated injuries.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The Evaluation of Clinical Prognostic Factors for the Surgically Treated Unstable Ankle Fractures)

  • 정홍근;유문집;유석주;이성철;박진영;김태원;김명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2-119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prognostic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of the unstable ank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62 unstable ankle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rom May 1994 to June 2000, with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12 months(range: 13 months-7 years 3 months). The 62 patients were average 39.1 years old with male: female ratio of 41:21. Based on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supination-external rot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with 36 (58.1%) cases. The clinical results was assessed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AOFAS) functional scale. The sex, age, body weight, trauma-operation interval, operation time, cause of injury, fracture typ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the possible postoperative clinical prognostic factors. Results: Postoperative AOFAS functional scale was average 82.1 points with 22(35.5 %) cases excellent, 12(19.4%) good. 16(25.8%) fair and 12(19.4%) cases poor results. The age and the operation tim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p<0.001). The sex, weight, trauma-operation interval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The pronation-external rotation type showed better clinical tendency among the fracture types, but with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surgically treated unstable ankle fractures in patients whose age was above 41 years old or operation time exceeding 90 minutes showed significantly poor clinical results.

  • PDF

이중고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 - 예비 보고 - (Anatomic Double-Bundl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Achilles Allograft - Preliminary Report -)

  • 임홍철;유재철;한상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3
    • /
    • 2002
  • 목적 : 후방십자인대 손상과 치료에 대한 기전과 처치 및 재건에 대한 여러 가지 술식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이중 고리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본원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수술한 후방십자인대 손상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으로 만든 두 개의 건 다발을 이용하여 대퇴골측은 대퇴골 이중 터널(dual femoral tunnel) 방법으로 고정하였고, 경골측은 한 개의 터널로 고정하는 관절경적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Lysholm Knee Score와 KT-2000관절 계측기를 이용한 도수 최대 전위 검사법으로 건측과 비교하여 안정성 여부 및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8명을 1년 이상 추시한 결과 이식건 파열이 관찰되었던 한 례를 제외하고는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다. 술 후 감염 등의 중대한 합병증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다만 한 예에서 술 중 이식골의 골절이 있었고 다른 한 예에서 술 후 부적절한 보호로 인한 이식건의 파열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후방십자인대 손상에 대한 아킬레스 동종이식건으로 만든 두 개의 건 다발을 이용한 대퇴골 이중 터널 고정술은 이전의 방법들에 비해 생역학적으로 안정적인 방법으로 간주되나 보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 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