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법복제

Search Result 34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정보 윤리 의사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S/W 불법복제를 중심으로

  • 김광용;정수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12a
    • /
    • pp.663-673
    • /
    • 1999
  • 본 연구는 정보윤리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의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인터넷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입수하였고, 분석한 결과 인터넷을 통한 불법복제물의 유통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고, 고학력일수록 불법복제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불법복제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실시한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결과, 요인은 태도, 사회적 규범, 행동의 용이성, 상황적 변수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결과 불법복제 의도에 태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으며, 상황적 요인이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Digital Contents Piracy Behavior on Online (온라인디지털콘텐츠 불법복제 행동에 관한 연구)

  • Choi, Eun-Jee;Gim, Gwang-Y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453-456
    • /
    • 2008
  • 소프트웨어와 음악파일, 영화 등의 불법복제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가 대두되어 왔다. 온라인디지털콘텐츠의 산업규모와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동일하게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규모와 이용자들의 불법복제 행동이 만연해 있다.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TPB)를 통해 개인의 온라인디지털콘텐츠의 불법복제 행동에 대한 모형을 검증하고 불법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TPB의 확대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단속, 교육 및 홍보, 이전경험, 자기효능감이 불법복제 행동의도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보고 한다. 단속과 교육 및 홍보가 개인의 인식과정을 통해 태도와 내적인 자기 규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는 정책적 전략적 시사점을 얻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파일럿 테스트 결과 기존 TPB 모형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 영역에 있어서도 적합한 모델임이 검증되었고, 단속과 교육 및 홍보가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 PDF

DC 불법복제 현황과 대응책

  • Sin, Jong-Hun
    • Digital Contents
    • /
    • no.10 s.137
    • /
    • pp.40-45
    • /
    • 2004
  •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의 불법복제 문제는 비단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지난 4월말 불법복제에 있어 무풍지대(無風地帶)로 알려졌던 모바일콘텐츠까지 불법복제 문제가 터지면서 디지털콘텐츠 업계에는 초비상이 걸렸다. 10여년전 국내 게임시장을 주도했던 PC 패키지 게임 산업이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을만큼 무너졌던 아픔이 업계 관계자들의 기억 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 전반에 퍼져있는 불법복제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강화된 업계의 대응방식을 점검해 봤다

  • PDF

대학가 불법복제물로 몸살 앓는 출판계

  • Park, Cheon-H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5
    • /
    • pp.4-5
    • /
    • 1997
  • 대학가의 불법복제가 위험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최근에는 대학도서관 등에 무인 복사기가 설치돼 있어 학생들이 복사카드로 직접 복사하기도 한다. 불법복제는 대학교재에만 그치지 않는다. 중.고학습지부터 베스트셀러까지 고습 마스터기계를 이용해 복제해서 버젓이 판매하는 경우까지 있다.

  • PDF

A Study on Effects of Relative Benefits and Costs of Piracy of Digital Contents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Illegal Duplication (디지털콘텐츠 불법복제의 상대적 편익과 비용이 불법복제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Park, Kyung-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7
    • /
    • pp.489-49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iracy of online digital contents, focusing on relative awareness of illegal duplications, compared to legal duplication. To do this, the current study integrates factors proposed in existing literature and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accesses them from cost-benefit point of view.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with regard to relative benefits gained by illegal duplication, it is shown that monetary and psychological ut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illegal duplication. Particularly, it is found that monetary incentive is the main cause of illegal duplication as monetary gains are major factors affecting illegal duplication behaviors. Second, it is suggested that ethical cost is a definitive factor that has negative effects on illegal duplication behaviors while technological cost has also significant effects on illegal duplication behaviors. Thir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behaviors of illegal duplication. This result shows that an attitude to illegal duplication is antecedent of behaviors as the belief and the value regarding illegal duplication can lead actual behaviors.

Level of User Awareness for Illegal Downloading of Movie Content (영상 컨텐츠 불법 복제에 관한 사용자 의식 수준)

  • Rhee, Hae-Kyung;Kim, He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212-224
    • /
    • 2009
  • Proliferation of high performance internet infrastructures finally allows their users download a single copy of regular movie just within in a couple of seconds. Ease of accesses to the software for downloading consequently leads them insensitive to the ethics or legitimacy of their conduct. Thus, strong legal action is enforced for piracy over nationally through strengthen the copyright law. We in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see whether netizens prefer to download just for the matter of their convenience. Whilst the level of awareness is addressed even in a far-fetched manner in the area of music piracy and computer software piracy, the case of movie is much different in that we even fail to find any survey that has been made for movie piracy. The survey has been made by devising questionnaires for netizens and it was posted web WorldSurvey, which is the most prominent online survey site in Korea. To our surprise, 9 out of 10 respondents expressed they actually resort to illegal downloading for the reason of convenience. We realized one more surprise. More than 95% of netizens conspicuously aware of their downloading behaviors are mischievous and illegal without reservation.

A DRM Model for Illegal Copyrights Protection based on Agent (Agent기반 불법 복제 방지 DRM모델)

  • 이덕규;박희운;이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82-684
    • /
    • 2001
  • 디지털 컨텐cm의 지적 재산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워터마킹 기술 및 핑거프린팅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는 디지털 컨텐츠 지적 재산권 보호뿐만 아니라 컨텐츠 에 대한 출판, 유통 및 사용에 필요한 관리와 보호체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보호 기술 중에서 컨텐츠에 대한 유통/서비스에 해당하는 기술을 만족하는 프로토콜을 제시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컨텐츠 불법복제 빛 불법사용을 방지할 수 있도륵 Agent를 이용한다. Agent는 특별한 설치가 필요 없이 컨텐츠 내에 내포되어 있게 된다. 내포된 Agent는 불법복제 및 불법사용에 대해 체크함으로써 불법복제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법제코너-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⑤

  • Seong, Seon-Je
    • Digital Contents
    • /
    • no.11 s.138
    • /
    • pp.85-89
    • /
    • 2004
  • 국산 캐릭터업체 10개 업체중 4곳이 불법복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대 한민국 캐릭터산업백서 2004’에 따르면 캐릭터업체 42.3%가 불법복제에 피해를 불법복제 피해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매출액별 불법 복제 피해 경험으론 매출액 5억원 미만 업체는 38.3%, 5억,50억원 업체 37.5%, 50억원 이상 업체 65.2%로 인기 캐릭터를 중심으 로 한 불법복제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복제로 인한 추정 피해액으로는 국산 업체당 4억1,32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 럼 캐릭터로 인한 피해가 국내에도 크게 늘고 있어 심각한 산업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번 호에는 디지털콘텐츠 산업 중에서도 온 라인을 통해 유출되고 있는‘캐릭터’를 중심으로 법적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 PDF

Integrative Analysis on Digital Piracy: Focused on Attitude, Personal Norm, and Habit (디지털 콘텐츠 불법복제 행동에 대한 통합적 분석: 태도, 개인규범, 습관을 중심으로)

  • Choi, Byounggu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3 no.3
    • /
    • pp.85-109
    • /
    • 2018
  •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de it for people to pirate digital contents easily and quickly. Although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underlying factors that lead to an individual engaging in digital piracy, few studies have provided holistic and integrative view on this iss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integrative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norm activation model (NAM), and hab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s nine hypothes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personal norm, habit,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ests them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337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ersonal norm, and habit ha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of digital piracy while subjective norm does no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existing studie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personal norm, habit and behavioral intention.

A Dynamic Analysis of Digital Piracy, Ratings, and Online Buzz for Korean TV Dramas (국내 TV 드라마 디지털 불법복제, TV 시청률, 온라인 입소문 간의 동태적 분석)

  • Kim, Dongyeon;Park, Kyuhong;Bang, Youngso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3
    • /
    • pp.1-22
    • /
    • 2022
  • We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s among digital piracy activities, TV ratings, and online buzz for Korean TV dramas using a pane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Our main findings include 1) TV ratings are negatively affected by digital piracy activities but positively affected by google buzz, 2) digital piracy activities are negatively affected by TV ratings and social buzz, and 3) social buzz and google buzz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each other. While many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music or movie piracy, our understanding of drama piracy is limited.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drama piracy, TV ratings, and online buzz. Our findings show the presence of indirect piracy effects on TV ratings through online buzz. Further, we reveal that social buzz and google trends play different roles in promoting TV ratings and piracy activitie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