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와 변화추세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sthmatic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응급실로 내원한 천식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 Suh, Jung-Kyung;Lee, So-Ra;Lee, Sang-Youb;Lee, Sang-Hwa;Cho, Jae-Youn;Shim, Jae-Jeong;In, Kwang-Ho;Kang, Kyung-Ho;Yoo, Se-Hwa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4 no.2
    • /
    • pp.290-297
    • /
    • 1997
  • Background : Despite remarkable progress of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y and therapy of bronchial asthma, asthma morbidity and mortality are on the rise. Also hospitalization and attending rates of emergency department for asthma have been increasing gradually. We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due to asthma attack in order to def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 of patients. Method : We reviewed 105 adult asthmatic patients who attended emergency department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995 and July 1996, retrospectively. Results : 103 patients(56 female, 47 males, mean age : 48.6 years) attended-68 self referral, 18 practitioner referral and 17 OPD transfer- and 86 patients(83.5%) were admitted. Attending emergncy department was clearly more frequent in December(13.6%) and May(12.6%). Time lag between onset of asthmatic attack and arrival at the hospital was $14.2{\pm}15.5$ hour and initial peak expiratory flow rate was $166.7{\pm}68.3L/min$.(43.3% predicted) The commonest cause for visiting emergency room was aggravation of asthma due to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mild asthmatics. About half of them had history of previous ER visits. Their prognosis was not bad, but after discharge, about half of patients escaped from OPD follow-up. Conclusion : As a group they merit detailed attention and follow up arrangement. Clinician need to monitor and review the treatment plans, the medications, the patient's management technique, and the level of asthma control. For this group, plans for longer term treatment, including asthma education program and adjustment of overall treatment plan should be made.

  • PDF

PST Member Behavior Analysis Based on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According to Load Combination and Thickness of Grouting Layer (하중조합과 충전층 두께에 따른 3차원 유한요소 해석에 의한 PST 부재의 거동 분석)

  • Seo, Hyun-Su;Kim, Jin-Sup;Kwon, Mi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6
    • /
    • pp.53-62
    • /
    • 2018
  • Follofwing the accelerating speed-up of trains and rising demand for large-volume transfer capacity,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track structures for trains have been improving consistently. Precast concrete slab track (PST), a concrete structure track, was developed as a system that can fulfil new safety and economic requirements for railroad traff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the system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behavior of each structural member of the PST system. The stress distribution result for different combinations of appropriate loads according to the KRL-2012 train load and KRC code was analyzed by conducting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hile the result for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grouting layer is also presented. Among the structural members, the largest stress took place on the grouting layer. The stress changed sensitively following the thickness and the combination of loads. When compared with a case of applying only a vertical KRL-2012 load, the stress increased by 3.3 times and 14.1 times on a concrete panel and HSB, respectively, from the starting load and temperature load. When the thickness of the grouting layer increased from 20 mm to 80 mm, the stress generated on the concrete panel decreased by 4%, while the stress increased by 24% on the grouting layer. As for the cracking condition, tension cracking was caused locally on the grouting layer. Such a result indicates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lexure and tension behavior from horizontal loads rather than from vertical loads when developing PST systems. In addition, the safety of each structural member must be ensured by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grouting layer at 40 mm or more.

Anomaly Detection for User Action with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적대적 생성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행위 이상 탐지 방법)

  • Choi, Nam woong;Kim, Wooju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3
    • /
    • pp.43-62
    • /
    • 2019
  • At one time, the anomaly detection sector dominated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was an abnormality based on the statistics derived from specific data. This methodology was possible because the dimension of the data was simple in the past, so the classical statistical method could work effectively. Howe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data have changed complexly in the era of big data,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accurately analyze and predict the data that occurs throughout the industry in the conventional way. Therefore, SVM and Decision Tree based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were used. However, there is peculiarity that supervised learning based model can only accurately predict the test data, when the number of classes is equal to the number of normal classes and most of the data generated in the industry has unbalanced data class. Therefore, the predicted results are not always valid when supervised learning model is appli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drawbacks, many studies now use the unsupervised learning-based model that is not influenced by class distribution, such as autoencoder or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anomalies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noGAN, introduced in the study of Thomas et al (2017), is a classification model that performs abnormal detection of medical images. It was composed of a Convolution Neural Net and was used in the field of detection. On the other hand, sequencing data abnormality detection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is a lack of research papers compared to image data. Of course, in Li et al (2018), a study by Li et al (LSTM), a type of recurrent neural network, has proposed a model to classify the abnormities of numerical sequence data, but it has not been used for categorical sequence data, as well as feature matching method applied by salans et al.(2016). So it suggests that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to be tried on in the ideal classification of sequence data through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In order to learn the sequence data, the structure of th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is composed of LSTM, and the 2 stacked-LSTM of the generator is composed of 32-dim hidden unit layers and 64-dim hidden unit layers. The LSTM of the discriminator consists of 64-dim hidden unit layer were us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abnormal scores from existing paper of Anomaly Detection for Sequence data, entropy values of probability of actual data are us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abnormal scores. but in this paper, as mentioned earlier, abnormal scores have been derived by using feature matching techniques. In addition, the process of optimizing latent variables was designed with LSTM to improve model performance. The modified form of generative adversarial model was more accurate in all experiments than the autoencoder in terms of precision and was approximately 7% higher in accuracy. In terms of Robustnes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lso performed better than autoencoder. Becaus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can learn data distribution from real categorical sequence data, Unaffected by a single normal data. But autoencoder is not. Result of Robustness test showed that he accuracy of the autocoder was 92%, the accuracy of the hostile neural network was 96%, and in terms of sensitivity, the autocoder was 40% and the hostile neural network was 51%. In this paper, experiments have also been conducted to show how much performance changes due to differences in the optimization structure of potential variables. As a result, the level of 1% was improved in terms of sensi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n optimizing latent variable that were relatively insignificant.

Estimation of freeze damage risk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of fruit flower buds in spring (봄철 과수 꽃눈 발육 수준에 따른 저온해 위험도 산정)

  • Kim, Jin-Hee;Kim, Dae-jun;Kim, Soo-ock;Yun, Eun-jeong;Ju, Okjung;Park, Jong Sun;Shin, Yong S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1
    • /
    • pp.55-64
    • /
    • 2019
  • The flowering seasons can be advanced due to climate change that would cause an abnormally warm winter. Such warm winter would increase the frequency of crop damages resulted from sudden occurrences of low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the vegetative growth stages, e.g., the period from germination to flowering. The degree and pattern of freezing damage would differ by the development stage of each individual fruit tree even in an orchard. A critical temperature, e.g., killing temperature, has been used to predict freeze damage by low-temperature conditions under the assumption that such damage would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stage of a fruit flower bud. However, it would be challenging to apply the critical temperature to a region where spatial variation in temperature would be considerably high. In the present study, a phenological model was used to estimate major bud development stages, which would be useful for prediction of regional risks for the freeze damages. We also derived a linear function to calculate a probabilistic freeze risk in spring, which can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isk level based solely on forecasted weather data. We calculated the dates of freeze damage occurrences and spatial risk distribution according to main production areas by applying the spring freeze risk function to apple, peach, and pear crops in 2018. It was predicted that the most extensive low-temperature associated freeze damage could have occurred on April 8. It was also found that the risk function was useful to identify the main production areas where the greatest damage to a given crop could occu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reezing damag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low-temperature events could decrease providing early warning for growers to respon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for their farm.

Development of Seasonal Habitat Suitability Indices for the Todarodes Pacificus around South Korea Based on GOCI Data (GOCI 자료를 활용한 한국 연근해 살오징어의 계절별 서식적합지수 모델 개발)

  • Seonju Lee;Jong-Kuk Choi;Myung-Sook Park;Sang Woo K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2
    • /
    • pp.1635-1650
    • /
    • 2023
  • Under global warming, the steadily increasing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verely impacts marine ecosystems,such as the productivity decrease and change in marine species distribution. Recently, the catch of Todarodes Pacificus, one of South Korea's primary marine resources, has dramatically decreas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marine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formation of fishing grounds of Todarodes Pacificus and develop seasonal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models based on various satellite data including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data to continuously manage fisheries resources over Korean exclusive economic zone. About 83% of catches are found within the range of SST of 14.11-26.16℃,sea level height of 0.56-0.82 m,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0.31-1.52 mg m-3, and primary production of 580.96-1574.13 mg C m-2 day-1. The seasonal HSI models are developed using the Arithmetic Mean Model, which showed the best performance. Comparing the developed HSI value with the 2019 catch data, it is confirmed that the HSI model is valid because the fishing grounds are formed in different sea regions by season (East Sea in winter and Yellow Sea in summer) and the high HSI (> 0.6) concurrences to areas with the high catch.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in SST over study regions,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fishing grounds of Todarodes Pacificus. We can expect the fishing grounds will be changed by accelerating ocean warming in the future. Continuous HSI monitoring is necessary to manage fisheries'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