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포분석

Search Result 16,41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Rainfall Duration up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강우 지속기간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 분포 및 변동특성 분석)

  • Moon Jangwon;Yoo Chul-Sang;Kim Joong-Hoo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88-592
    • /
    • 2005
  • 강우는 시간적인 분포특성과 함께 공간적인 분포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다. 강우 발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과 함께 공간적인 발생양상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Coverage 개념을 이용하여 공간규모의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속기간의 변화에 따라 공간규모 분포가 어떠한 변동특성을 나타내는 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대상유역으로 한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한강유역 내에 위치한 39개 강우관측소의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강우의 지속기간별 공간규모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0가지 경우의 지속기간(1, 2, 3, 4, 6, 8, 12, 16, 24, 48시간)에 대해 자료를 구성한 후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통해 강우 공간규모의 발생양상에 대해 개략적인 파악이 가능하였으며, 지속기간 변화가 공간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유역면적을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면적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변동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강우발생 시의 공간규모에 대한 보다 명확한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simulation of monthly characteristics of torrential rainfall events (집중호우사상의 월별 발생특성 모의를 위한 확률분포 개발)

  • Kim, Sang Ug;Kim, Hyeo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46-2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의 발생횟수의 경향을 확률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1개월 동안 80 mm/day 이상의 강우사상을 집중호우로 정의하여, 대구 및 부산 강우관측소로부터 수집된 384개월 동안의 집중호우를 분석하였다. 집중호우 월별 발생횟수와 같은 형식의 자료의 확률적 분석은 대개 Poisson 분포 (POI)가 사용되나 자료에 포함된 0자료의 과잉은 확률분포를 왜곡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GPD), 0-과잉 Poisson 확률분포 (ZIP),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ZIGP), Bayesian 0-과잉 일반화 Poisson 확률분포 (Bayesian ZIGP)를 집중호우 자료에 적용하고, 5개 모형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으며, Bayesian ZIGP 모형의 구축에 있어서는 정보적 사전분포를 사용함으로써 모형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분석결과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에 0이 과다하게 포함되어 있는 경우 POI 및 GPD 분포는 관측결과와는 다른 결과를 제시하여 적절한 모형으로 고려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5가지 모형 중 정보적 사전분포를 탑재한 Bayesian ZIGP 모형이 가장 관측 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모형의 구축에 수반되는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ZIP 모형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모형으로 추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the Time Interval Between Ships on the Traffic Route of the Busan North Port (부산 북항 통항 선박간의 시간간격 최적 확률분포에 관한 연구)

  • Kim, Jong-Kwa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6
    • /
    • pp.413-419
    • /
    • 2019
  • Traffic routes typically have heavy traffic. Especially, the entrance of the route has a high risk of accidents occurring because of ships entering and exiting the port. However, almost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stribution of traffic on the route. Thus, studies on the distribution between ships for passing through the route are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traffic in the Busan north port No.1 route for one week. Based on present traffic conditions, one gate line was settled on the route with an analysis of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analysis data, each optimal time probability distribution between ships was divided into inbound/outbound and traffic volume. An analysis of the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applied to 31 probability distributions divided into bounded, unbounded, non-negative, and advanced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KS test was applied for identifying three major optimal time probability distributions. According to the KS test results, the Wakeby distribution is the best optimal time probability distribution on the designated route. Although the optimal time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other transportation studies such as on vehicles on highways is a non-neg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this distribution is an advanced probability distribution. Thus, the application of major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using other transportation studies is not applicable to this study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ships in actual traffic surveys and the distance estimated by the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ose distances were fairly similar.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nly one major port.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time between ships and calculate a traffic volume on varying routes in future studies.

A Spatial Analysis o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tart-up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창업기업의 생멸에 대한 공간분포 패턴 분석)

  • Yi, Chang-Hyo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241-25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spatial distribution difference between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tart-up firms related to life-cycle. For this purpose, a Korean business directories and information on business closures were used, and location information, starting time, and closure time of start-up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from 2007 to 2009 were generated in this study. It appli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methods o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he start-up firms included Barcki measurements and global spatial autocorrelation. The total number of start-up firms was 5,810, and their five-year survival rate was 77.25%. The dissolution pattern of the start-up firms was dispersed more than their formation pattern in each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s, the city of Seoul, and the city of Incheon-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patterns according to size and industry category of the firms were confirmed.

Charactristics of Flood Hydrographs by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강우시간분포모형의 선정에 따른 홍수유출수문곡선 특성)

  • No, Hwang-Won;Choi, Hyun-Y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46-1550
    • /
    • 2009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 규모가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로 수공구조물 설계시 보다 정확한 수문분석을 요구 하고 있다. 강우의 시간분포는 정확한 수공구조물의 설계시 첨두홍수량 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기상학적, 지형학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강우분포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금호강권역의 단시간 강우에 대한 시간분포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 강우의 시간분포방법 중에서 개념상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물리적으로 의미를 갖는 Mononobe분포, Yen & Chow분포, Keifer & Chu분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대상지점은 금호강권역의 가창으로 재현기간 50년의 6시간, 24시간 강우의 시간적 분포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6시간 확률강우량에서는 Mononobe 분포와 Keifer & Chu 분포의 첨두치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고 24시간 확률강우량에서는 Keifer & Chu 분포의 첨두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Yen & Chow 분포의 경우 6시간 강우의 첨두치에 비해 24시간 강우의 첨두치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확률강우를 이용해서 홍수유출량을 분석한 결과 6시간, 24시간의 첨두홍수량은 Keifer & Chu 분포가 가장 크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고 첨두시간 역시 Keifer & Chu 분포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방법들이 실제 강우분포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실제로 유역에 가장 적합한 시간분포 방법을 결정하기란 어렵다. 하지만, 첨두홍수량 결정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 그 지역을 가장 대표할 수 있는 강우분포 방법을 선택해야만 한다. 따라서 분석지점 이외의 다양한 실제 지점에 대해 설계홍수량을 산정해 봄으로써 다른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erb concept clustering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and Box-Cox transformation (독립성분분석과 Box-Cox 변환을 이용한 동사 개념 클러스터링)

  • Chagnaa, Altangerel;Lee, Chang-Beom;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164-17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동사의 개념적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하다. 사용되는 기법은 독립성분분석, Box-Cox 변환, 상관분석 등이다. 독립성분분석은 잠재적인 성분을 통계적 독립(statistical independence)에 기반하여 추출하는 분석 방법이다. 그런데, 독립성분분석에서는 mixture(동사)의 분포는 정규 분포(가우시안 분포)에 따른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동사의 분포를 보다 정규 분포화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ox-Cox 변환을 이용하여 동사의 분포를 정규 분포에 근사한다. 또한, 독립성분분석에서는 추출할 적당한 성분의 개수를 결정할 수가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성분분석의 결과로 획득되는 고유치의 누적 기여율을 이용하여 독립성분의 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추출된 독립성분 벡터와 동사 벡터간의 상관계수에 이용하여 독립성분(개념)에 밀접하게 관련 있는 동사들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구성한다. 한국어 동사를 대상으로 클러스터링한 결과, Box-Cox 변환을 적용한 경우가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by flow Mechanisms - Numerical Computation (흐름 메카니즘에 의한 깔따구의 분포 (II) - 수치계산)

  • Park, Jong Pyo;Lee, Sang Ho;Kim, Ta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404-408
    • /
    • 2004
  • 인공순환수로 실험구간에 반구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설치할 경우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는 FLUNET가 제공하는 RNG $k-\varepsilon$ 모형과 Reynolds Stress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음파유속계(ADV)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수치모의와 실험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길과, RNG $k-\varepsilon$과 Reynolds Stress 모형의 계산결과와 실측값의 상관계수는 반구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0.60 - 0.63, 반구구조물을 설치한 경우 0.75 - 0.78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계산반복회수의 경우 RNG $k-\varepsilon$ 모형이 Reynolds Stress 모형에 비하여 2 - 5배 정도 빠르다. 두 모형의 걸과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순환수로 내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으로 수렴속도가 빠른 RNG $k-\varepsilon$ 모형을 선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와 "흐름 메카니즘에 의한 깔따구의 분포(I)- 실험"의 깔따구 분포경향을 비교한 결과 깔따구는 전반적으로 유속과 난류강도가 작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실험구간에 반구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상${\cdot}$하류에 깔따구가 분포하였다. 이차류 또한 깔따구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향후 흐름특성에 따른 저서생물의 분포경향을 분석을 위하여 전산유체역학의 기법들을 적용하면 깔따구 등의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분포와 흐름특성의 관계를 저렴한 비용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Study of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for Some Extreme Value Distributions (Focused on the Regression Method) (극단치 분포의 모수 추정방법 비교 연구(회귀 분석법을 기준으로))

  • Woo, Ji-Yong;Kim, Myung-Su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3
    • /
    • pp.463-477
    • /
    • 2009
  •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such as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method, regression method have been popularly applied to various extreme value models in numerous literature. Among three methods above, the performance of regression method has not been rigorously investigated yet. In this paper the regression method is compared with the other methods via Monte Carlo simulation studies for estimation of parameters of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distribution and the Generalized Pareto(GP) distribution. Our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regression method tends to outperform other methods under small samples by providing smaller biase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for estimation of location parameter of the GEV model. For the scal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GP model under small samples, the regression method tends to report smaller biases than the other methods. The regression method tends to be superior to other methods for the shape parameter estimation of the GEV model and GP model when the shape parameter is -0.4 under small and moderately large samples.

Accuracy Improvement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by using Cross-Section Velocity Distribution (횡단면 유속 분포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개선)

  • Yu, Kwon-Kyu;Kim, Seo-Jun;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98-1902
    • /
    • 2009
  • 영상 분석에서는 적절한 탐색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측정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탐색 범위는 흐름장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탐색 범위를 작게 잡을 경우 분석 시간이 절약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지나치게 작게 되는 경우는 오히려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탐색 범위를 크게 잡을 경우에는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분석 시간이 길게 되며 전반적인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설정은 영상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서 큰 관건이 된다. 실험실 수로의 경우 유속 분포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속이나 수위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현장 적용을 위한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의 경우,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고 또한 수위에 따른 유속 분포의 변화가 매우 심하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탐색 범위를 설정하여 일차적으로 유속 분포를 추정하고, 여기서 얻은 유속 분포에 기반하여 탐색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설정하고 재탐색을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유속 분포에 기반한 탐색 영역의 설정을 통하여 유속 분포 추정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수전교에서 2008년 7월 $23{\sim}24$일 동안의 영상 자료를 이용한 추정 결과, 추정 유량의 오차를 절반 정도 줄여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Anisotropy of Void Distribution and Stiffness of Lightweight Aggregate using CT Images (CT 이미지를 활용한 경량 골재의 방향에 따른 공극 분포 및 강성도의 이방성 분석)

  • Chung, Sang-Yeop;Han, Tong-Seok;Yun, Tae Sup;Youm, Kwang Soo;Jeon, Hyun-Gyu;Kang, Dong H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5 no.3
    • /
    • pp.227-235
    • /
    • 2012
  • The void distribution in concrete materials strongly affects its material properties.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void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estimate material behavior. To examine and quantify the void distribution inside lightweight aggregates, CT(computed tomography) image is used. 3D lightweight aggregate images are generated by stacking of cross-sectional images from CT. Spatial distribution of void of aggregate along the direction is visualized on the spher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Stiffness of lightweight aggregate for the directions is also examined. It is confirmed that direction-based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stiffness from CT images are effective in characterizing void distributions of aggre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