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patial Analysis o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tart-up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창업기업의 생멸에 대한 공간분포 패턴 분석

  • 이창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5.04.09
  • Accepted : 2015.05.2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spatial distribution difference between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tart-up firms related to life-cycle. For this purpose, a Korean business directories and information on business closures were used, and location information, starting time, and closure time of start-up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from 2007 to 2009 were generated in this study. It appli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methods o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he start-up firms included Barcki measurements and global spatial autocorrelation. The total number of start-up firms was 5,810, and their five-year survival rate was 77.25%. The dissolution pattern of the start-up firms was dispersed more than their formation pattern in each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s, the city of Seoul, and the city of Incheon-Gyeonggi province.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patterns according to size and industry category of the firms were confi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기업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생애주기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공간분포 패턴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기업체총람과 폐업기업정보를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수도권에서 창업한 기업의 위치정보와 생성시점, 그리고 소멸시점을 파악하였다. 창업기업의 생멸분포 패턴에 대한 분석은 공간상의 분석단위에 대한 분포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인 평균점, 표준거리, 타원형 표준편차, 그리고 공간자기상관도 분석기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대상 창업기업 5,810개 중, 1,322개 기업이 5년 내에 소멸함으로써 77.25%의 5년 생존율이 산정되었다. 지역별 생멸분포 패턴의 분석 결과, 수도권 전체, 서울, 그리고 인천 경기 모두에서 기업의 생성분포에 비해 소멸분포가 분산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속성별 생멸분포 패턴 분석결과, 기업의 규모와 업종에 따라 창업기업의 생성과 소멸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이재우(2009), Cox의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중소건설기업의 생존요인분석, 부동산학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제15집, 제2호, pp. 41-57.
  2. 김태훈(2009), 중소건설업체의 생존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보증기금의 지원을 받는 기업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통권61호, pp. 255-273.
  3. 류준영.남진.이창효(2014), 서울지역 창업 중소기업의 생존율과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도시행정학보, 한국도시행정학회,제27집, 제4호, pp. 237-261.
  4. 송동섭.심재우(2010), 생존분석을 이용한 기업부실 예측, 상업교육연구, (사)한국상업교육학회, 제24권, 제4호, pp. 195-212.
  5. 송치승.노용환(2011),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미시적 특성과 생존요인 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한국중소기업학회, 제14권, 제3호, pp. 1-24.
  6. 신혜원.김의준(2014), 기업 입지유형 및 규모가 신생기업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 국토연구원, 제83권, pp. 17-30.
  7. 안영수(2013), 토지이용-교통모델 기반의 수도권 기업입지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엄현태.우명제(2014),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9권, 제5호, pp. 51-66.
  9. 이병기(2003), 한국 신생기업의 생존요인: 이론과 실증, 한국경제연구원.
  10. 이상호(1998), 중소 전자 기업의 생존요인 분석, 국제경제연구, 한국국제경제학회, 제4권, 제2호, pp.93-112.
  11. 임은선.이종열.김형진.이희연(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외연확산형과 압축형 도시측정을 중심으로-, 국토연 2006-12, 국토연구원.
  12. 전용석.박복례.박찬식(2002), 건설기업의 생존예측모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2호, pp. 165-172.
  13. 정영순.송연경(2008), 창업이후 소액창업체의 생존력과 생존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제24권, 제1호, pp. 307-332.
  14. 최열.박성호(2014), 제조업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부산시 폐업 제조업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9권, 제2호, pp. 277-291.
  15. 통계청(2012), 기업생멸 행정통계 개발 결과, 통계청 보도자료.
  16. 홍남희.이명훈(2011),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의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토지이용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6권, 제1호, pp. 39-50.
  17. Cefis, E. and Marsili, O.(2005), A Matter of Life and Death : Innovation and Firm Survival,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 Vol. 14, No. 6, pp. 1167-1192. https://doi.org/10.1093/icc/dth081
  18. Cook, R., Campbell, D. and Kelly, C.(2012), Survival Rates of New Firms : An Exploratory Study, Small Business Institute Journal, Vol. 8, No. 2, pp. 35-42.
  19. Eurostat(2007), Statistics in focus, Business demography : growth in the population of enterprises.
  20. Falck, O.(2007), Survival chances of new businesses : Do regional conditions matter?, Applied Economics, Vol. 39, Issue. 16, pp. 2039-2048. https://doi.org/10.1080/00036840600749615
  21. Fotopoulos, G. and Louri, H.(2000), Location and survival of new entry, Small Business Economics, Vol. 14, pp. 311-321. https://doi.org/10.1023/A:1008180522759
  22. Helmers, C. and Rogers, M.(2010), Innovation and the Survival of New Firms in the UK, Review of Industrial Organization, Vol. 36, Issue. 3, pp. 227-248. https://doi.org/10.1007/s11151-010-9247-7
  23. Industry canada(2010), The State of Entrepreneurship in Canada, Vol. February 2010.
  24. Kaniovski, S. and Peneder, M.(2008), Determinants of Firm Survival : A Duration Analysis using the Generalized Gamma Distribution, Empirica, Vol. 35, Issue. 1, pp. 41-58. https://doi.org/10.1007/s10663-007-9050-3
  25. Kauffman, R. J. and Wang, B.(2001), The Success and Failure of Dotcoms : A Multi-Method Survival Analysis, in K. Altinkemer nd K. Chari (eds.), Proceedings of the 6th INFORMS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y, Miami, FL, November 2001.
  26. Nunes, A. and Sarmento, E.(2010), Business Demography Dynamics in Portugal : A Non-Parametric Survival Analysis, An Enterprise Odyssey,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s, pp. 1293-1308. Zagreb : 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May 26-9, 2010).
  27. Renski, H.(2011), External economies of localizati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 diversity and new firm survival, Papers in Regional Science, Vol. 90, Issue. 3, pp. 473-502. https://doi.org/10.1111/j.1435-5957.2010.00325.x
  28. Stearns, T. M., Carter, N. M., Reynols, P. D. and Williams M. L.(1995), New Firm Survival : Industry, Strategy, and Loc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10, pp. 23-42. https://doi.org/10.1016/0883-9026(94)00016-N
  29. Wennberg, K. and Lindqvist, G.(2010), The effect of clusters on the survival and performance of new firms, Small Business Economics, Vol. 34, pp. 221-241. https://doi.org/10.1007/s11187-008-9123-0
  30. 日本中小企業廳(2011), 中小企業白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