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출현상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VERA J2032+4057의 초장기선 간섭계 관측 연구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6-116
    • /
    • 2010
  • 마이크로퀘이사들은 고중력 천체와 보통의 별이 공전하며 서로의 물질도 이동하는 근접 쌍성계로서, 불규칙하고 간헐적으로 플레어와 그에 수반하는 상대론적인 속도로 분출되는 물질을 분출하는 현상, 즉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을 보인다. 두 천체사이의 거리는 수백만 킬로미터이고, 특히 물질을 분출하는 것으로 믿어지는 고중력 천체 주변의 크기는 수천 킬로미터 정도인데 반하여, 우리로 부터의 거리는 보통 10 킬로 kpc 이상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의 영상을 얻으려면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를 이용해야 한다. 우리는 일본의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VERA를 이용하여 VERA J2032+4057의 플레어 상태에서의 물질 분출 현상을 영상화 하였다. VERA J2032+4057의 플레어와 불질분출은 매우 복잡하여 여러 가지 모델들을 써서 영상을 해석해 보았다.

  • PDF

플레어와 연관된 X-선 플라즈마분출과 코로나 질량방출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

  • 김연한;김갑성;문용재;박영득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32-32
    • /
    • 2003
  • 1999년 Nitta & Akiyama는 17개의 limb 플레어와 연관된 X-선 플라즈마 분출(X-ray plasma ejection)과 코로나질량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 사이에 일반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즉, 관련 CME가 관측되는 플레어의 경우, X-선 플라즈마 분출 역시 관측이 되고 비록 잘 관측된 현상이라 하더라도 관련 CME가 없는 경우에는 X-선 플라즈마 분출 역시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999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2년간의 281개의 limb 플레어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CME와 X-선 플라즈마 분출간의 물리적 관계를 통계적으로 연구하였다. 아울러 플레어, X-선 플라즈마 분출, CME 사이의 물리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현상들 간의 시간적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X-선 플라즈마 분출과 CM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일부 X-선 플라즈마 분출은 X-선에서 관측되는 CME의 전조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외뿔소자리 신성 1975의 다단계 분출 현상의 이론적 고찰

  • Kim, Sun-Uk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7-117
    • /
    • 2010
  • 외뿔소자리 신성 1975는 발견 당시에는 백색왜성과 적색왜성의 근접쌍성계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엑스선 관측과 그에 따른 표준 정류 상태 원반 모형에 근거한 해석으로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의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곧이어, 광학관측에 의하여 블랙홀 이중성임이 간접적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들어 1975젼 당시의 많지 않은 전파 관측 자료들을 재해석하여 상대론적인 물질 분출 현상, 즉 마이크로퀘이사 현상이 있었을 가능성이 관측적으로 제시되었다. 우리는 시간 종속적 열적 불안정성 모형을 바탕으로 수치모형을 계산하여 관측적으로 제시된 물질분출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도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Coherent Structure of Open-channel Flows with Submerged Vegetation (침수식생 개수로 흐름의 고유구조)

  • Yang, Won-Jun;Choi, Sou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75-1280
    • /
    • 2006
  • 자연 저항체인 식생은 유체역학적으로 하천의 평균흐름과 난류량을 변화시키며, 이와 관련하여 유사, 영양 물질, 용존 산소, 그리고 서식 동물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식생된 수로의 흐름을 식생에 의해 항력이 증가된 경계층 흐름으로 단순하게 보아 왔으나, 근래의 실험유체역학적 연구는 식생된 하천 흐름에 대한 미시적인 구조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식생수로에서 평균흐름 및 난류량에 관한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부유사의 퇴적, 유입, 이송 등의 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고유구조를 파악하였다. 식생된 개수로 흐름의 일반적인 평균흐름 및 난류구조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고유구조의 경우, 식생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부의 흐름특성이 서로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식생높이 상부에서는 유속이 수면방향을 향하는 분출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으며, 식생높이 하부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유속의 변동성분이 하상으로 향하는 쓸기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수로에 식생이 존재할 경우 부유사의 농도분포가 수심에 따라 일정해지는 것에 대한 물리적인 근거로 파악된다.

  • PDF

Oscillation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Channel Flow with Wall Blowing (채널유동에서 질량분사에 의한 표면유동의 진동 특성)

  • Na, Yang;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7 no.1
    • /
    • pp.62-68
    • /
    • 2009
  • The interaction between wall blowing and oxidizer flow can generate a very complicated flow characteristics in combustion chamber of hybrid rockets. LE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n in-house CFD code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urbulent flow without chemical reactions. The nume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flow oscillations at a certain frequency exists on the fuel surface, which is analogous to those observed in the solid propellant combustion. However, the observation of oscillating flow at a certain frequency is only limited to a very thin layer adjacent to wall surface and the strength of the oscillation is not strong enough to induce the drastic change in temperature gradient on the surface. The visualization of fluctuating pressure components shows the periodic appearance of relatively high and low pressure regions along the axial direction. This subsequently results in the oscillation of flow at a certain fixed frequency. This implies that the resonance phenomenon would be possible if the external disturbances such as acoustic excitation could be imposed to the oscillating flow in the combustion chamber.

Analysis of Coherent Structure of Turbulent Flows in the Rectangular Open-Channel Using LES (LES를 이용한 직사각형 개수로 난류흐름의 조직구조 분석)

  • Ban, Chaewoong;Choi, Sung-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5
    • /
    • pp.1435-1442
    • /
    • 2014
  • This study presented numerical simulations of smooth-bed flows in the rectangular open-channel using the source code by OpenFOAM. For the analysis of the turbulent flow, Large Eddy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and the dynamic sub-grid scale model proposed by Germano et al. (1991) is used to model the residual stress term. In order to analyze the coherent structure, the uw quadrant method proposed by Lu and Willmarth (1973) is used and the contribution rate and the fraction time of the instantaneous Reynolds stress are obtained in the Reynolds stress. The results by the present study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data from previous laboratory studies and direct numerical sim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ejection events is larger than that of sweep events over the buffer layer in the open-channel flow over the smooth bed, however, the frequency of the sweep ev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ejection event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GOX flow change in Hybrid Rocket (하이브리드 로켓의 GOX 유동 변화에 따른 연소 특성)

  • Koo, Won-Mo;Lee, Ch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29-232
    • /
    • 2007
  •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율을 높이기 위해 유동 특성을 바꾸면서 실험을 수행하였고 연소된 연료 내부 표면이 고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연료 표면을 관찰하고 유동가시화 실험을 한 결과 거친 연료 표면의 원인이 검댕 때문이고 이것은 국부적인 산화제 부족현상 때문에 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연소 시 연료 전체에 발생하는 검댕의 특성은 이 현상이 하이브리드 로켓만의 독특한 특징인 분출효과 때문이라고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다.

  • PDF

A Study of Manhole Bursting due to Surcharged Flow in Large Sewer System (대규모 간선에 있어서 써차지 흐름에 동반되는 맨홀뚜껑 비산현상에 관한 연구)

  • Choi, S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4 no.2 s.13
    • /
    • pp.53-59
    • /
    • 2004
  • The mechanism of manhole bursting which occurs at excess rainfall events Is studied by using both the physical model and the numerical model (SWMM ;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The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to steep pressure rising agrees well with that of the physical model at the sewer system under surcharged flow. A cause of manhole bursting is an expansion and spout of the condensed all at manhole that results from the surcharged flow and press wave propagation caused by gate operation or closure of conduit at pumping station.

과냉각수에 분사된 증기제트의 응축특성에 관한 실험

  • Cho, Seok;Kim, Hwan-Yeol;Song, Cheol-Hwa;Bae, Yun-Young;Jeong, Mun-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71-576
    • /
    • 1998
  • 고온의 증기가 과냉각 상태의 물과 직접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현상(DCC Direct Contact Condensation)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두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1단계 연구에서는 간단한 원형관 형태의 수평 노즐을 통하여 증기제트가 대기압 상태의 과냉각수로 분출될 때 증기제트 및 주위의 거동을 측정·분석하였다. 수조의 온도와 증기유량의 변화에 따른 증기제트의 축방향과 반경방향 온도분포와 수조 벽면에서의 동압을 측정하였으며, 고속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증기제트의 분출이미지를 촬영하였다. 벽면에서의 동압은 노즐의 분출구직경과 응축수의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단계 연구에서는 몇가지 형태의 증기분사기 축소 모형에 대한 응축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때에는 수조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수조가 가압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조를 밀봉한 상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시 수조의 압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이는 방출된 증기의 불완전한 응축에 의한 것은 아니고 증기의 분출과 응축으로 인한 응축수의 부피팽창과 수조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증기압의 상승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thermal fluid flow between the gas torch and the steel plate for the application of the line heating (선상 가열을 위한 가스 토치와 강판 사이의 열유동 해석)

  • Jong-Hun Woo;Jong-Gye Sh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9 no.2
    • /
    • pp.52-60
    • /
    • 2002
  • Line heating is a forming process which makes the curved surface with the residual strain created by applying heat source of high temperature to steel plate. in order to control the residual strai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conductive heat transfer between heat source and steel plate, but also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teel plate.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nalyze is temperature distribution of steel plate by simplifying a line heating process to collision-effusive flux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velocity, and conductive heat transfer phenomenon. To analyze this, combustion in the torch is simplified to collision effusive phenomenon before analyzing turbulent heat flux.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field between the torch and steel plate is computed through turbulent heat flux analysis, and the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between effusive flux and steel plate is calculated using approximate empirical Nusselt formula. The velocity of heat flux into steel plate is computed us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emperature field in the steel plate is obtained through conductive heat transfer analysis in which the traction is induced by velocity of heat flux. In this study, Finite Element Method is used to accomplish turbulent heat flux analysis and conductive heat transfer analysis. FEA results are compared with empirical data to verify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