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절핀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Effect on the Flow and Heat Transfer of Endwall by Installation of Cut Pin in Front of Pin-fin Array of Turbine Blade Cooling Passage (가스터빈 블레이드 핀-휜 내부 냉각 유로에 분절핀 설치에 따른 바닥면 유동 및 열전달 특성)

  • Choi, Seok Min;Kim, Su Won;Park, Hee Seung;Kim, Yong Jin;Cho, Hy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4 no.5
    • /
    • pp.43-55
    • /
    • 2020
  • The effect of cutted pin in front of pin-fin array was analyzed for increas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gas turbine blade. Th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flow and thermal characteristics. The base case which is staggered pin-fin array, cut pin case 1 which has X2/Dp=1.25 cut pin and cut pin case 2 which has X3/Dp=1.75 cut pin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cut pin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horseshoe vortex which occurred at the leading edge of pin-fin array. Furthermore, the wake effect is reduced at the trailing edge of pin-fin array. As a result, the heat transfer distribution on the endwall increases. However, the friction factor increases owing to the installation of cut pin, but the thermal performance factor is increased maximum 23.8% in cut pin case 2. Therefore, installation of cut pin will be helpful for increas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pin-fin array of gas turbine blade.

A Kinematic Comparison of Start Motion Between the Swimming and Fin-Swimming (수영과 핀수영 스타트 동작의 운동학적 비교)

  • Kim, Seung-Kw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8 no.1
    • /
    • pp.97-105
    • /
    • 2008
  • The kinematic variables for swimming and fin-swimming start mo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using 3-dimensional cinematography. For the swimming start, the arm segment moved towards the upper rear and trunk towards the upper front followed by a descent towards the lower front, while the fin-swimming start motion showed movement towards the lower front for all segments. The total body center of gravity for the swimming start showed horizontal movement far to the front followed by a rapid descent while the fin-swimming start showed close movement towards the lower front in a short period of time. Upon entering the water, the center of gravity for swimming showed high vertical velocities while fin swimming had high horizontal velocities. For both swimming and fin swimming, the upper extremity velocity had more influence on the total center of gravity velocity than the lower extremities. Flexion of the hip joint was observed before the jump for the fin swimming start while the swimming start showed two flexions in mid-air succeeding the jump. The flexion and extension movements at the knee joint during the fin-swimming start motion were shown to be larger and more rapid than those of fin-swimming.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Type 4 with Fusiform Aneurysm: A Case Report (방추형동맥류를 동반한 제4형 잔류 원시 후각동맥의 영상 소견: 증례 보고)

  • Heecheol Park;Jin Wook Baek;Hae Woong Jeong;Young Jin Heo;Suyoung Yun;Ji-Yeon 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6
    • /
    • pp.1361-1366
    • /
    • 2023
  • The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PPOA) is a rare variant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first reported in 1979. It reportedly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eurysms, owing to the hemodynamic stress induc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pin turn. Herein, we present a rare case of PPOA type 4 with a fusiform aneurysm at the hairpin turn segment in a 46-year-old female with occasional headaches. Time-of-flight MR angiography and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revealed an unusual branch arising from the left A1 segment, running anteromedially along the ipsilateral olfactory tract, and turning the hairpin posterior to the olfactory bulb. This branch continued into the left accessory middle cerebral artery, and a fusiform aneurysm was observed at the hairpin segment. No further treatment was performed, and follow-up imaging was recommended. Nevertheles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and diagnose these rare variations.

Experimental Study on Gasific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Liquefied Gas Vaporizer with Various Shape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액화가스용 기화기의 기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H.;Eldwin, D;Chung, H.S.;Jeong, H.M.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2
    • /
    • pp.5-11
    • /
    • 2007
  • 액화천연가스(LNG : Liquified Natural Gas)는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화하는 방식에는 해수에 의한 기화와 공기에 의한 기화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해수에 의한 기화는 LNG 인수기지에서 대량의 LNG를 NG로 기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에 의한 기화는 LNG 위성기지에서 사용처에 적합한 온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기화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LNG가 NG로 기화하는 과정에서 1kg당 200kcal의 냉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열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식 기화기의 표면에 결빙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화기는 $2{\sim}3$개의 기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비용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는 실제 LNG와 특성이 비슷한 초저온 액화가스인 $LN_2$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기화기의 길이를 4000mm, 6000mm, 8000mm으로 하였고 핀의 type을 finless, 4fin, 8fin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따른 기화기의 성능을 알고자 각각의 계절별 온도와 습도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절별 풍속과 실험을 하는 시간 동안의 유량을 알고자 압력을 1 bar로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의 목적으로는 각각의 변수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 한 후 vaporizer type과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기화기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