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사 지연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응답 인자 정량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Combustion-Response Parameters of Impinging-Jet Injectors for Stability Rating)

  • 손진우;김철진;손채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
    • /
    • 2013
  • 모형 연소실에서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시간지연(time lag)과 간섭인자(interaction index)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산화제 분사 속도의 5%에 해당하는 섭동을 공진주파수로 인위적으로 가진하여 이에 대한 화염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지점인 충돌점들, 즉, 특성길이 위치에서 속도섭동과 열방출율 섭동간의 관계를 시간지연 모델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시간지연을 정량화하는 개선된 방법으로서,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로부터 분사기 출구면으로부터 충돌점까지 평균속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축방향의 평균속도가 증가할수록 시간지연이 짧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기통 디젤엔진에서 함정용 디젤유의 전·후 분사시기가 연소 및 배출가스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post injection timing of diesel fuel for naval vessel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n optically-accessible single cylinder diesel engine)

  • 이형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868-87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함정에 탑재된 추진용 엔진에 사용되는 디젤연료(MDO)의 분사상태를 가시화가 가능한 단기통 디젤엔진에 적용시켜 전 후 분사시기에 따른 연소특성, 일산화탄소(CO) 및 탄화수소(HC) 배출특성을 규명하고, 연소과정의 가시화를 통하여 연소특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전 분사시기가 주 분사시기 쪽으로 지연될수록 실린더 내부 평균유효압력($P_{me}$) 및 최고압력($P_m$)은 상승했으나, 주 분사의 방열율은 저감되고,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의 발생량 또한 감소하였다. 후 분사시기가 빨라질 경우 주 분사에 의해 형성된 고온, 고압 하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린더 내부 평균유효압력 및 최고압력은 증가하였고,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배출수준 또한 증가하였다. 연소과정을 분석한 결과, 전 분사시기가 늦어질수록 주 분사 시 발생되는 착화지연은 매우 짧아지며, 화염강도는 매우 상승하였다. 분사시기에 관계없이 후 분사 시 착화지연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후 분사시기가 늦어질수록 화염의 강도는 점점 떨어졌다.

미스트 분무시간 및 휴지시간 변화에 따른 하우스 냉각효과 검토 (Evaluation of Cooling Effects in Greenhouses with Mist System at Variations of Spraying or Non-spraying Time Durations)

  • 허종철;최동호;임종환;서효덕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9-62
    • /
    • 1999
  • 1. 미스트를 장시간 분사시킬 경우 분사기간동안 온도강하는 분사량에 무관하게 일정하나 분사종료 후 온도상승은 분사량이 많으면 온도상승이 현저히 지연된다. 반면 증가된 습도는 장시간 유지되기 때문에 적정 분사량이 존재한다. 2. 시설하우스내 고온장애와 습도장애를 극복하고 보다 유리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 미스트 분무량을 유지시켜야 하며 동시에 분무시간과 휴지시간을 충분히 고려해야만 한다.

  • PDF

선박용 디젤엔진에서 이단지연분사에 따른 배기 배출물 저감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duction of Emissions for Marine Diesel Engines with a Double Post Injection)

  • 이원주;최재혁;조권회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418-424
    • /
    • 2015
  • 국제해사기구 해양환경보호위원회는 2016년 1월 1일부터 배출통제지역을 통항하는 선박에 대해서 Tier III를 적용하여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를 더욱 강화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 한바다호를 이용하여 실제 운항 중에 주기관을 단일분사와 이단지연분사의 두 가지 조건으로 운전하여 부하별 배기가스, 실린더 압력, 연료소모량 등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운전조건 모두 엔진의 부하가 증가할수록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이단지연분사 시에는 최대폭발압력이 약 10% 이상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약 25~30% 정도 감소하였다. 하지만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의 긍정적인 결과에 반하여 연료소비율이 약 3~5% 정도 증가하는 상반관계가 확인되었다.

액체추진제 로켓엔진 연소기 저주파 동특성 (Low Frequency Dynamic Characteristics of Liquid-Propellant Rocket Engine Combustor)

  • 하성업;정영석;김희태;한상엽;조광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1-101
    • /
    • 2004
  • 분사기와 연소실만을 가지는 연소기의 수학적 선형모델을 가지고, 액체추진제 로켓엔진 연소기에 대한 저주파 동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소실의 압력변화가 추진제 유량변화로 되먹임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저주파 섭동을 나타냈으며. 연소실의 시정수가 증가할수록, 분사기의 차압이 증가할수록, 연소시간지연이 짧을수록 시스템은 안정하였다. 분사기 시정수 변화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연소시간지연이 없는 경우의 시스템은 항상 안정하였으며, 지연시간이 증가할수록 섭동 주파수 및 감쇠율은 줄어들며, 결국 시스템은 불안정하게 되었다.

증발 분무 거동특성 연구에 있어서 PIV 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PIV technique to spray behavior characteristics study in evaporative field)

  • 염정국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1
    • /
    • 2011
  • 디젤기관의 경우는 종래부터 직분식이 주류를 이루었고, 근래에는 분사압력의 고압화가 진행중이다. 분사압력의 고압화에 의해 연소효율의 향상 및 배출가스중의 입자상물질(PM:Particulate Matter)의 저감을 유도하고 있으나, 연소가스의 고온화로 인해 질소산화물(NOx:Nitrogen Oxides)은 증가한다. 따라서, 분사기간의 지연(Retard)이나 파일럿분사(Pilot injection)등의 혼합기제어에 의해 질소산화물의 저감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젤기관에 있어서도 혼합기 형성의 최적화에 의한 연소제어를 시도하는 수법이 중시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디젤분무 구조에 기초한 혼합기의 형성기구에 대한 규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고도의 혼합기형성 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고온 고압장에서의 증발디젤자유분무구조를 해석하였으며, 계측영역은 연료와 주위기체와의 혼합이 활발히 진행되는 분무의 하류영역으로 설정하고, 입자화상속도측정법(particle Image Velocimetry:PIV)을 이용한 분무의 유동해석을 기초로 증발 디젤분무의 구조 해석을 행하였다. 실험조건으로서 분사압력을 72MPa, 112MPa로 각각 변화시켰다.

터보과급기 부착 디젤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turbocharged diesel engine under operation conditions of rapid acceleration)

  • 최낙정;전봉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33-41
    • /
    • 1995
  • 본 연구는 터보 과급기 부착 디젤 기관의 급가속 운전시 기관과 과급기의 과도 응답 성능을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과도 응답 성능 구명은 일정한 회전 속도로 정상 운전중인 기관의 연료 펌프 랙을 10%에서 40%까지 일정 시간동안 급가속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때의 과급기 응답 지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실험은 급가속과 동시에 압축기 출구의 흡기메니폴드 내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추가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공기 분사 압력, 공기분사 기간, 가속률, 가속 시간 등이 압축기 출구의 압력과 온도, 터빈 입구의 압력과 온도, 실린더 압력, 기관과 과급기 회전 속도 등의 응답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가속전 정상 상태의 기관 회전 속도와 적용부하의 변화에 따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분사조건에 따른 커먼레일 디젤 인젝터의 분사율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jection-rate at Different Injection Conditions in a Common-rail Diesel Injector)

  • 김형민;정재우;이기형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6-171
    • /
    • 2007
  • Recently, many studies on HSDI diesel engines have been performed to reduce the fuel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One of the prominent technique to reduce emission is a high pressure multiple injection. For this technique, the injection rate is a critical parameter in order to determine precise injection duration and timing for combustion contro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injection rate and the time-signature of chamber pressure at different injection pressure conditions in a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type injector using the Zeuch method. Using the measured correlation constants, estimated fuel injection rates are presented at many different injection conditions.

  • PDF

분사율을 이용한 직접 분사식 다공 가솔린 인젝터의 분사특성 연구 (Study on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using Injection Rate in a Direct-injection Gasoline Injector with Multi-hole)

  • 박정현;신달호;박수한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0-28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GDI injector with Bosch method.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jection quantity, the injection rate, the maximum velocity of the nozzle exit and the injection delay were studied through the change of the injection pressure, the tube pressure and energizing duration in injection rate measurement device using nheptane. The injection quantity is increased by increasing injection pressure, decreasing tube pressure or increasing energizing duration. As the difference of the injection quantity changed, the shape of injection rate was moved with a constant form. The maximum velocity of the nozzle exi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injection pressure is increased. However, tube pressure did not affect.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sing delay is longer than the opening delay in all conditions. As the injection pressure increased, the result has a tendency to decrease the closing delay, it did not affect the opening delay. Reduction of the closing delay showed the reduction of the injection duration. the tube pressure and energizing duration did not affect the injection delay (opening delay, closing delay).

기체산소/케로신 연소기에서 점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점화 과정 연구 (Ignition Transition by Ignition Position and time of Gaseous Oxygen/Kerosene Combustor)

  • 송우석;손민;신동수;구자예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14-81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점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점화 지연 및 연소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 목표이다. 산화제는 기체 산소를 사용하였고 연료는 액체 케로신을 사용하였다. 점화 지연 및 연소 불안정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압력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정압을 측정하였다. 점화 위치는 분사기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변경하였다. 모든 경우의 점화기 작동 시기를 제외한 점화 시퀀스는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점화 시간은 25 ms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점화 시간이 늦어질수록 초기 압력 피크값과 점화 지연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화 위치가 분사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초기 압력 피크 이후 불안정한 화염 발달 구간이 존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