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비선

Search Result 1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ISTRIBU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SOFORMS IN PERIORAL EXOCRINE GLANDS IN RATS (흰쥐 구강주위 외분비선에서 산화질소 합성동위효소의 분포)

  • Jeong, Jong-Cheol;Kim, Sun-Hun;Ryu, Sun-Yo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v.26 no.3
    • /
    • pp.284-292
    • /
    • 2000
  • 내인성 산화질소는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하여 합성되며 여러 분비선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리라 추측되고 있다. 구강주위 외분비선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분비물의 성분과 분비량은 서로 달라 이들 조직에서 산화질소 동위효소의 분포와 기능을 추론함은 흥미 있는 일이다. 또한 구강주위 외분비선과 분비선의 지배신경의 산화질소동위효소의 분포에 관한 보고는 희박하다. 본 연구는 흰쥐구강 주위 외분비조직, 즉 3대 타액선, 혀의 소타액선, 누선 그리고 구강점막의 피지선과 지배신경 및 신경절에서 eNOS와 nNOS의 분포를 면역조직화학 방법에 의하여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nNOS는 악하선신경절, 대타액선의 분비도관 주위의 신경절후신경섬유, 혀의 소타액선 주위의 신경절후섬유, 누선에서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nNOS는 대타액선과 근상피세포에서 중등도의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중 이하선에서 반응이 가장 약하였으며, 피지선의 분비관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상교감신경절과 삼차신경절, 소타액선의 분비관 및 대,소 타액선의 선포에서는 반응이 매우 미약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eNOS는 혈관의 내피세포와 대타액선의 분비관, 누선의 분비관 및 선포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고, 근상피세포에서 중등도의 반응을, 피지선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모든 신경절과 신경섬유에서 eNOS의 반응은 음성이었고 타액선의 일부 선포에서는 미약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eNOS에 의해 합성된 NO는 악안면영역의 외분비선에서 혈류량의 조절과 분비도관의 기능 조절에 관여하고, nNOS에 의한 NO는 외분비선의 자율신경계에서 신경전달물질로의 기능과 분비도관에서의 분비기능 조절에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 PDF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외투막 선세포의 형태 및 미세구조

  • 이정식;신윤경;조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7-338
    • /
    • 2001
  • 이매패류는 내장 기관계와 외투강 기관계에 다양한 분비선을 가지는데, 이들 분비선은 대부분 단세포선의 형태이다. 선세포의 종류는 기관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기관일지라도 생물종에 따라 현미경적 구조와 기능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외투강 기관계 가운데 외투막 상피층에 존재하는 선세포들은 주로 외투강의 정화 및 패각형성에 관여한다. 아가미에 존재하는 선세포들은 발달된 섬모들과 함께 먹이 포획 기능을 하고, 발의 상피층을 구성하는 선세포들은 점액을 분비하여 내부 근육층을 보호하고 아울러 저질 잠입에 유리한조건을 제시하게 된다. (중략)

  • PDF

건강관리코너 -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과 치료

  • Kim, Tae-Hyeong
    • 방재와보험
    • /
    • s.112
    • /
    • pp.70-71
    • /
    • 2006
  • 전립선이란? 정액의 일부를 형성하는 분비선으로,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쪽에 위치하여 크기는 밤톨 정도이다. 전립선은 우윳빛 전립선 액을 만들어 고환에서 생산되는 정자와 합쳐져 정액을 형성한다. 오르가즘시 전립선의 근육은 이 분비물을 요도를 통해 음경 밖으로 분출시킨다.

  • PDF

개 유방 선암종(Adenocarcinoma) 분비물의 세포학적 진단

  • 황순신;조호성;조경오;박형선;김종은;박남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7-137
    • /
    • 2002
  • 개 유방 종양은 개에서 가장 흔한 종양들이지만 유방 분비물을 통한 세포학 진단의 의의는 크다. 이들 종양의 진단상 병리조직학적 진단은 보편화되어 있으며 그 정확성도 매우 높다. 그러나 진단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 문제를 간과 할 수는 없다. 본 증례는 전남대학교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9살된 암컷 요크셔테리어 종으로서 유선에서 혈액과 고름이 섞인 분비물이 5개월 동안 관찰되었다. 이들 분비물을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diff-quik 염색후 세포학적 진단결과 다양한 형태의 종양세포, 적혈구 및 호중구가 관찰되었다. 종양세포는 대소부동한 다형태성의 핵을 가지고 있었고, 핵소체는 뚜렷하였으며 핵과 세포질 비율(N/C) 도 매우 높았다. 전형적인 유방 선암종(adenocarcinoma) 세포로 진단되었으며 유방절제후 병리조직학적 검사 소견도 세포학적 진단과 일치하였다. 유방 선암종 분비물의 세포학적 진단은 보다 간편하고 적은 비용으로 진단해 낼 수 있었다. 개 유방 선암종 분비물의 세포학적 진단은 국내보고를 쉽게 찾을 수 없었다.

  • PDF

Quantification of Salivary Gland Scan Image and its Correlation with Salivary Flow Rate (타액선 스캔의 정량적 분석과 타액분비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Kim, Sung-Hun;Kim, Youn-Joong;Chung, Sung-Cha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15-224
    • /
    • 2001
  •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진단과에 구강건조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이 0.2ml/min이하인 환자 40명과 구강건조증의 증상 및 징후가 없고 정상 타액분비율을 보이는 10명을 대상으로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을 측정하고 타액선 스캔 검사를 실시하여 주타액선의 스캔 영상을 정량화한 후 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조증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에서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분석시 이하선 및 악하선 모두에서 좌우측 사이의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2.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분석시 구강건조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악하선, 이하선 및 악하선의 합, 양측 악하선 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조군에서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수치와 비자극 전타액 분비율과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구강건조증 환자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4. 구강건조증 환자군을 비자극성 전타액 분비율에 따라 세분하였을 때, 비자극 전타액 분비의 감소가 극심하여 그 측정이 불가능하였던 군은 대조군 및 나머지 구강건조증 환자군에 비하여 타액선 스캔 영상의 정량적 수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the Acinar Cell and Secretory Granules of Parotid Salivary Glan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and the Big White-toothed Shrew, C. lasiura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와 우수리땃쥐 C. lasiura의 이하선 선세포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 비교)

  • Jeong, Soon-Jeong;Jeong, Moon-Jin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4
    • /
    • pp.91-97
    • /
    • 2005
  • The acinar cells and secretory granules of the parotid salivary gland were examined in the lesser white 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and the big white-toothed shrew, C. lasiura. The parotid gland of both species were a serous gland having only one kind of serous acinar cells, and had conventional arrangement of acini and intercalated, granular and striated ducts. In case of C. suaveolens, serous acinar cells had well developed rER, prominent Golgi complex, several large mitochondria and abundant moderate dense secretory granules with various stages of the maturing or fusing process. Immature acinar secretory granules were only or mainly filled with fine strong dense specks and had an indistinct limiting membrane, and mature granules were filled with homogeneous pale large round center and had fine strong dense specks at the periphery of the homogeneous pale center and a distinct limiting membrane. In case of C. lasiula, serous acinar cells had well developed rER, prominent Golgi complex, several large mitochondria and abundant dense secretory granules with maturing or fusing process. Immature acinar secretory granules were only filled with pale rough specks and had an indistinct limiting membrane, and mature granules were only filled with rough dense specks and had a distinct limiting membrane. Eventually The acinar secretory granules of C. suaveolens were seen moderate at the light and ultrastuctural level, those of C. lasiura were strong dense at the light microscopic level and dense at the ultrastructural level.

Ultrastructure of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작은땃쥐 Crocidura suaveolens 악하선의 미세구조)

  • Jeong, Soon-Jeong;Jeong, Moon-Jin;Kim, Do-Kyung;Kook, Joong-Ki;Kim, Heung-Joong;Yoon, Myung-Hee;Park, Joo-Cheol
    • Applied Microscopy
    • /
    • v.35 no.2
    • /
    • pp.65-72
    • /
    • 2005
  • The ultrastructure of submandibular gland was examined in the lesser white-toothed shrew, Crocidura suaveolens. The submandibular gland of C. suaveolens was a mixed gland composed of serous and mucous acinar cells. Secretory granules from the acini were discharged through the salivary ducts into the oral cavity. Serous and mucous acinar cells had well develop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mitochondria and large amount of granules. In case of serous acinar granules, an immature granule was formless and had only dense specks, and a matured granule was a complete round type delimiting by a single membrane and had a homogeneous dense center with dense specks on the border. In case of mucous acinar granules, while an immature granule was a round type and had an only homogeneous matrix and an indistinct limiting membrane, a mature granule was an even round type having a variety of pattern with several dense bands into the homogeneous matrix and had a distinct membrane. Therefore, a mature mucous acinar granule of C. suaveolens was not on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other mammalian species to have a variety of pattern but also from those of C. lasiura to have an even round type. A great serous-like secretory granules and Myelin-like body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and lumen of granular duct cells. Myelin-like body, a characteristic structure only reported in salivary gland of three shrews, was discharged from secretory cell into lumen by the manner of exocytosis which has little differences from discharging manner of secretory granules.

Morphological Changes of Salivarv Gland in the Lucilio illustris during the Pupation (연두금파리 용화에 따른 타액선의 형태 변화)

  • 박의석;김관선문명진김우갑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3
    • /
    • pp.395-403
    • /
    • 1992
  • 화에 따른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Meigen) 타액선의 미세구조 변화와 타액선 내부에 함유된 분비물질의 형성과정 및 물질의 성분을 전자현미경 및 효소세포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 다. 종령유충기의 타액선은 식도의 좌우에 위치한 한쌍의 반투명한 관으로 단층으로 배열된 편평형의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세포질에는 조면소포체와 골지복합체가 풍부하였고, 세포내 물질의 생성이 매우 활발하였으며, 세포질내에 축적된 분비과립은 부분분비에 의해 배출되었다. 전용기의 타액선은 세포가 비후해짐에 따라 타액선의 내감이 줄어들며 타액선의 길이도 감소하였으며, 세포질내 조면소포체의 양적 감소와 대형분비과립의 형성이 현저하였다. 용기에는 대형의 자식성 액포들이 황범위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는 유충시기의 타액선이 변태과정을 거치며 퇴화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타액선 세포에 대한 acid phosphatase외 반응은 주로 내강면에 인접한 리소조옴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종령유충 시기의 타액선 세포질내 지질성분은 주로 기저부에 존재하였으나, 용 형성 48시간 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A Histological Study of Skin on Some Amphibia Inhabitated Chiri Mt. and Moodeung Mt. (지리산과 무등산에 서식하는 한국산 양서류의 피부에 관한 연구)

  • 이승휘;권은호;신영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2
    • /
    • pp.205-209
    • /
    • 2004
  •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ccumulating histological data of skin some amphibia near Chiri Mt. and Moodeung Mt. Analyzed Anura and Caudata were Rana nigromaculata, Rana rugosa, Rana catesbeiana, Hynobius leechii. The histological prepared skin of frogs were compared, of which were selected from dorsal and belly. Excretory glands were identified granular glands, mucous glands, serous glands, vacuoles and excretory ducts in epidermal and dermal tissue. And developing excretory glands, well developed excretory glands and post developing excretory glands were identified also.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as basal data on the comparative epidermal skin histology on some Korean Amphibia. Probably these glands of amphibian skin could be infered which were adaptable structure to ecological suffered condition. Following study of these results were more considerable data for comparative histology, comparative anatomy and comparative physiology and ecology of Amphibia.

Distribution of Substance P(SP) Immunoreactive Nerve Fibers in the Tracheal Submucosal Glands of Cats (고양이 기관점막하분비선에 있어서의 Substance P(SP)양성신경섬유의 분포)

  • ;Yuichi Majima;Yasuo Sakakura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68-68
    • /
    • 1993
  • Immunohistochemistry combined with electron microscopy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ubstance P -immunoreactive(SP-IR) nerve fibers in the tracheal submucosal gland of cats. SP-IR nerve fibers were found to form network around the glands. Numerous varicosities were also detected within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acini and secretory tubules. All the intraglandular varicosities showed close spatial contact with serous cells, mucous cells and myoepithelial cells. Our findings suggest that SP-induced mucus secretion from tracheal submucosal glands in cats may be caused not only by glandular contractile response of myoepithelial cells but also by direct stimulation to both serous and mucous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