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 자신감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듀라터치 분만 교육이 분만 자신감, 분만지식,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oula Touch delivery education on self-confidence delivery, knowledge of childbirth, couple satisfaction)

  • 김금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80-2888
    • /
    • 2013
  • 본 연구는 듀라터치 분만교육이 분만자신감, 분만지식,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경기도 Y시에 소재한 보건소에서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4번 듀라터치 분만교육을 받은 임산부 27명과 경기도 W시에 위치한 D병원에서 2012년 10월부터 2012년 11월 산전 진찰을 받은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듀라터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분만자신감(t=-2.81, p=.007)과 분만지식정도(t=3.5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듀라터치 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는 부부관계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23, p=.818). 분만자신감과 부부관계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4, p=.005).

시뮬레이션 기반 병원 전 외상 교육 과정에서 구조화된 동영상을 적용한 사전브리핑이 몰입감, 자신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briefing using Structured Video in the Pre-hospital Trauma Care Simulation-based Education)

  • 박시은;곽유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1-4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전 외상환자 시뮬레이션에서 동영상을 이용한 사전브리핑이 전통적 사전브리핑을 적용한 그룹에 비해 시뮬레이션 몰입감, 시뮬레이션 자신감, 시뮬레이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대조군 실험설계 연구이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수행했다. 이후 실험 그룹은 훈련의 목표와 결과가 제시된 시나리오 상황과 유사한 약 8분 분량의 비디오를 시청했으며. 반면 통제 그룹은 같은 시간 동안 시나리오와 관련된 고전적인 오리엔테이션 방식을 수행했다. 또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같은 상황에서 12분 동안 시뮬레이션 실습을 하였으며, 같은 연구자가 40분 동안 디브리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참가자들의 시뮬레이션 몰입감, 자신감, 만족도를 측정했다.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상을 활용한 사전브리핑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몰입감과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족도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구조화 된 비디오를 사용한 사전브리핑이 시뮬레이션 몰입감과 시뮬레이션 자신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체험중심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스트레스,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및 태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on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 박미라;이선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6-137
    • /
    • 2018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for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7 pregnant women at 32 weeks or more of a first pregnanc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xiety,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from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our-week experience-focused prenatal program can be used for women in their first pregnancy to reduce their stress and anxiety and to increase their childbirth confidence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Pregnant Women)

  • 김연실;이윤정;박규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134-14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pregnant women's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design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39 participants),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was applied for 120 minutes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40 participants) was provided with a booklet for maternal health car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 2015 to November 30,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Results: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conduct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Further development of a program to mediate the depression of the expectant mothers is needed.

임부의 분만 자신감, 산전 우울, 분만 지식과 배우자 지지는 분만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가? (Do childbirth confidence, prenatal depression, childbirth knowledge, and spousal support influence childbirth fear in pregnant women?)

  • 조현진;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8-36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levels of childbirth fear and related prenatal factors (self-confidence for childbirth, prenatal depression, knowledge about childbirth, and spousal support) among pregnant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A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o explore levels of childbirth fear and related prenatal factors in 200 pregnant women over 28 weeks of gesta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fear of childbirth and related factors, such as self-confidence for childbirth, prenatal depression, knowledge about childbirth, and spousal support. Results: One-third of the pregnant women were aged 35 years and older. Sixty-one percent of women were nulliparae, but only 26.0% had experienced prenatal education. The mean score for fear of childbirth was 66.99 out of 165. The prevalence of fear of childbirth was 72.0%, and childbirth fear was severe in 26.5% of the participants and moderate in 45.5%. Fear of childbirth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confidence (r=-.45, p<.001), but positively related to prenatal depression (r=.21, p=.002). Two significant predictors were found to explain the fear of childbirth. Higher self-confidence for childbirth was associated with less severe fear of childbirth (β=-.44, p<.001), while higher prenatal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more severe fear of childbirth (β=.13, p=.038). Conclusion: The level of fear of childbirth was higher among pregnant women with lower self-confidence and higher prenatal depression. Reasonable evidence should be provided for implementing prenatal and childbirth classes to reduce pregnant women's depression and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분만 체험 산전교육 프로그램 효과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 of Labor and Delivery Experience)

  • 성춘희;박경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716-572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반기의 초임부를 대상으로 분만 체험 산전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연구하였다. 산전교육으로 분만의 이해, 모유수유, 아기돌보기 등 다양한 지식과 분만의 실제상황을 시범하고 체험 교육함으로써 분만지식, 분만자신감, 불안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단일 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설계 연구이다. 대상자의 모집은 무작위로 D시의 On-line카페를 통해 모집되었다. 분만 체험 산전교육은 2014년 4월부터 6월까지 매주 2시간씩 1차에 6회와 2차에 6회 진행되었다. 6회 모두 참석한 초임부 35명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체험 산전교육에 참여한 후에 분만지식(t=-9.07, p<001), 분만자신감(t=-9.00, p<001), 불안(t=14.39, p<001)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평가는 체험부분이 가장 차별화되는 요소이며 가상으로 경험해보는 부분이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하였다. 교육희망횟수는 4회가 적당하며, 88.6%가 다음 임신 시에도 참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부의 호응도가 높았다.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간호사를 위한 모자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모자보건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nal-Child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Tigray, Ethiopia o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 방경숙;이인숙;채선미;유주연;박지선;김형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75-28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저개발국 모자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소 간호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서 모자 보건 간호사 교육을 시행하고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 일개 지역의 5개 보건소 모자보건 간호사 21-34명씩을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한 5개 주제-가족계획, 산전관리, 분만 및 산후관리, 영유아 예방접종, 아동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 후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교육 전과 후에 설문조사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모자보건 관련 5개 모든 주제에서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교육 만족도도 100점 만점에 77-80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결론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보건소 간호사들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실제적인 수행 정확도와 서비스 제공률의 향상 등을 통해 궁극적인 교육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R contents for nursing students

  • Kim, Yu-J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209-216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생 실습교육을 위해 시나리오 기반 입원관리 가상현실(Scenario-based Admission Management Virtual Reality, 이하 SAM VR) 콘텐츠를 개발한 후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SAM VR 콘텐츠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표준실무 절차에 따라 기어 VR과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10분 분량으로 개발되었다. SAM VR 콘텐츠 활용한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 30명은 실습교육 후에 학습몰입감, 학습자신감 및 학습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했다(p<.001). 전통적인 방식으로 실습교육을 받은 대조군은 실습교육 후에 학습자신감은 상승하였으나(p<.005) 학습몰입감과 학습만족도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SAM VR 콘텐츠는 간호학생의 학습몰임감, 학습자신감과 학습만족도에 효과적인 실습교육 콘텐츠임이 검증되었다.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 신체발달과 외부환경 적응 및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ngaroo Care on Physic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External Environment of Prematurity,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 이지원;어용숙;한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28-137
    • /
    • 2016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캥거루식 접촉이 미숙아의 신체발달, 외부환경 적응,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에서 제왕절개분만을 한 미숙아와 미숙아 어머니로서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 한 실험군 19명과 캥거루식 접촉을 하지 않은 대조군 19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이며, 실험군에게 캥거루식 접촉을 하루 3회(1회 60분),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미숙아의 신체발달(체중, 신장, 머리둘레)과 외부환경 적응(체온, 심박동수, 산소포화도)을 캥거루식 접촉 전에 측정하였고, 중재를 제공한 후 다시 측정하였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캥거루식 접촉을 시행한 실험군과 접촉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에서 미숙아의 신체발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체중 t=-0.83, p=.21 신장 t=-0.34, p=.37, 머리둘레 t=1.29, p=.10), 외부환경 적응에서 산소포화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7, p=.02). 미숙아 어머니의 역할수행 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41, p=.34). 결론적으로 캥거루식 접촉은 미숙아의 외부환경 적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Simulation Education about Emergency Delivery for Paramedic Students)

  • 백미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98-103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분만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41명의 자신감, 심리적 안전감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시각적 상사 척도로 교육 전후 자신감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21 문항의 교육 만족도 측정도구와 10 문항의 심리적 안전감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나이(t = -2.22, p = 0.03)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성별(t = 3.70, p = 0.00)과 나이(t = -3.65, p = 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 자신감은 교육 후 6.22점으로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 = -5.878, p = 0.000). 만족도와 심리적 안전감간은 강한 정의 상관관계(r = 0.516, p = 0.001)가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의 영향요인은 심리적 안전감(t = 3.021, p = 0.005)과 교육 후 자신감 (t = 1.936, p = 0.06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시뮬레이션 교육이 적절한 대안교육임을 알 수 있지만 현장 맞춤형 응급구조사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개발, 충분한 인력과 교육시간을 통한 반복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