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후 수태일수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분만후 젖소의 비유능력 및 BCS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 투입 효과에 관한 연구

  • 백광수;우제석;전병순;박수봉;김현섭;이현준;홍의철;안병석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0-120
    • /
    • 2003
  • 고능력 젖소와 보통능력 젖소의 번식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분만후 초발정일을 추정하였고, 번식자료를 통하여 분만 후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비유능력 및 Body condition score(BCS) 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rogram 투입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40일째에 $PGF_2a$를 1차 처리한 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1 차 처리후 14일째에 다시 2차 $PGF_2a$를 처리하였고 2차 $PGF_2a$ 처리후에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2차 $PGF_2a$ 처리후 5일째에 CIDR plus를 처리하여 발정유기율을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progesterone peak를 나타내는 일수는 각각 $38.8 \pm 11.1$$39.6 \pm 9.7$일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음 나.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각각 $99.4 \pm 71.6$$117 7 \pm 78.6$일로 고능력우에서 18.3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다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수태일수에 있어서 각각 $145.9 \pm 102.8$$165.9 \pm 100.8$일로 고능력우에서 20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라.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간격에 있어서 각각 421.5 \pm 107.2$$448.4 \pm 108.7$일로 고능력우에서 26.9일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마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39.1% 및 60.0%,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2.9% 및 70.0%, CIDR plus 처리시 50.0% 및 66.7%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바. BCS에 따라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을 투입한 결과 BCS 2.5 이하와 BCS 2.75-3.50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47.4% 및 48.3%,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0.0% 및 66.7%, CIDR plus 처리시 각 각 50.0% 및 80.0%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 PDF

산차가 한우번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Effect of the Parity on Reproductive Traits of Korean Native Cows)

  • 백광수;고응규;성환후;이명식;류일선;정진관;나승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9-366
    • /
    • 1998
  • 본 조사연구는 산차에 따른 한우 번식우의 초종부, 초임 및 초산일령과 분만후 발정재귀일수, 수태당 종부회수, 분만후 수태일수, 분만간격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0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 성빈우 670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1. 한우 미경산우의 초종부일령은 평균 443.0일이었고 초임일령은 평균 457.0 일이었으며 초산일령은 평균 746.6 일이었다. 2. 산차에 따른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평균 70.1일이었고 산차별로는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이상이 각각 70.5일, 66.4일, 79.7일, 60.4일로 5산차 이상이 가장 빨랐고 (p<0.05), 4산차가 가장 늦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3. 산차에 따른 수태당 종부회수는 평균 1.53 회였고 미경산우, 2.산차, 3산차, 4산차 및 5산차가 각각 1.56 회, 1.43회, 1.48회, 1.67회 및 1.73회로 2산차가 가장 적었고 (p<0.005) 5산차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p<0.05) 미경산우를 제외하고는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수태당 종부회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산차에 따른 분만후 수태일수는 평균 91.2 일이었고 산차별로는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이상이 각각 86.9일, 89.6일, 104.5일 및 107.0일로 산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p>0.05) 대체로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5. 산차에 따른 분만간격은 평균 375.3 일이었고 산차별로는 2산차, 3산차, 4산차 및 5산차 이상이 각각 370.8 일, 371.0일, 395.2일 및 383.9일로 2산차가 가장 짧았고 (p<0.05) 4 산차가 가장 긴(p<0.005)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발정 제어 방법과 계절번식이 한우의 차기수태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최창용;이지웅;조숙현;박효숙;손삼규;문승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75-75
    • /
    • 2002
  • 한우의 사육규모가 다두화 된 농가에서 전년도 발정제어 처리에 따라 수태한 임신우의 분만내역과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발정유기방법별 계절번식처리우의 분만율은 PGF₂α구에서 73%(73/100), PRID 구에서 73.3%(22/30), CIDR 구에서 76.6%(23/30),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81%(81/100)였으며 전체적으로 76.5%(199/260)로 나타났다. 2. 계절번식농가의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암송아지는 23.9㎏, 수송아지는 26.2㎏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는 24㎏, 수송아지는 24.9㎏로써 생시체중에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개월령 체중에서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암송아지 72㎏, 수송아지 75㎏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 75.6㎏, 수송아지 78.3㎏으로 발육상에 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다두사육농가의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송아지 육성율은 86.5%(251/290)이였으며, 발정제어처리구에서는 87.0%(175/201)로써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농가의 사육경험에 따라 6년 이상에서는 84.0%(105/125)였고, 10년 이상에서 88.4%(146/165)로써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육성율이 우수하였다. 4. 발정유기방법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₂α 구에서 92.3일, PRID 구에서 78.5일, CIDR 구에서 64.5일,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65.6 일로 나타났고 분만 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₂α 구에서 147.6 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으며 평균 134.3일이었다.

  • PDF

발정제어에 따른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임석기;최창용;이지웅;박정준;강만종;문승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86-86
    • /
    • 2003
  • 한우의 사육규모가 커짐에 따라 농가에서 암소의 번식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자 다양한 발정제어 처리에 따라 수태시켰으며 이에 따라 임신한 한우번식우의 분만내역과 다음번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발정유기 방법별분만율은 PeGF$_2$$\alpha$구에서 73%(73/100), PRID구에서 73.3%(22/30), CIDR구에서 76.6%(23/30),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81%(81/100)였으며 전체적으로 76.5%(199/260)로 나타났다. 2) 생시체중은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는 23.9kg, 수송아지는 26.2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는 24kg, 수송아지는 24.9kg으로써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개월령 체중에 있어서도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 72kg, 수송아지 75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 75.6kg, 수송아지 78.3kg으로 발육상에 차이가 없었다. 3) 송아지 육성율은 자연발정구에서 86.5%(251/290)이었으며, 발정유기구에서는 87.0% (175/201)로써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농가의 사육경험에 따라 6년 이상에서는 84.0% (105/125)였고, 10년 이상에서 88.4%(146/165) 로써 사육 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하였다. 4)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고 분만 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 PDF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Reproductive Traits in Korean Cattle)

  • 한광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02
  •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5년도 사이에 한우개량단지의 한우 암소에 대하여 조사된 번식성적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에서 초종부일령은 466.11${\pm}$5.72일, 초임일령은 480.10${\pm}$6.15일, 초산일령은 742.79 ${\pm}$7.48일, 분만후 초종부일령은 64.97${\pm}$1.42일, 공태일수는 72.06${\pm}$1.73일, 번식간격은 355.93 ${\pm}$1.92일, 임신기간은 285.38${\pm}$0.42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21${\pm}$0.02회였다. 2) 지역별 각 형질에 대한 범위는 초종부일령은 447.62${\pm}$5.94-490.72${\pm}$5.94일, 초임일령은 464.27${\pm}$6.38-505.20${\pm}$6.39일, 초산일령은 721.91 ${\pm}$ 7.85-772.75${\pm}$7.80일, 분만 후 초종부일령은 62.27${\pm}$1.55~68.97${\pm}$1.74일, 공태일수는 69.74${\pm}$ 1.97-74.36${\pm}$2.27일, 번식간격은 352.71${\pm}$2.18-359.64${\pm}$2.09일, 임신기간은 284.52${\pm}$0.42-286.04 ${\pm}$0.47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11${\pm}$0.02-1.30 ${\pm}$0.02회였다. 3) 초종부일령은 혈통등록우가 가장 길었고 상위등록일수록 일령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 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상위등록우로 갈수록 종부회수가 많게 추정되었다. 4) 분만후 초종부일수는 2산차에서 가장 길었으며 산차가 진행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산차가 진행될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분만년도가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경과할수록 분만후 초종부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 간격이 길어지고 수태당 종부회수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6) 분만후 초종부 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간격은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서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다소 짧게 추정되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젖소에 있어서 삭제(削蹄)가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aw Trimming on Reproductive Efficiency in Lactating Dairy Cow)

  • 백광수;박수봉;박성재;김현섭;이현준;전병순;안병석;허태영;강석진;서국현;정경용;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3-238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삭제에 따른 분만 후 첫 수정일수는 대조구가 180.9$\pm$31.6, 삭제구가 111.9$\pm$17.1일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분만 후 첫 수정일수가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분만 후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가 8두중 2두가 수태되어 $25.0\%$, 삭제구가 9두중 6두가 수태되어 $66.7\%$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3. 분만 후 수태 일수는 대조구가 258.1$\pm$43.3, 삭제구가 151.6$\pm$26.2일이었다.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분만 후 수태일수에 있어서 유의적으로(p<0.05)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삭제에 따른 수태당 종부횟수는 대조구가 1.88$\pm$0.23, 삭제구가 1.44$\pm$0.18회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0.44회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5. 분만 간격은 대조구가 489.3$\pm$47.2, 삭제구가 430.8$\pm$26.2일로 삭제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58.5일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Survey on the Effect of the Herd Size on Reproductive Traits of Korean Native Cows)

  • 백광수;고응규;성환후;이명식;최순호;김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3
    • /
    • 1998
  • 본 조사 연구는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우의 초종부, 초임 및 초산일령과 분만 후 발정재귀일수, 수태당 종부회수, 분만 후 수태일수, 분만간격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0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 성빈우 670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1.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종부일령은 평균 443.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37.9일, 425.5일 및 452.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임일령은 평균 460.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52.8일, 438.4일 및 467.1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3.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산일령은 평균 746.6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741.2일, 730.2일 및 755.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4.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평균 70.1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l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82.1일, 74.1일 및 64.8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5. 사육규모에 따른 수태당 종부회수는 평균 1.53회였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54회, 1.61회 및 1.48회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6.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 후 수태일수는 평균 91.2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15.6일, 99.1일 및 80.6일로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7.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간격은 평균 375.3일이었으며,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389.5일, 383.0일 및 367.4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 PDF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Uterine Infusion of Lipopolysaccharid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with Retained Placenta)

  • 백광수;박성재;박수봉;이왕식;김현섭;정경용;기광석;전병순;안병석;서국현;김태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95-199
    • /
    • 2006
  • 본 연구는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LPS)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12시간이 경과하여도 후산이 배출되지 않은 홀스타인 개체 33두 및 대조구 12두에 대하여 분만후 20일째에 LPS 100 ${\mu}g$을 자궁 내에 주입한 다음 7일후에 발정이 발현되었을 때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공시한 12두가 모두 첫 수정에 의해 수태가 되지 않았고 처리구는 33두중 11두가 수태되어 33.3%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분만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각각 $149.6{\pm}34.3$일 및 $53.0{\pm}12.5$일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태당 종부 횟수는 각각 $3.6{\pm}0.8$회 및 $2.1{\pm}0.3$회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