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리효율

Search Result 2,7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Efficiency of a Cyclone with Clean Air Flow (싸이클론내의 Clean air유입을 통한 집진효율 특성 연구)

  • 임경수;권순박;이규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309-310
    • /
    • 2002
  • 싸이클론은 제작 및 운전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늘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의 샘플링과 여러 산업 공정에서 분진을 제어, 분리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은 입자에 대한 분리효율이 낮기 때문에 싸이클론의 구조 및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싸이클론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등의 운전조건을 변화시켜 높은 분리효율을 얻으려는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Plucinski et al., 1990) 본 연구에서는 싸이클론 입구측의 구조를 변화시켜 싸이클론에 유입되는 기체의 조건을 다르게 하여 분리효율 특성을 알아본다. (중략)

  • PDF

전기부상법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중 유수분리에 관한 연구

  • 소정현;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99-102
    • /
    • 2002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의 유수를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전압에 의한 유수분리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전기분해 1시간 후 3V의 전압만으로도 88%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6V 이상의 전압에서는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에멀젼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조건에서는 전기분해 시간이 경과될 수록 분리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극 간격이 넓어질수록 같은 효율을 얻기 위해 소요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전기분해 시 양극에서는 OH$^{-}$의 방전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음극에서는 H$^{+}$가 방전되어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미세한 기포가 형성된다. 유분의 부상분리 현상은 유분의 (-)charge와 전기분해에 의해서 발생되는 양이온의 결합으로 인한 중화반응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 수소기포로 인만 부상분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압 및 전기분해 시간이 증가하고 전극 간격이 좁을수록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기포의 양이 증가되어 부상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극 종류는 구리 > 알루미늄 > 철 > 티타늄 순으로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극으로 사용된 이러한 금속들의 전기전도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Membrane reactors and its application (분리막 반응기와 청정에너지분야 응용)

  • 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4.03a
    • /
    • pp.61-75
    • /
    • 2004
  • 최근, 분리막의 응용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이 반응과 분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분리막 반응기(막 반응기)이다. 분리박 반응기 (membrane reactor)는 분리박과 반응기를 결합하여 분리와 반응의 단위공정을 하나로 결합하여 전체공정을 단순화하고 반응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반응과 분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막 반응기를 도입하면, 생성물이 분리막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열역학적 평형을 뛰어넘는 전환율과 부반응물(by-product) 억제에 의한 반응 효율을 향상시킨다. (중략)

  • PDF

Models for Measurement of Efficiency of Free Flight Separation Assurance (자유비행 분리보증 효율성 측정모델 연구)

  • Lee, Dae-Yong;Young, Kang-Ja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6
    • /
    • pp.977-985
    • /
    • 2011
  • Airborne separation assurance is a key requirement for Free Flight Airspace operations, This paper study the feasibility of airborne separation assurance for free flight Airspaces operations by evaluating the efficiency measurement models. Three qualitatively different methods are utilized; one based Ground and Air conflict probability model, other based Dynamic Density model. the other based Direct operating cost model. The evaluation is Direct Operating Cost model and Two metrics are utilized for the efficiency measurements; airborne separation assurance performed quite well in the Free Flight evaluation; (1) 2 scenario of the conflict situations are resolved; (2) The MD-80 flight peformed separation assurance and efficiency, Not only appling for geometric method algorithm is more efficiently than potential method, but also the most efficiently geometric combined method.

자연계로부터 방선균의 선택적인 분리 및 탐색

  • 김창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3
    • /
    • pp.35-40
    • /
    • 1992
  • 방선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학문적으로 흥미롭거나 상업적으로 유용한 경우도 많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 자연계에 있어서의 자세한 분포 및 역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적절한 균 분리원의 선택 및 이로부터의 신규 또는 유용한 방선균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자연계에는 아직 미지으 유용한 방선균이 많이 존재함에는 이의가 없다. 따라서 목적을 가지고 방선균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고 이용하는 기술이 향상되면 스크리닝은 성공적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이에 필요한 적절한 균 분리원의 선정, 시료의 전처리, 적절한 배지 등의 선정, 배양조건의 검토 및 효율적인 균 선별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검토하였으며 차후 보다 기본적인 생태학적인 조사 및 분자생물학적인 연구 지원을 통하여 이 분야의 연구는 더욱 발전하리라 보여진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arallel plate Arrangement and Oil/water Separation Efficiency for Plate type Oily water Separator (분리판식 유수분리기의 평행판 배열과 유수분리 효율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n Won-Hui;Kim Gwang-Su;Lee Jin-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2
    • /
    • pp.52-60
    • /
    • 2001
  • The need to control the oil content in oily bilge water discharges to meet the increasing stringent seawater pollution standard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gravity type separators. Among the several gravitational methods, a plate type oily water separator can be used as an assistant equipment for the oil filtering system to meet the present IMO standard of 15 ppm, because it is believed to be an efficient method dealing with a large amount of rich oil with high specific grav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oil/water separ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ng plate arrangement.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an efficient treatment oil-water mixture with vari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including flow rates, inlet oil concentrations and the height between the plat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eight between the plat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paration efficiency. The best efficiency was acquired when the ration of the height between the plates the plates to distance(H/Ci) was 2 with lower inlet oil concentration and lower flow rate.

  • PDF

청.녹색 발광다이오드의 전기광학적 성능 분석 기술

  • Sim, Jong-In;Kim, Hye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50-50
    • /
    • 2010
  • 최근 InGaN 양자우물구조에 기초한 청색, 녹색 반도체 발광다이오드 (LED)는 장수명, 고효율, 친환경이라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응용에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가시광 LED들이 고휘도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되기 위하여서는 많은 효율향상이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LED의 성능을 나타내는 각종 효율들을 상호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LED 효율을 상호 분리하여 측정할 수 있는 기술들이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대부분은 실험적으로 찾아 가는 경험론걱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는 LED의 각종 효율들을 상온에서 상호 분리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분리 측정 기술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가시광 LED의 각종 효율들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소개한다. LED의 효율은 주입된 전자 가운데 몇%가 광자로 변환되는가를 나타내는 내부양자효율(IQE)과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자 가운데 몇 %가 LED chip 외부로 나오는 가를 나타내는 광추출효율(LEE)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IQE는 주로 결정성장상태에 의하여, LEE는 주로 소자구조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한편 LED의 광출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서는 LED 췹내에서의 전류 분포 및 전계분포를 매우 균일 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제작된 LED에서는 공간적인 비대칭으로 인하여 전류가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흐르는 현상, 즉 전류집중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표에서는 IQE와 LEE를 순수 실험적으로 분리 측정할 수 있는 방법, 전류집중현상을 측정하고 제어 할 수 있는 방법등을 소개한다.

  • PDF

Preparation of hollow fiber membrane for degassing by melt spinning and drawing method. (용융방사와 연신에 의한 용존기체 제거용 중공사 분리막의 제조)

  • 김승일;이의소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85-186
    • /
    • 2003
  • 막을 이용한 분리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혼합물에서 원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는 기술로 여기에는 고-액, 액-액, 기-액분리가 모두 포함된다 현재까지 분리공정은 주로 여과, 증류, 추출, 흡착등 방법이 있으나 에너지소비가 많고, 설비투자비가 많이 들며 효율이 낮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 막을 이용한 분리기술이다. 막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장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에너지소비와 설비비를 최소화하면서도 고효율의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중략)

  • PDF

젖산균의 Plasmid DNA 분리방법 및 Electroporation에 의한 젖산균의 형질전환에 관한 연구

  • Kim, Seon-Gi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7.05a
    • /
    • pp.41-61
    • /
    • 1997
  • 젖산균의 유전자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간단하고 신속한 plasmid DNA의 분리방법과 electro-poration을 이용하여 vector plasmid의 간단하고 신속한 전이방법을 얻기 위해 젖산균의 형질전환에 영향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O'Sullivan과 Klaenhammer의 방법을 개선하여 젖산균 plasmid DNA의 분리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신속하고 쉬운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genomic DNA 분리에 이용되는 guanidium thio-cyanate 처리방법을 plasmid의 분리에 적용할 수 있었다. 2. L. casei, L. acidophilus. L. delbruekii var. bulgaricus. L. brevis와 L. plantarum 균주에서 plasmid를 확인하였으며, 돼지 분에서 분리된 L. lactis ssp. lact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에서도 plasmid를 분리 확인하였다. 3. Lactococci의 plasmid분리는 lactobacilli와는 달리 mutanolysin의 처리없이도 잘 되었으며, L. lactis ssp. lactis와 Ent. faecalis에서 plasmid를 확인하였다. 4. E. coli plasimd 분리에 이용되는 MPS membrane filter 방법으로 젖산균 plasmid pLZ12의 분리가 가능하였으나, 세포파편이 filter를 막아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Plasmid 분리없이 electroporation을 이용한 세포 대 세포 전이법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E. coli DH5${\alpha}$에 E. coli Jm109의 plasmid pBX19, pBR322를 전이시켰다. 6.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lysozyme 처리시 30${\sim}$8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L. acidophilus 균주의 경우 약 70%의 생존율을 보였다. L. casei 102S의 경우는 45분간 처리 시에도 100%의 생존율을 보였다. 8.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pLZ12를 6.0kV에서 전이시킨 결과 12.5kV에서보다 형질전환 효율이 훨씬 높았으며 lysozyme 처리에 의해 형질전환 효율이 증가되었다. 9. L. acidophilus 균주에 pLZ12를 전이시 6.0kV에서는 전이가 모두 이루어졌으나, 12.5kV에서는 L. acidophilus WIESBY와 NCFM에서 전이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lysozyme 처리 후 pLZ12를 전이시켰을 때 12kV보다 6.0kV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증가되었다. 10. Gene Pulser와 Progenitor II를 사용하여 pLZ12를 L. lactis ssp. lactis 균주에 전이하였을 때 Gene Pulser에 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를 electroporation시 낮은 전압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좋았으며, 배양 시기를 달리하여 전이시켰을 때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가 형질전환 효율이 좋았다. 12. L. casei 102S세포를 각각 10% glycerol, EB, 2차 증류수 등에 녹여 electroporation을 실시하였을 때 각각 $3.8{\times}10^3$, $5.0{\times}10^2$,1.5${\times}10^2$cfu의 형질전환 효율을 보였으며, 1.0mM HEPES, TE buffer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전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3. Plasmid pLZ12의 농도를 달리하여 electroporation을 하였을 때 형질전환 효율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14. L. casei 102S에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를 채취하여 10% glycerol, 200 Ohms, 25 ${\mu}$FD, 10kV/cm로 plasmid pLZ12를 electroporation할 때 최대 형질전환 효율인 3.8${\times}$10$^{3}$cfu를 얻었으며, lysozyme 처리가 다른 젖산균과는 달리 형질전환 효율을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15. L. casei 102S 세포를 10% glycerol과 EB에 녹여 -20$^{\circ}C$에서 냉동시킨 다음 1일과 7일 후의 세포를 electroporation한 결과 냉동시 세포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Solid/Liquid Separation Technique for Krill (Eupausia superba) (남극 크릴새우의 고액분리 기술개발)

  • Oh, I.H.;Jang, C.H.;Kim, W.G.;Yang, S.Y.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7 no.1
    • /
    • pp.33-38
    • /
    • 2011
  • Economic development involves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s well as human health care. Consequently, demand for fish meal and fish oil is rapidly growing. In particular, Krill (Eupausia superba) oil product is in high demand due to its rich unsaturated-fatty acid, and thus stable supplies are necessary in the krill oil market. It is required for captured krills to be immediately frozen and stored during ship transport, since proteins of the krill are quickly denatured in natural temperature condition. However, the transportation cost has been sharply increased, which encourages researchers to involve in studies for development of efficient oil extraction process. In this study, a solid/liquid separation technique on boat for the krill oil was developed through triple separation tests using only a separator or using either brush or crusher prior to the separator. The separation tests revealed that the efficiency were 46.2, 60.2 and 60.4 % by the separator, combination with brush, and combination with crusher, respective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yproduct, extracted cake, derived from the separation process could be used as a feed stuff.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shing using the brush or crusher prior to the separator is more efficient than using only the sepa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