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리면

Search Result 8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기체분리막의 응용 및 국내 현황

  • 오상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3a
    • /
    • pp.53-77
    • /
    • 1994
  • 기체 분리 방법의 종류 일반적으로 기체를 분리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가 있다. Cryogenic Separation (심냉분리법) : 기체를 압축, 냉각, 액화 시킨후 boiling point 차이를 이용한 증류볍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말하며 기체 분리 기술중 가장 오래된 기술이다. Adsorption (흡착법) - PSA : 분리 하고자 하는 기체를 흡착제에 흡착 시키고 흡착되지 않는 잔류 기체는 다른 용리에 이송한 후 흡착된 기체를 온도차, 압력차 등을 이용하여 탈착 시키면서 기체를 분리하는 방법이다. Membrane Separation (막분리법) : 특수하게 제작된 막의 한쪽면으로기체 (여러 종류의 기체분자로 구성된 혼합기체)가 접촉되어 막 반대면의 압력이 저압 상태로 될때 혼합기체증의 특정기체가 막을 투과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을 말하며 이때에 투과현상은 막과 친화성이 좋은 특정기체분자가 압력차를 Driving Force로 하여 막의 표면에 용해 되고 이어서 막 내부에서 농도구배에 의한 확산이 일어나고 다른면에서 탈착 되어지는 원리이다.

  • PDF

암수 분리에 의한 브로일러 사육의 장점과단점 ( I )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4 s.154
    • /
    • pp.124-127
    • /
    • 1982
  • 브로일러 암수 구분사육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균일한 육계생산과 유전적 이용면에서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브로일러 성별 구분사육의 유전적인 면, 영양적인 면, 관리적 고려사항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PDF

A Fundamental Study on Induction Technology of Separation Behavior Using Two-sided Adhesion of Joint of Composites Waterproofing System (시트-도막 복합방수공법의 접합부 2면 접착을 통한 분리거동 유도 기술에 관한 기초적 연구)

  • Park, Jin-Sang;Lee, Tae-Yang;Kim, Dong-Bum;Park, Wan-Goo;Heo, Neung-Hoe;Oh, S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3 no.3
    • /
    • pp.212-219
    • /
    • 2015
  • This study focuses evaluating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type sheet-membrane waterproofing method that utilizes a separation behavior inducement system designed to resolve the chronic problems of disintegration and damage of overlap areas of waterproofing layers. As the result of the test, the tensile strength value was at 13.8N/mm and elongation rate at 587% for the separation behavior inducement type specimen, and the compared specimens had 14.2N/mm for tensile strength and 335% for elongation rate. For the separation behavior adhesion method specimen, when tensile stress or displacement occurred, the Zero-Span tension occurrence did not follow, which resulted in that the bottom sheet layer and the top membrane layer did not simultaneously becoming damaged. When undergoing the top and bottom layers were separated through separation behavior due to lack of flexibility, the bottom layer began to damage at the primary stage, and with the allowed boundary the upper membrane layer began to display flexibility and showed continuous displaced resulting in secondary phase damaging.

Segmentation of Seabed Points from Airborne Bathymetric LiDAR Point Clouds Using Cloth Simulation Filtering Algorithm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 해저면 포인트 클라우드 분리를 위한 CSF 알고리즘 적용에 관한 연구)

  • Lee, Jae Bin;Jung, Jae Hoon;Kim, Hye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8 no.1
    • /
    • pp.1-9
    • /
    • 2020
  • ABL (Airborne Bathymetric LiDAR) is an advanced survey technology that uses green lasers to simultaneously measure the water depths and oceanic topography in coastal and river areas. Seabed point cloud extraction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to further utilizing the ABL data for various geographic data processing and applications. Conventional seabed detection approaches often use return waveforms. However, their limited accessibility often limits the broad use of the bathymetric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ata. Further, it is often questioned if the waveform-based seabed extraction is reliable enough to extract seabed. Therefore, there is a high demand to extract seabed from the point cloud using other sources of information, such as geometric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 ground filtering method to seabed extraction from geo-referenced point cloud data by using CSF (Cloth Simulation Filtering) method. We conducted a preliminary experiment with the RIGEL VQ 880 bathymetric data,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CSF algorith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eabed point segmentation.

영월 옥동굴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32
    • /
    • pp.65-81
    • /
    • 1992
  • 1960년 영월면이 상동면 봉하리를 통합하여 영월읍으로 승격하였고 1963년 겅북 봉화군 춘양면 덕구리가 상동면에 편입되고 수주면 월현ㆍ부곡ㆍ구림리가 횡성군에 이관되었다. 1973년 상동면이 정선군 신동면 천포리 일부를 편입하여 상동읍으로 승격하였다. 1986년 상동읍이 분할되어 중동면과 상동읍으로 분리되었는데 영월군에서는 가장 동남 구석에 위치한다. 요컨대 삼국시대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계쟁지에 해당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교통의 요지로서 점차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중략)

  • PDF

Laboratory Experiment of Two-layered fluid in a Rotating Cylindrical container (원통형 이층유체의 회전반 실험)

  • 나정열;최진영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1
    • /
    • pp.17-23
    • /
    • 1993
  • A right cylindrical tank with sloping bottom and top (${\beta}-effect$) is filled with two-layered fluid and is put on the rotating table. External fluid of same density as the lower-layer fluid is continuously injected to drive the lower-layer current. By minimizing the interfacial stress between two layers the motion in the lower-layer deformed the shape of interface such that the upper-layer adjust itself to the variations of the interface in terms of its direction of flow patterns .The most significant parameter is the internal Froude Number($F_1$) and when $F_1$ is greater than 6 two-cellular circulation of the upper-layer changes its direction, there by creates a separation of Western boundary current. The separation position moves to the most northward when $F_1$ equals to 6.

  • PDF

MEIS를 이용한 Cu3Au(100)의 Surface Induced disorder 직접관찰

  • 오두환;강희재;채근화;김현경;문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79-179
    • /
    • 1999
  • Cu3AU(100) 단결정은 fcc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100)면은 Cu와 Au가 1:1로 존재하고 가운데(200)면은 Cu만 존재한다. 따라서 Au 층은 (100)면에서만 존재하여 각 Au층은 서로 0.5nm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은 Cu3Au(100) 단결정을 MEIS(Medium Energy Ion Scattering Spectroscopy) 실험 장비를 사용하여 0.35nm 떨어져 있는 Single unit cell의 윗면과 아래면, 즉 첫 층의 Au와 셋째층의 Au의 층분리를 통해서, 온도 변화에 따른 Cu3Au(100) 단결정의 표면 물리적 현상인 surface induced disorder을 밝혀내고자 한다. 우선 두 Au층의 분리 시도는 수소이온을 이용한 실험 조건에서는 extremely glancing exit angle 등 극한의 산란조거에서도 성공하지 못하였다. 깊이 분해능을 정해주는 electronic energy loss를 극대화하기 위해 수소이온이 아닌 질소 이온을 사용하여 energy spectra를 측정해 본 결과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표면 Au 층과 표면 셋째 Au층을 구분할 수 있었다. <110>으로 align된 조건에서는 셋째층의 Au 원자들이 완전히 shadow cone 내부에 존재하여 관측되지 않지만 9.75$^{\circ}$ tilt 한 경우 셋째층의 Au 원자들이 shadow cone 바깥으로 나오게 되어 그림에서와 같이 첫째 층과 셋째 층이 확실히 분리되어 측정되었다. 이를 바탕을 Cu3Au(100)의 온도변화에 다른 order disorder and segregation 현상을 측정하였다. ordered Cu3Au(100)은 28$0^{\circ}C$ 근처에서 surface층이 먼저 disordered상으로 바뀌는 surface induced disorder 현상이 일어나고 bulk transition 온도 39$0^{\circ}C$ 이하에서 R.T으로 온도를 낮추면 본래의 ordered 구조로 되돌아간다. 하지만 bulk transition 온도를 지나면 order-disorder transition이 비가역적이고 segregation 현상이 일어난다.

  • PDF

The Differentiation of: Reproduction of Educational Capital and Gated City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 - 학력자본 재생산의 차별화와 빗장도시 -)

  • 최은영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88-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부모세대의 사회ㆍ경제적 지위에 따라 결정된 거주지에 따라 자녀세대의 학력자본이 차별적으로 재생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고학력으로 대표되는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의 거주 비율이 높은 분리된 거주지에서 재생산되는 학력자본은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모두 매우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많이 높아졌지만 4년제 대학 진학으로 제한해 지역별 학업 성취를 비교해 보면 지역별 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략)

  • PDF

투과증발공정의 기초 이론

  • 염충균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3a
    • /
    • pp.1-23
    • /
    • 1996
  • 투과증발(Pervaporation)이란 어원적으로 "permeation"과 "evaporation"의 합성어인데 액체혼합물이 치밀한 비다공질막을 통해 이동하는 동안 증기화되면서 분리되는 막분리 공정이다. 이 공정에서 막 한쪽면은 액체공급액과 접하고 있고 다른 한쪽면은 낮은 투과물의 증기압과 접하고 있는데 낮은 증기압은 진공(vacuum pervaporation)을 가하거나 혹은 불활성의 담체가스(sweep gas pervaporation)를 흐르게 하므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막 내부에 트과증발막공정의 추진력인 화학 포텐셜(chemical potential) 구배가 발생하여 막을 통한 물질투과가 이루어지는데 각 투과성분의 투과속도는 투과성분과 막재료간의 물리화학적 인력에 의해 결정된다.의 물리화학적 인력에 의해 결정된다.

  • PDF

Tubular형 막에 의한 우유농축

  • 김인철;전종영;탁태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4a
    • /
    • pp.60-61
    • /
    • 1995
  • 유업에 있어서 분리막의 이용은 에너지 절약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분리 농축에 있어서는 증발 또는 진공 농축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대량의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크며, 특히 열변성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관심을 끌게 된것이 막분리 공정을 응용한 농축공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