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리공시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2초

수도 품종간 교잡에 있어서 간장의 유전분리 ⅩIV. 단간 품종간 조합에 있어서 간장과 $GA_3$ 반응성의 분리 (Segregation Mode of Plant Height in Crosses of Rice Cultivars ⅩIV. Segregation of Culm Length and $GA_3$ Response in Crosses of Dwarf Cultivars)

  • 김용권;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5-170
    • /
    • 1990
  • 단간유전자와 GA$_3$ 반응성과의 연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단간품종들 Fukei 71, 설악벼, Tanginbozu와 이들의 F$_1$ 및 F$_2$에 GA$_3$를 처리하여 절간신장에 미치는 지베렐린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1. 공시한 단간품종들중 설악벼와 Tanginbozu는 GA$_3$에 간장이 크게 신장되었으나 Fukei 71은 GA$_3$에 간장이 신장되지 않았다. 2. 3개 교배조합의 F$_1$은 모두 장간으로 나타나 Fukei 71, 설악벼 및 Tanginbozu는 서로 다른 단간유전자가 간장에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F$_1$에 GA$_3$를 처리하였을 때 모두 간장이 크게 신장하여서 GA$_3$ 무반응성에 대하여 GA$_3$ 반응성이 우성으로 작용하였다. 3. GA$_3$ 반응성 품종간 조합 설악벼/Tanginbozu의 F$_2$에서는 GA$_3$를 처리한 결과 모든 개체들에서 간장이 신장되어 전체적으로 장간화하였으며 간장은 대체로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4. GA$_3$ 반응성 품종과 무반응성 품종간 조합 즉 설악벼/Fukei 71과 Fukei 71/Tanginbozu의 F$_2$에서는 무처리구에서 대체로 9:7과 9:6:1의 분리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에서는 대체로 13:3의 분리경향을 보였다. 5. 설악벼/Fukei 71, Fukei 71/Tanginbozu 조합의 F$_2$에서 GA$_3$ 무반응성 개체만을 골라 Fukei 71로 backcross한 BC$_1$F$_1$ 개체에 GA$_3$를 처리하여 간장과 GA$_3$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조합내 개체들간에 간장의 분리를 인정할 수 없었고, GA$_3$ 처리에 무반응성을 보였다. 따라서 Fukei 71의 단간유전자 d50은 GA$_3$ 무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

황색포도상구균 분리배지 비교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Isolation Media for Staphylococcus aureus)

  • 오민희;강성일;홍상필;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06-611
    • /
    • 2009
  • 황색포도상구균 분리에 사용되고 있는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및 Petrifilm에 대하여 성능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민감도는 30종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하여 분리배지의 특징적인 콜로니를 형성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는데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 Petrifilm>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아닌 균주를 이용하여 측정한 선택성은 4종 분리배지 모두 위양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품에서의 회수실험은 4종 배지 모두 회수 효율이 비슷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수산건제품에서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추정되는 콜로니를 분리하여 4종 배지에서 위양성, 위음성 발현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 이외의 대부분 분리균주에서는 위양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S. carnosus ssp carnosus의 경우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와 Petrifilm에서 위양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aird-Parker 한천평판배지(RPF)에서는 위양성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실험에 공시된 배지 중에서는 선택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흰빛잎마름병 저항성유전에 관한 연구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Caused by Xanthomonas oryzae (Uyeda at Isheyama) Dowson in Rice)

  • 손재근;김문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6-162
    • /
    • 1980
  • 벼 흰빛잎마름병의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와 그 유전양식을 조사하여 저항성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몇 가지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고분얼기와 출수기때의 저항성정도는 품종에 따라 상이한 반응을 보였고 공시품종중에서 IR2061-465-1-5-5, IR2061-553-6-9, IR1561-228-3-3, 밀양 42호는 공시된 3균주에 대해 최고분얼기나 출수기에 모두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2. 질적저항성이 동일한 품종군에 속하는 품종중에서도 저항성정도의 양적인 차이는 크게 인정되었고, 그 차는 품종군별로는 밀양 23호군에서 균주별로는 II 균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3. IR2061-465-1-5-5와 IR1561-228-3-3의 II균군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F_1,F_2$$F_3$ 세대의 분리양상으로 보아 $1\~2$개의 유전인자에 의해 저항성이 지배된다고느 보기 어렵고 상당수의 유전인자가 이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약용식물로부터 오이흰가루병에 대한 항균성물질 탐색 및 동정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Fungicidal Compounds Derived from Medicinal Plants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 백수봉;경석헌;도은수;오연선;박병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0
    • /
    • 1994
  • 50종의 약용식물추출액을 공시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고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공시약용식물중에서 대황의 물추출액은 200배의 희석농도에서도 100%의 포자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서 가장 효과가 있었고, 대황의 물추출액 50배, 알콜추출액 100배, 조물질 500배, 표준품 1000배 희석농도까지도 60%이상의 발병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조물질 500배액에서 2회 이상 살포하면 100% 발병억제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조물질 100배 액에서는 약해가 있었으나 500배액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대황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은 anthraquinone유도체인 1,8-dihydroxy-3-methyl-9,10-anthracenedione과 1,8-dihydroxy-3-methoxy-6-methyl-9,10-anthracenedione으로 잠정 동정되었다.

  • PDF

Streptomyces sp. 에 의한 참깨 시들음병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및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 (Biological Control with Streptomyces sp. on Fusarium oxysporum f. sp. vasinfectum and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Causing Sesame Wilt and Blight)

  • 정봉구;홍기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1-237
    • /
    • 1991
  • 참깨 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괄항균(括抗菌) Streptomyces spp.의 길항현상과 생물학적 방제 효과를 구명코져 참깨 시들음병(F. oxysporum f. sp. vasinfectum)과 역병(P. nicotianae var. parasitica)이 발생한 포장에 이병주로 부터 병원균을 순수분리(純粹分離)하였고 괄항균(括抗菌)은 충북일원의 고추, 참깨포장의 72점의 흙으로 부터 공시 병원균에 효과있는 괄항균(括抗菌)을 대치배양법(對峙培養法)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괄항균(括抗菌) St-11 과 St-20 을 공시하여 병원균에 대한 균사저지원, 괄항균(括抗菌) 배양 여액에서의 병원균의 생육저지, 발아억제 빛 lysis 를 관찰 조사하였고 괄항균(括抗菌) 현독액(縣獨液 )(St-11) 을 종자에 처리할 경우 참깨생육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온실에서 괄항균(括抗菌)의 토양접종에 의한 참깨시들음병과 역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병원균 단독 접종구에 비하여 40-78% 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 PDF

토양별 근류균접종이 대두의 근류형성 및 질소개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oculation effect of R. japonicum on the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in Glycine max with the different kinds of soil.)

  • 유익동;김창진;김성훈;이윤;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7-192
    • /
    • 1986
  • 대두근류균 접종제 개발을 목적으로 수집 분리되어 우수균주로 선발된 근류균(Rhizobium japonicum)을 대상으로 가기 재배경력이 상이한 3종류의 토양에 장엽콩을 공시 품종으로 하여 접종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류형성정도 및 질소고정활성을 보면 근류균무접종구에 비하여 근류균을 접종함으로써 3토양 모두 현저한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활성의 증가를 보였고 그에 따라 대두의 생육정도도 양호하여 평균 10%의 건물중의 증가를 보였다. 토양별 총질소고정활성의 증가지수는 개간전토양 238%. 미숙전토양 266%, 숙전토땅 157%로 개간전 및 미숙전토양에서 접종효과가 뚜렷하였다. 공시 근류균주별 접종효과는 Rhizobium japonicum R-214, R-138 균주가 우수한 접종효과를 나타냈다.

  • PDF

흰 토끼풀에서 분리한 강낭콩황반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동정 (Identication of Bean Yellow Mosaic Virus from Trifolium repens)

  • 유갑희;이순형;나용준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8-52
    • /
    • 1986
  • 흰토끼풀에 황색모자이크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주를 채집하여 병즙액의 지표식물반응과 물리적 성질조사, 풍매전염시험, 바이러스입자의 형태관찰 그리고 항혈청반응 등의 방법으로 병원바이러스의 동정을 시도한 결과 강낭콩황반모자이크바이러스(BYMV)로 밝혀졌다. 공시병원바이러스의 지표식물반응은 명아주에 전체국부반응, 잠두의 접종엽에 국부반응, 줄기와 상위엽에 각각 양저증상과 모자이크반응을 보였으며, 강남콩에는 엽맥양저, 황색모자이크 또는 축엽이 되고 순이 고사하였다. 또한 완두, 녹두, 팥과 red clover에는 모자이크 반응을 나타냈다. 바이러스입자의 형태 및 크기는 740nm정도의 사상입자이며,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이 가능하였다. 바이러스병즙액의 생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65^{\circ}C$, 내희석성이 $10^{-3}\;-\;10^{-4}$, 내보존성이 3일이었다. 순화된 공시바이러스는 일본 식물바이러스 연구소로부터 분양받은 BYMV항혈청과의 혼합침강반응결과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의 미생물오염(微生物汚染)에 관(關)하여 (Microbiological Studies on Feed Supplements)

  • 박수경;탁련빈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32-140
    • /
    • 1986
  • 시판(市販)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에 대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오염정도(汚染程度)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國內)에서 판매(販賣)되고 있는 비타민과 횡물질(鐄物質)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 36개(個) 품목(品目) 총(總) 81례(例)의 시료(試料)를 시험(供試)하여 일반세균(一般細菌) 및 대장균군(大腸菌群)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검사(檢査)하고 아울러 시료(試料)로부터 분리(分離)한 83주(株)의 대장균군(大腸菌群)에 대한 Am등(等) 8종(種)의 항균성낙제(抗菌性樂劑)에 대한 내성빈도(耐性頻度) 및 내성정도(耐性程道)를 파악하였으며 내성균(耐性菌)에 있어서는 내성양상(耐性樣相)과 R plasmid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일반세균(一般細菌)은 시료(試料) 81례(例) 모두 양성(陽性)이었으며 대장균군(大腸菌群)은 81례중(例中) 14례(例)(17.3%) 에서만 양성(陽性)이었다. 일반세균수(一般細菌數)의 분포(分布)는 g당(當) 10미만에서부터 1,400,000까지 다양(多樣)하였으며 그 중(中) 100~1,000/g이 34례(例)(42%)로 가장 많았고 대장균군(大腸菌群)에 있어서는 일반세균(一般細菌)의 오염도(汚染度)가 높을수록 분리율(分離率)이 높았으며 총(總) 18개(個) 제조회사중(製造會社中) 6개사(個社)(33.3%)의 제품(製品)에서 양성(陽性)이었다. 공시균(供試菌) 83주중(株中) 41주(株)(49.4%)가 fecal coliform이었다. 공시균(供試菌)에 대한 약제별(藥劑別) 내성균출현율(耐性菌出現率)은 sulfadimethoxine (Sa)에 대해 92.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treptomycin (Sm)에 67.5%, tetracycline (Tc)에 50.6%, kanamycin (Km)에 26.5%, chloramphenicol(Cm)에 18.1%, ampicillin(Am)에 15.7% 순(順)이었으며 nalidixic acid(Na)와 gentamicin (Gm)에는 전주(全株)가 감수성(感受性)이었고 각공시(各供試) 약제(藥劑)에 있어서 non-fecal coliform에 비하여 fecal coliform의 내성균출현율(耐性菌出現率)이 높았다. 공시균(供試菌)의 최소발육저지농도(最小發育沮止濃度)(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분포(分布)는 Am 및 Km에 대하여 MIC가 $3,200{\mu}g/m{\ell}$ 이상(以上)인 고도(高度)의 내성(耐性)을 가진 균(菌)이 각각(各各) 7주(株) 및 3주(株)이었으나 대부분의 내성균(耐性菌)은 그 MIC가 $25{\mu}g/m{\ell}$이었고, Cm, Sm 및 Tc에 대한 내성균(耐性菌)의 대부분은 $25{\mu}g/m{\ell}$에서 $400{\mu}g/m{\ell}$의 범위(範圍)이었다. 공시균(供試菌) 83주중(株中) 79주(株)(95.2%)가 공시(供試)한 약제(藥劑) 1종(種) 이상(以上)에 내성(耐性)을 가졌으며 내성형별(耐性型別)로는 SaSm 내성형(耐性型) 및 Sa 단제내성형(單劑耐性型)이 각각(各各) 12주(株)(14.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aSmTc형(型) 10주(株)(12%), SaSmTcKm형(型) 7주(株)(8.4%), SaTc형(型) 7주(株)(8.4%) 및 SaSmKm형(型) 6주(株)(7.2%)의 순(順)이었으며 총(總) 19종(種)의 내성형(耐性型)이 관찰되었다. 내성전달시험(耐性傳達試驗) 결과(結果) 내성균(耐性菌) 79주중(株中) 32주(株)(40.5%)가 전달성(傳達性) R plasmid를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며 다제내성균(多劑耐性菌)일수록 내성전달률(耐性傳達率)이 높았다. 공시(供試) 약제별(藥劑別) 내성전달빈도(耐性傳達頻度)는 Am (100%) 및 Cm (80%)에서 매우 높고, 다음으로 Tc (38.1%), Sa (18.2%), Sm (17.9%) 및 Km (4.5%)의 순(順)이었다.

  • PDF

생물학적(生物學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야생두과식물근류(野生豆科植物根瘤)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BIOLOGIAL NITROGEN FIXATION -I. Study on symbiotic nitrogen-fixing activities of wild nodule bacteria)

  • 이상규;류진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1978
  • 우리나라 산야(山野)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수종야생두과식물(數種野生豆科埴物)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과 건물생산력(乾物生産力)을 알기 위하여 실내(室內) 및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야생두과식물(野生豆科埴物)에서 분리(分離)된 균(菌)의 Acetylene 환원력(還元力)(질소고정력(室素固定力))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Rhinchosia Volubilis Lovr.(여우콩)의 근류균(根瘤菌)은 924 n mole, Desmodium Oldhami Oliver(큰도둑놈의 갈쿠리)의 근류균(根瘤菌)은 844 n mole 그리고 Glycine zoja S.et z.의 근류균(根瘤菌)은 271 n mole/test tube/hr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Rhizobium japonicum 0.6 n mole/test tube/hr 비(比)하여 대단히 높았다. 2. 분리(分離)된 균(菌)의 혈청반응계(血淸反應結果) 공시(供試)된 8종(種)의 균주(菌株) 모두가 Rhizobium japonicum과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3. Glycine soja S.at Z.를 공시(供試)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4. 각시기별(各時期別) 총균류수(總根瘤數)는 NoPK구(區)보다 종합처리구(綜合處理區)에서 현저(顯著)히 많았으나 유효근류(有效根瘤)의 수(數)의 차(差)는 크지 않았다. 5. 식물체내(植物體內) 질소함량(窒素含量)의 증가(增加)는 건물(乾物)의 증가(增加)를 갖여왔다. 다. 근류개체당(根瘤個體當) 질소고정량(窒素固定量)은 종합처리구(綜合處理區)보다 NoPK구(區)에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