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나무 분석

Search Result 59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mparison of Variable Importance Measures in Tree-based Classification (나무구조의 분류분석에서 변수 중요도에 대한 고찰)

  • Kim, Na-Young;Lee, Eun-Ky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5
    • /
    • pp.717-729
    • /
    • 2014
  • Projection pursuit classification tree uses a 1-dimensional projection with the view of the most separating classes in each node. These projection coefficients contain information distinguishing two groups of classes from each other and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measure of classification in each variable. This paper reviews the variable importance measur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line with growing data size. We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projection pursuit classification tree with those of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CART) and random forest. Projection pursuit classification tree are found to produce better performance in most cases, particularly with highly correlated variables. The importance measure of projection pursuit classification tree performs slightly better than the importance measure of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Analysis on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Mt. Changan, Ch nbuk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 군락 분석)

  • 김영식;김창환;길봉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43-152
    • /
    • 1999
  •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림을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법(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신갈나무림의 분석결과 신갈나무-철쭉꽃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조릿대군락의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CCA에 의하여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신갈나무, 철쭉꽃, 노린재나무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고광나무, 함박꽃나무, 까치박달은 습하고 유기물 함량 및 전질소, C.E.C등의 양료가 양호한 지역에 소나무, 굴참나무, 붉나무, 병꽃나무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 신갈나무림의 분포와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도, 토양습도, 유기물함량, 지형, pH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Morphological Variation of Berberis amurensis Complex (Berberis amurensis complex의 형태 변이 분석)

  • Hyun, Chang-Woo;Kim, Young-D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2
    • /
    • pp.93-109
    • /
    • 2008
  • The morphological variation was analysed to examine previous hypotheses on the taxonomy of B. amurensis complex which includes B.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Nakai and B.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The results from the univariational and principal components analyses employing 22 putatively diagnostic characters indicate that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is distinct from var. amurensis in the length and width of leaves, angle of leaf apex, distance between spinose teeth,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whereas B. amurensis var. latifolia is different from other varieties in the angle of leaf apex and leaf length/width ratio.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characters of the leaf including leaf width and length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those three taxa. The evidence both from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es and current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suggest that retaining the varietal status for the two taxa, B. amurensis var. latifolia and B.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is reasonabl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ive Conifers in Korea (국내 자생 구과식물의 분포 및 특성)

  • Jong Cheol Y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지리적 분포가 한정적인 한반도 구과식물들은 점점 서식지 내 생육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구과식물의 지속이용가능한 보전을 위해서는 각 종별 형질 특성 및 분포, 생육정보 등의 기초정보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구과식물(Pinidae, Conifers)은 전 세계적으로 나자식물(Gymnosperms)의 3/5정도인 630여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rjon, 2008). 은행나무나 소철나무류 등 다른 나자식물과 비교하여 여러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구과(웅성, 자성 구과)를 형성하고, 잎은 대부분 바늘형으로 단순하며, 상록성인 특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 분포 및 식재되고 있는 나자식물 중 은행나무와 소철나무를 제외한 모든 나자식물이 구과식물에 속한다. 구과식물이 전 세계적으로 넓은 분포역을 갖지만, 종별로는 제한적인 분포를 갖는 것들이 많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과식물 대부분도 동북아시아에만 분포하는 종들이 대다수이다. 한반도 구과식물은 총 5과 12속 23종 5변종 총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과는 5속 12분류군으로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중복형질이 확인되었으며, 측백나무과는 3속 9분류군으로 눈향나무를 변종에서 종 수준으로 적용하였고, 어청도에서 해변노간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개비자나무과는 1속 3분류군으로 수형에 따라 큰개비자나무, 눈개비자나무, 개비자나무로 구분하였다. 주목과는 비자나무속을 포함하여 2속 3분류군으로 설악눈주목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학적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나한송과는 1속 1분류군으로 신안군 가거도에서 나한송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구상나무와 분비나무의 형태적 구분형질이 모호함에 따라 집단별 유전정보 분석을 통한 계통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는 빙하기에 북부지역의 조상종이 남하하여 분화되고, 후빙기에 중부지역까지 분포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Numerical Taxonomy of Korean Ilex (Aquifoliaceae) (한국산 감탕나무속(Ilex L.) 식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 Hwang, Seung-Hyun;Park, Seon-Joo;Kim, Joo-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7 no.4
    • /
    • pp.401-418
    • /
    • 2007
  • We performed the numerical analyses of thirty two morphological characters for twenty four populations of eight Korean Ilex L. taxa.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showed that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were related to the total covariance by 67.0%, and the proportions of PCl, PC2 and PC3 were 31.5%, 21.1%, and 14.4%, respectively. And the closely related characteristics to the PCl, PC2 and PC3 were some reproductive characters such as the morphology of sepal, petal, anther, pistil and fruits and vegetative characters such as the morphology of petiol and leaf margin, the trichomes on the twigs, the leaf duration. From the two dimensional plottings by the eigenvalues of PCl, PC2 and PC3, six grouped were clustered as Ilex integra, I cornuta, I x wandoensis, I. rotunda, I. macropoda and I. macropoda for. pseudomacropoda, I. crenata and I. crenata var. microphilla. The numerical analysis was useful for the taxonomy of Korean Ilex because it clearly seperated the populations of taxa included in this study. The identification key was provided with the diagnostic characters.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House-Tree-Person Test Analysis Model (딥러닝 기반 집-나무-사람 검사 분석 모델의 개발)

  • Cho, Seung-Je;Cho, Geon-Woo;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58-561
    • /
    • 2021
  • 심리학에서 사람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집-나무-사람 검사(HTP Test)는 피실험자가 그린 집, 나무, 사람을 포함하는 그림을 사용하여 피실험자의 심리를 분석하는 투영 검사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HTP Test 에 사용되는 그림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며, 성능 평가를 통해 심리학에서의 딥러닝 모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또한 그림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사전 훈련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ImageNet 과 스케치 데이터셋으로 사전 훈련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감정 분석을 위한 이미지 객체 추출부, 추출된 객체로 피실험자의 감정을 분류하는 감정 분류부로 구성되어 있다. 객체 추출과 이미지 분류 모두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며, 이미지 분류 모델은 서로 다른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사전 훈련한 후, 훈련 데이터셋으로 전이 학습하여 모델의 성능을 비교한다. 그림 심리 분석을 위한 HTP test 스케치 데이터셋은, HTP Test 와 동일하게 피실험자가 3 개 클래스의 집, 나무, 사람의 그림을 그려 자체 수집하였다.

A reappraisal of Sambucus pendula Nakai on Ulleung Island and its allies (울릉도 말오줌나무와 근연종의 재검토)

  • Lim, Hyo-In;Chang, Kae Sun;Lee, Heung Soo;Chang, Chin-Sung;Kim, Hu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3
    • /
    • pp.181-192
    • /
    • 2009
  • Sambucus pendula Nakai, which is an endemic on Ulleung Island of Korea, is characterized by a large pendulous inflorescence and small fruit. A set of 256 individua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intraspecific variation of S. racemosa subsp. kamtchatica, S. racemosa subsp. sieboldiana, and S. williamsii including S. pendula using 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This analysis showed that S. pendula was distinct based on its large inflorescence and long peduncle. Our data showed a morphological distinction between subsp. kamtchatica from northeastern areas and subsp. sieboldiana from Jeju Island, but the two taxa overlap in the southern and eastern parts of Korea in terms of chromosome number, color of style, and allozyme data. Our study agrees that S. pendula on Ulleung Island may be the result of genetic drift that occurred during isolation since the Quarternary period. This has been suggested as a reason for the genetic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wo taxa and would explain the unique variation patterns of S. pendula. However,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S. racemosa complex and S. pendula is not considered sufficient to warrant recognition of specific status. Therefore, we recommend that only one polymorphic species of S. racemosa in Eurasia be recognized and that S. pendula be considered a subspecies of S. racemosa.

Forest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tand Characteristics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Mt. Cheongok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산림군락분류 및 임분특성)

  • Shin, Jae-Kwon;Byun, Jun-Gi;Kim, Ju-Yeong;Choi, Seung-Ho;Kim, Dong-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7-47
    • /
    • 2018
  • 본 연구는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총 49개의 고정방형구를 설치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산림군락분류와 임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로는 신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독일가문비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소나무군, 철쭉군, 고로쇠나무군, 미역줄나무군으로 세분되었으며, 고로쇠나무군은 박달나무소군과 고로쇠나무전형소군으로, 미역줄나무군은 애기감둥사초소군과 미역줄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9개의 식생단위의 층위별 중요치 분석결과를 보면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32.2%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잣나무(10.1%), 소나무(10%), 일본잎갈나무(9.1%) 순으로 나타났고,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 (18.9%), 당단풍나무(11.7%), 물푸레나무(8.9%), 잣나무(7.2%) 등이 높은 값으로 분석되었다. 관목층에서는 철쭉(12.2%)와 당단풍나무(8%)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다른 수종들은 10% 미만의 값을 가졌다. 초본층에서는 조릿대(8.5%), 산숙국(6.6%)등이 높게 나타났다. 식생단위별 종다양성지수를 보면 식생단위 8인 일본잎갈나무군락이 1.76로 가장 높았으며, 박달나무소군 1.73, 소나무군 1.72, 철쭉군 1.71 순으로 분석되었다. 우점도는 모든 식생단위에서 0.2 이하로 다수의 종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Analysis of Choice Behavior for Tour Type of Commercial Vehicle using Decision Tree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화물자동차 투어유형 선택행태 분석)

  • Kim, Han-Su;Park, Dong-Ju;Kim, Chan-Seong;Choe, Chang-Ho;Kim, Gye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6
    • /
    • pp.43-54
    • /
    • 2010
  •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tudies on tour based approaches for freight travel demand modell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our type choice behavior of commercial vehicles which are divided into round trips and chained tours.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based on the decision tree and the logit model.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explanation variables for classifying tour types of commercial vehicles are loading factor, average goods quantity, and total goods quantity.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ethod are similar to those of logit model. In addition, the explanation variables for tour type classification of small truck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for medium trucks', implying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vehicle tour planning is how to load goods such as shipment size and total quantity.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se)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 Kwon, Hyejin;Song, Hokyung;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3
    • /
    • pp.233-250
    • /
    • 2008
  •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from the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were examined to reevaluate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e). Comparing to its morphologically closely related S. pseudocamellia Maxim, S. koreana has diagnostic characters including a larger leaf blade (10 cm length and 5.5 cm wide) and a longer pedicel (2.5 cm length). In addition, S. koreana formed a different clade from S. pseudocamellia in the ITS trees. The morphological and ITS sequence data supported S. koreana as a Korean endemic species distinct from the closely related species, S. pseudocamel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