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뇨 원단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stimation of Production Unit Loads of Livestock Manure Based on TOC (TOC 기반 가축분뇨 발생 원단위 산정)

  • Lee, Yunhee;Kim, Yongseok;Park, Jihyung;Oa, Seong-Wo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403-409
    • /
    • 2014
  •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livestock manure based on total organic carbon (TOC) is being required to apply TOC as an indicator in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In this study, TOC based unit loads of pig manure known as highly contributing to water pollution assessed. The concentration of pig manure, amount of manure production including cleaning water, and unit loads were investigated targeting 52 farms according to 4 major river basins, rearing form, farm scale, and piggery form. The manure production was highly generated in scraper type of piggery, in small scaled farm rearing sow, and in Han River basin and Nakdong River basin. The averaged manure production was 7.4 L/head/d in total river basins. Averaged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as TOC 16,037 mg/L, BOD 10,559 mg/L, TN 4,145 mg/L, and TP 503 mg/L. Corresponding unit loads were assessed as TOC 117.1 g/head/d, BOD 77.1 g/head/d, TN 34.7 g/head/d, and TP 3.67 g/head/d.

Characteristics of Unit Load Generation and Discharge from Livestock Resources (축분자원화물 발생 및 배출부하 원단위 특성)

  • Han, Gee-Bong;Lee, Young-Siu;Lim, Jai-Myu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6 no.4
    • /
    • pp.82-90
    • /
    • 2008
  • The generation amounts of manure and urine were total 4.57kg/head/d of 1.49kg manure/head/d and 3.08kg urine/head/d with consideration of 3 seasons and live weight. The finalized mean unit load generation of filth were estimated at BOD 199.5g/head/d, CODCr 413.5g/head/d, T-N 27.8g/head/d, T-P 5.3g/head/d with consideration of seasons and the type of stalls. The unit load generation of manure and urine from korean cow were analyzed as 10.9kg/head/day and 3.3kg/head/day, respectively. The unit load generation of manure from milch cow was analyzed to be 24.6L/head/day which was similar to the report of MOE(2006). The urine generation, 10.5L/head/day, was higher than the results from MOA(2000) and NIAR(2000), but was lower than the results from MOE(2006), NIER(1986) and KIST(1990). The unit load generation from egg layers estimated by discharged amount and concentration analysis increases in due to the difference of planting head numbers, feed stuffs and manure disposal. In case of deer unit load generation by herbivora were calculated to be higher than data from existing references because of the gap between weight per livestock and the generation amounts of manure and urine.

  • PDF

Study on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xcretory Treatment Facil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City (분뇨처리시설 운영 및 개선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 Lee, Jang-Hown;Shin, Hyun-Go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30 no.4
    • /
    • pp.123-13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a plan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excretory treatment facilities in Seoul, where the amount of excrement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of septic tanks, a private sewage treatment facility. As a result, there are problems due to the lack of treatment capacity and increase in the amount brought in.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verall excretory treatment facility, adjust the area of some facilities, reduce the amount of excrement through the realization of excretory units, and reduce the amount of excrement due to the change of the type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unit load generation and discharge from livestock resources of piggery (돼지 축분자원화물의 발생 및 배출부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 Han, Gee-Bong;Kang, Young-Hee;Yoon, Ji-Hyun;Rim, Jay-Myoung;Won, Chul-Hee;Choi, Se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4 no.3
    • /
    • pp.91-100
    • /
    • 2006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zation of unit load generation and discharge from various type stall of pigger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ontaminants loading from piggery urine, manure and wastewa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t load generation of filth increases as piggery grow older, but there was not large enough difference among those values of unit load evaluated for various stall types if mean values of each type of stall are considered. The generation amounts of manure and urine were total 4.57kg/head/d of 1.49kg manure/head/d and 3.08kg urine/head/d with consideration of 3 seasons and live weight. The finalized mean unit load generation of filth were estimated at BOD 199.5g/head/d, $COD_{cr}\;413.5g/head/d$, T-N 27.8g/head/d, T-P 5.3g/head/d with consideration of seasons and the type of stalls. The wastewater unit loads discharged from cement type stall were estimated at BOD 31.3g/head/d, $COD_{cr}\;95.6g/head/d$, T-N 8.9g/head/d, T-P가 3.1g/head/d. The sum of manure unit load generation considered with manure collection ratio(80%, 90%) and wastewater unit load was almost similar when compared to the unit load discharged from slurry type stall even though more or less difference were appeared according to each contaminants and parameters.

  • PDF

Assessing nutrient losses from paddy fields treated liquid manure (액비시용에 따른 논에서의 영양물질 부하량 평가)

  • Jang, Taeil;Son, Jae Jwon;Son, Jae J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5-515
    • /
    • 2016
  • 농경지에서의 액비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적정 액비시비량에 대한 기준과 사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환경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동태를 모니터링하고, 관개수, 침투수, 및 배출수 중 영양물질의 부하량을 평가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화학비료 표준시비구, A)와 양돈분뇨액비 표준시비처리구(B)로 구성하였으며, 기상관측 측정을 위하여 자동기상관측기, 유입량, 유출량 측정을 위한 계측장비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담수의 경우 B 처리구에서 시비 시기별로 영양물질의 수질 농도가 첨둣값을 보여주었으며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표 이벤트 중 6월 25-26일 강우에 따른 유출수의 분석결과는 액비의 영향으로 T-N 및 T-P의 경우 초기 강우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7월 21-22일 강우 분석 결과는 T-N, T-P(50배)가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여주었다. 침투량은 많으나 수질변화는 처리구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하량은 각 이벤트별 10분 간격의 유량 측정과 30분 및 1시간 간격(첨두 이후 탄력적 적용)으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B 처리구에서 부하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2.2배, 그리고 T-P의 경우 6.6배 높게 나타났다. 2015년까지의 데이터는 평년대비 강수량의 부족으로 추가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원단위 부하량을 평가할 계획이다. 또한 본 연구는 액비시용에 따른 농경지에서의 영양물질 유출에 따른 관리방안 개발을 위한 연구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향후 새만금 유역내 축산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축산분뇨 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eview Study on Integrated Carbon Cycle System for the Dairy Cattle Production (젖소 사육에서 탄소 순환 체계에 관한 고찰 연구)

  • Kim, Ki-Youn;Ko, Han-Jong;Kim, Chi-Ho;Choi, Eun-Gyu;Kim, Joung-Ku;Ryou, Young-Sun;Kim, Hyeon-Tae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18 no.1
    • /
    • pp.19-24
    • /
    • 2012
  •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mission coefficient of organic carbon regarding its inflow and discharge for dairy farm through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or reported previously. Its second objective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stablish carbon cycle system related to livestock produc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emission coefficients by inflow of organic carbon into dairy farm were 5.9 ton C/head/year for feedstuff ingestion by milk cow, 2.3 ton C/head/year for recycling manure compost of milk cow to grassland, 318 g C/$m^2$/year for contents in grassland, 145 g C/$m^2$/year for contents in fodder crop, and 17 g C/$m^2$/year for $CO_2$ uptake by fodder crop,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mission coefficients by discharge of organic carbon from dairy farm were 2,9 ton C/head/year for emission of $CO_2$ and $CH_4$ by respiration and burp of milk cow, 0.4 ton C/head/year for emission of $CO_2$ and $CH_4$ by decomposition of organic carbon in manure of milk cow, 440 g C/$m^2$/year for emission of $CO_2$ from grassland, and 0 for elution of organic carbon in grassland into underground water, respectively.

Establishment of Database and Distribution Maps for Biomass Resources (바이오매스 자원 DB 구축과 분포도 작성)

  • Kim, Yi-Hyun;Nam, Jae-Jak;Hong, S. Young;Choe, Eun-Young;Hong, Seung-Gil;So, Kyu-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5
    • /
    • pp.379-384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nati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biomass resources produced in Korea annually via establishing database (DB) and distribution maps of biomass resources data including as livestock manures, food wastes and agricultural by-product. The information of the annual production of each biomass resources was obtained from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Ministry of Environment (MOE) an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Based on biomass resources data, we established database architecture table about livestock manures and food wastes. The distribution maps for the total amount of manures produced from each livestock animal were built up in both national and regional scales and used for analysis of the space-based and time-based distribution of the manure resources. Distribution maps for food wastes and agricultural by-product were also produced,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analysis through resource mapping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ources of collectable biomass feasibly determining suitable region for establishment of a biomass-energy production. The biomass distribution maps graphically provide the information regarding biomass resources to policy-makers, farmers, general users and it wa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policy-making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and bio-energy.

A Study on Pollutant Loading Estimation in Seonakdong Basin (서낙동강 유역에서의 오염부하량 산정기법 연구)

  • Kim, Young-Do;Hwang, Jin-Young;Kwon,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8-1101
    • /
    • 2006
  • 최근 3대강특별법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는 환경부의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해 서낙동강 유역인 낙본N 단위유역에 대한 해당 지자체의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이 수립된 바 있다. 낙본N 단위유역은 서낙동강을 중심으로 좌측의 대부분이 경상남도 김해시이고, 우측과 하류부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이다. 서낙동강은 평상시에는 주요 농업용수 공급원과 철새도래지로서 홍수시에는 거대한 유수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서낙동강 유역내에는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농업 및 축산활동, 내수면 양식어업, 오염원 배출공장 등의 점, 비점오염원이 있으며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에 의해 조절되는 정체수역으로서 오염부하강도가 높은 유입지천들로 인하여 상습적인 녹조 발생수역으로 수질개선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 유역으로 낙본N유역의 소유역 중 배출부하량이 가장 큰 지류에 해당하는 조만강 유역인 낙본N06 소유역의 오염원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기법을 검토하였다. 장래 오염부하량 예측은 자연증가, 개발계획, 삭감계획에 의해 산정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과거 오염원조사, 부하량산정, 폐수 배출부하량 모니터링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이 따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오염부하량산정 과정에서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오염원 자료의 증감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결과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방대한 오염원자료를 이용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관리 프로그램(Access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각 오염원별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결과와 환경부의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제시한 각 오염원별 오.폐수발생원단위, 배출원단위, 전환계수, 배출계수 등을 이용하여 각 오염원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조사나 장래 오염원 예측에서 있을 수 있는 오차에 대한 전체 배출부하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방대한 양의 오염원 조사시에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할당부하량을 개별 오염원별로 할당하고 적정한 개발계획과 실현가능한 삭감계획 및 이행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오염원조사를 수행함에 있어 기초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오염부하량 산정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by contamination group in a small watershed (소유역의 오염원그룹별 오염물질 배출특성 분석)

  • Shin, Min Hwan;Lee, Su In;You, Na Young;Jeon, Je Ho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4-4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정량화를 위해 오염원 그룹별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경기도 가평군 일대이며, 소유역을 8개의 세유역으로 구분하여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산정하였다. 오염원 현황자료는 2012년 전국오염원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행정구역 단위의 오염원 조사 및 행정구역과 유역의 경계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의 오염원별 점유율은 토지종합정보망(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LMIS)의 연속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비로 산정하였다. 또한 발생원 단위는 실측자료를 우선으로 하되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제시하는 발생원단위를 적용하였다. 대상유역 내에는 산업계, 양식계, 매립계의 오염원은 없었으며, 생활계와 축산계, 토지계 중 축산계의 발생부하량이 BOD, T-N, T-P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총 891.51kg/day로 산정되었으며, 이 중 축산계가 포함되어 있는 유역의 BOD 발생부하량이 전체의 76.4%에 해당하는 680.70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출부하량은 생활계, 축산계, 토지계 중 BOD와 T-N은 토지계 배출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T-P의 경우 축산계의 발생부하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총 89.84kg/day로 산정되었으며, 이중 유역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세부 소유역의 BOD 배출부하량이 전체의 30.5%에 해당하는 27.4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T-P 발생부하량은 14.12kg/day로 산정되었으며, 축산계가 포함되어 있는 소유역의 T-P 발생부하량은 전체의 64.3%에 해당하는 9.08kg/day로 가장 높았다. 이는 대상유역 내 축산농가의 분뇨가 위탁 처리됨에 따라 발생 부하량에 비해 배출부하량은 상당량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BOD와 T-N의 경우 축산농가의 영향이 적었지만, T-P의 경우 자연농도가 낮기 때문에 축산농가의 배출부하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오염원의 정량적인 발생원 규명을 위해서는 오염원 그룹이 포함되어있는 지역에 대하여 장기적인 실측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