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극

Search Result 1,10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piezoelectric porperties of organic polymeric materials (유기 고분자재료의 압전특성에 관한 연구)

  • 김종석;박강식;박광현;조기선;김진식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5 no.3
    • /
    • pp.295-301
    • /
    • 1992
  • 본 연구는 고분자 압전 재료인 PVDF 필름을 시료로 사용하고 분극 조건을 변화시켜 가며 분극화 시킨후 압전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X-선 회절 장치와 DSC 장치를 이용하여 결정구조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분극에 의해 생성된 결정의 용융특성도 관찰하였다. 분극되지 않은 시료의 용융 온도는 약 175.deg.C 부근에서 나타났으나 분극된 시료는 분극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184.deg.C부근에서 새로운 용융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분극 전압이 증가할수록 새로운 용융점이 점차 뚜렷해졌다.

  • PDF

강유전체 $Pb(Zr,Ti)O_3$박막에 대한 분극피로와 회복현상의 비대칭적인 성질

  • 채병규;박철홍;장민수;권식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84-84
    • /
    • 1999
  • 최근 큰 잔류분극을 가진 강유전체 Pb(Zr, Ti)O3 박막을 이용한 비휘발성 기억소자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Pb(Zr, Ti)O3 박막을 비휘발성 기억소자로 응용하는 경우 분극피로(polarization fatigue), imprint, 누설전류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분극반전 횟수가 증가할수록 잔류분극이 감소하는 분극피로 현상은 비휘발성 기억소자의 응용에 있어서 치명적인 장애가 되므로 기억소자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분극피로 현상의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b(Zr, Ti)O3 강유전체 박막의 분극피로 현상을 규명하고 개선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가 실험적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Pt와 금속산화물인 LaNiO3을 이용하여 상·하부 전극을 달리하여 제조한 축전기에 대해서 분극피로 특성을 관찰하고 이로부터 분극피로 현상에 대한 전극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금속산화물인 LaNiO3 박막과 Pt 박막은 r.f. 스퍼트 법으로 증가하였으며 Pb(Zr, Ti)O3 박막은 LaNiO3/Si(100)/와 Pt/Ti/SiO2/i(100) 기판위에 졸겔법으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분극피로된 박막의 상부전극에 극성이 다른 직류전압을 인가해주었을 때 나타나는 분극회복 현상을 광범위하게 관찰하였으며, 특히 직류전압의 극성에 따라 비대칭적인 분극회복 특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직류전압에 대한 비대칭적인 분극회복현상에 착안하여 양과 음의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스윗칭 펄스를 인가하여 분극피로 특성을 조사한 결과 비대칭적인 분극피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Pv(Zr, Ti)O3 박막의 분극피로와 회복의 비대칭적인 현상은 분극피로 현상의 기구를 밝히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부 계면에서의 산소빈자리의 역할로 분극피로 현상을 모형화하였다.식각하기 시작하였으며, 19.5J/cm2에서 유리기판의 rudraus(격벽 두께 130$\mu\textrm{m}$)까지 식각하였다. 대한 정보(RDF)는 명확하게 얻을 수 있었다.nospec과 SEM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Ge 함량 변화에 따른 morphology 관찰과 변화 관찰을 위하여 AFM, SEM, XRD를 이용하였으며, 이온주입후 열처리 온도에 따른 활성화 정도의 관찰을 위하여 4-point probe와 Hall measurement를 이용하였다. 증착된 다결정 SiGe의 두게를 nanospec과 SEM으로 분석한 결과 Gem이 함량이 적을 때는 높은 온도에서의 증착이 더 빠른 증착속도를 나타내었지만, Ge의 함량이 30% 되었을 때는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XRD 분석을 한 결과 Peak의 위치가 순수한 Si과 순수한 Ge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e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순수한 Ge쪽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였다. SEM, ASFM으로 증착한 다결정 SiGe의 morphology 관찰결과 Ge 함량이 높은 박막의 입계가 다결정 Si의 입계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 값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동물 세포에 유전자 발현벡터로써 사용할 수 있음으로 post-genomics시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기능연구에 맡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no)화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 기존의 기능성 안료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등을 유도 할 수 있다. 역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특수소재 개발에 있어 최적의 나노 입자 제어기술 개발 및 나노입자를 기능성 소재로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의 제조와 고압 기상 분사기술의 최적화에

  • PDF

Calculation of Polarization Curves using CFD Analysis (CFD 해석을 통한 분극곡선 계산)

  • Im, Gyeong-Hwan;Lee, G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11a
    • /
    • pp.75-75
    • /
    • 2012
  • 전기도금 공정에서 분극곡선은 도금액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금 실험에서는 도금액의 특성 및 실험 계획수립을 위해 필요하고, 도금 계산에서는 시뮬레이션의 경계조건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분극곡선 측정은 실험 및 계산에 앞서서 수행되는 중요 과정이다. 이러한 분극곡선 측정을 실험으로 얻는 대신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해석을 통하여 계산으로 분극곡선을 얻는 방법을 시도하였고, 이 때 회전속도를 변수로 하여 유동과 분극곡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Negative Induced Polarization Effects for Two-Dimensional Structures (2차원 구조에 대한 음수의 유도분극 효과)

  • Kim, Hee J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1 no.2
    • /
    • pp.165-169
    • /
    • 1988
  • Negative induced polarization (IP) responses are examined for two-dimensional structures using a modeling technique with finite difference method. Percent frequency effect is used for IP parameter because it can be efficiently computed by a perturbation method. Thin conductive, polarizable overburden causes obvious negative IP responses on IP pseudosection. This fact means that IP responses from resistive, polarizable body below the overburden can be masked solely as a function of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Resistive, non-polarizable body below the overburden, however, can be detected by the negative IP responses.

  • PDF

Schottky Metal에 따른 Nonpolar GaN Schottky Diode의 전기적 특성 연구

  • Kim, Dong-Ho;Lee, Wan-Ho;Kim, Su-Jin;Chae, Dong-Ju;Yang, Ji-Won;Sim, Jae-In;Kim, T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8-18
    • /
    • 2009
  • 최근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 무분극(nonpolar) 갈륨질화물(GaN) 소재는 자발분극(spontaneous polarization) 및 압전분극(piezoelectric polarization) 등이 발생하지 않아 높은 내부양자효율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고효율 특성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및 고속 전자소자 등으로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 중 이다. 하지만, 무분극 GaN LED의 구현 시, GaN 박막의 비등방성 성장으로 인한 박막의 막질 저하와 함께 표면에 혼재하는 Ga층과 N층에서 기인되는 절연층의 생성으로 인한 오믹전극 형성의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고효율의 무분극 GaN LED 구현을 위해서는 무분극 GaN층의 질소층 제거를 위한 표면처리 공정과 더불어 금속/무분극 GaN층 간 발생되는 쇼트키 장벽층의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를 제어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분극 GaN LED 적용을 위한 n-형 전극물질 및 오믹조건 구현을 위한 금속/무분극 GaN층간 SBH의 제어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Study on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Paint Sensor According to Poling Time (분극 시간에 따른 압전 페인트 센서의 압전 특성 연구)

  • Han, Dae-Hyun;Park, Seung-Bok;Kang, Lae-H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10
    • /
    • pp.1069-1074
    • /
    • 2014
  • In this study, the piezoelectric characteristics of a piezoelectric paint sensor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poling time. This piezoelectric paint sensor was composed of PNN-PZT powder and epoxy resin with a 1:1 weight ratio. The dimensions of the paint specimen were $40{\times}10{\times}1mm^3$, and the top and bottom sides were both coated with a silver paste to create electrodes. During the poling treatment, the poling time was controll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while the poling temperature was fix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electric field was set to 4 kV/mm.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were measured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from the paint sensor to the force signal from an impact hammer when the impact hammer hit the specimen. In conclusion, the optimal poling conditions were found to be an electric field of 4 kV/mm and a poling time of around 30 min at room temperature.

Research on the Polarization Procedure Using PMS-PZT Piezoelectric Materials (PMS-PZT계 압전재료의 분극공정에 대한 연구)

  • Kim, H.S.;Kim, J.R.;Huh, J.S.;Lee, H.Y.;Oh, Y.W.;Park, H.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1609-1611
    • /
    • 2004
  • 압전재료의 분극공정에서 제어되는 인가전압, 유지시간 및 온도 변수들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Rosen형 안전 변압기를 설계 및 제조하여 특성분석 하였다. 분극처리를 위한 분극전계, 온도, 유지시간 등의 외부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쉽게 분극되어 포화현상이 나타났으며, 1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4kV/mm의 분극전계로 3분 이상 분극시키면 최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부하저항이 증가할수록 공진주파수는 고주파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진전류가 증가하여 전압이득이 증가하였다.

  • PDF

Negative Induced Polarization Responses over a Layered Earth (층상대지의 음수 유도분극 응답)

  • Kim, Hee J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0 no.3
    • /
    • pp.197-201
    • /
    • 1987
  • Negative induced polarization (IP) responses are examined for a three-layered earth using a digital linear filter method. The negative IP response can occur when the geoelectric section is of type K or Q. The section of type K creates a more pronounced negative effect than that of type Q. For such sections, IP coefficients a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e resistivity distribution and the electrode configuration, and only the IP coefficient of the first layer can be negative. As a result, the negative IP response can occur when the first layer is polarizable in the section of type K or Q. and the polarizabilities of the other layers can act to depress the negative response.

  • PDF

Inversion of Time-domain Induced Polarization Data by Inverse Mapping (역 사상법에 의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자료의 역산)

  • Cho, In-Ky;Kim, Yeon-Ju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4 no.4
    • /
    • pp.149-157
    • /
    • 2021
  • Given that induced polarization (IP) and direct current (DC) resistivity surveys are similar in terms of data acquisition, most DC resistivity systems are equipped with a time-domain IP data acquisi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time-domain IP data include the DC resistivity values. As such, IP and DC resistivity data are intimately linked, and the inversion of IP data is a two-step process based on DC resistivity inversions. Nevertheless, IP surveys are rarely applied, in contrast to DC resistivity surveys, as proper inversion software is unavailable. In this study, through numerical modeling and inversion experiments, we analyze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inverse mapping technique used to invert time-domain IP data. Furthermore, we propose a modified inverse mapping technique that can effectively suppress inversion artifacts. The performance of the technique is confirmed through inversions applied to synthetic IP data.

The Piezoelectric Degrad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PZT Ceramics with $MnO_2$ Addition ($MnO_2$를 첨가한 PZT 세라믹스의 압전열화 및 기계적 특성)

  • 김종범;최성룡;윤여범;태원필;김송희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4 no.3
    • /
    • pp.257-264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of piezoelectric properties with compressive cy-clic loading, the change in bending strength before and after poling treatment and fracture strength in MPB depending on the amount of MnO2 addition. The MPB with 0.25 wt.% MnO2 showed the best resistance against the piezoelectric degradation with compressive cyclic loading. Bending strength increased when pol-ing and loading directions are parallel, however decreased when poling and loading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each other. Because, during poling treatment,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s generated in the pol-ing direction but tensile residual stress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poling dir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