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광광도법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3초

N,N'-Oxalylbis(2-pyridyl-3'-sulphobenzoylhydrazone)을 이용한 구리의 분광광도법 및 미분 분광광도법 정량 (Spectrophotometric and Derivativ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opper with N,N'-Oxalylbis(2-Pyridyl-3'-sulphobenzoylhydrazone))

  • 김용남;최규성;최승춘;정유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2-118
    • /
    • 1993
  • 수용성 발색시약인 N,N'-oxalylbis(2-pyridyl-3'-sulphobenzoylhydrazone)을 합성하여 분광광도법 및 1, 2차 미분 분광광도법에 의한 구리의 정량법을 개발하였다. 정량은 구리착물 수용액(pH 1.89)의 흡광도 및 1,2차 미분값을 379, 395, 363 그리고 421nm의 파장에서 각각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정량 가능한 구리의 농도 범위는 0.12~1.20${\mu}g$ /ml 였으며 이 방법을 알루미늄 합금시료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2차 미분 분광광도법으로 421nm에서 측정했을 때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Use of Spectrophotometry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oil Clay Content)

  • 박순남;김계훈;강지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83-188
    • /
    • 2005
  • 토양 입경분석 중 점토함량 분석과정은 특히 시간과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점토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방법은 다음의 4단계를 통해 개발되었다. 첫째, 분광광도계로 점토 분석이 가능한 최적파장을 선택하기 위해 표준 점토 시료(kaolinite, vermiculite, illite, montmorillonite)를 이용하여 점토종류에 따른 파장별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최적 파장으로 500 nm를 선정하였다. 둘째,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재현성이 높은 분석 방법은 250 ml 삼각 플라스크에 풍건 토양과 분산액을 넣고 12시간 진탕(130 rpm)하여 토양시료를 분산시킨 후 용기를 30초간 상하로 흔들어 미리 설치한 cell에 4 ml를 피펫으로 취하여 즉시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점토함량 정량 분석을 위해 검정선(calibration curve)을 작성하였다. 넷째,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으로 분석된 동일 시료의 점토함량을 표준 방법으로 알려진 피펫법(pipet method)으로 분석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을 피펫법으로 분석한 결과로 환산하는 환산식을 유도하였다.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은 토양시료내에 포함된 유기물 함량과도 상관관계가 조사되어 피펫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 유기물 함량간의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회귀방정식은 $y\;=\;38.03x_1-0.17x_2-1.17$(y = 피펫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 $x_1$ =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한 점토함량(%); $x_2$ = 유기물 함량($g{\cdot}kg^{-1})$)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984^{**}$로 두 방법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 유도된 회귀방정식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나 분석기기에 입력시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토함량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스분석에 의한 주상변압기의 예방진단에 관한 연구 -자외-가시선 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한 절연유의 열화도 측정- (A Study on Preventive Diagnosis of the Pole Transformer by Gas Analysis -Measurement of Aging of Insulating Oil by UV-Visible Spectrophotometric Method-)

  • 곽희로;남영우;윤영자;남궁미옥;이동준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10권5호
    • /
    • pp.94-100
    • /
    • 1996
  • 자외- 가시선 흡수분광광도법을 적용하여 주상변압기 절연유의 판정기준을 제시하였다. 절연유가 열화하면 절연유의 전기적 특성치가 저하할 뿐만 아니라 흡광도값도 변하게 된다. tan$\delta$와 절연파괴전압과 같은 전기적 특성치를 흡광도값과 비교하여 흡광도값에 의한 절연유의 판정기분을 설정하였다. 흡광도값이 0.580 이하는 양호, 요주의는 0.580~0.900, 불량은 0.900이상이다. 자외-가시건 흡수분광광도법은 절연유의 열화분석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육안에 의한 절연유 검사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분광광도법을 현장에 적용하려면 저렴하고 경량화된 휴대용 분광광도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분광광도법에 의한 칼라 렌즈 내 염색제에 대한 흡광도 분석 (Analysis of Absorbance for Tinted Dye Absorbed into Tinted Lenses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최은정;정주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4-708
    • /
    • 2009
  • 분광광도법으로 칼라렌즈 내 염색제에 대한 흡광도를 연구하였다. 사용된 렌즈와 염색제는 각각 CR-39 플라스틱 광학렌즈와 Ons & $Lavas^{(R)}$의 Blue 1800 이다. 칼라렌즈 내 염색제의 흡광도는 칼라렌즈와 CR-39 렌즈의 흡광도의 차를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염색제의 평균농도는 칼라렌즈와 CR-39 렌즈의 질량차로부터 구하였다. 칼라렌즈에 침투된 염색제에 대하여도 흡광도와 평균농도 사이에 Beer 법칙이 성립하였고, 검정선의 기울기로부터 흡광계수는 a=0.983 $Lg^{-1}cm^{-1}$임을 알아내었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in(II) Complexes with Isomeric Series of Schiff Bases as Ligands

  • Refat, M. S.;Sadeek, S. A.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7-115
    • /
    • 2006
  • [X=ortho (L1), meta(L2) 및 para(L3)]리간드를 갖는 주석(II) 화합물들을 합성하고, 그 특성을 원소분석, 적외선 분광광도법,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법 및 열분석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자외선 분광광도법을 통하여, 주어진 ONNO 주게 리간드들의 이민(imine) 및 카보닐기의 배위 모드가 C2v 대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분석 결과, Sn(L3) 화합물이 가장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가지는 반면, Sn(L2) 화합물이 가장 낮은 활성화 에너지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를 사용하여 마이크로 그램 코발트(II)의 직접 및 유도 분광광도법에 의한 정량 (Direct and Derivativ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obalt (II) in Microgram Quantities with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

  • Kumar, A.Praveen;Reddy, P.Raveendra;Reddy, V.Krishna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1-338
    • /
    • 2007
  • 분석 시약으로 2-hydroxy-3-methoxy benzaldehyde thiosemicarbazone (HMBATSC)를 사용하여 코발트 (II) 정량을 위하여 빠르고 간단하고 민감한 분광광도법을 개발하였다. 액상에서 금속이온이 pH 6.0에서 HMBATSC와 갈색의 착물을 형성하였다. 이 착물은 375 nm와 390 nm에서 두 개의 최대 흡수 피크를 보였다. 375 nm에서 많은 흡 수를 보였고, 반면 390 nm에서는 분명한 흡수를 보이지 않았다. Beer's 법칙에서 Co(II)는 0.059-2.357 μg ml-1 범위를 보였다. 이 방법의 몰 흡수와 Sandall's 민감도는 각각 2.74×104 l mol-1 cm-1와 0.0024 μg cm-2 였다. 여러 가지 다른 이온들에 간섭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화학양론적으로 착체는 1:2 [Co(II)- HMBATSC] 이 였다. 이차 유도 분광광도 법에 의한 Co(II)의 정량방법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alloy steels, 비타민 B12와 생물학 시료에 있는 Co(II)의 정량에 적용하였다.

분광학(分光學)적 방법(方法)에 의한 중유회(重油灰) 용출액(溶出液) 중(中)의 Ni 정량(定量)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Determination of Ni in Fly Ash Leach Liquor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조정민;한혜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5호
    • /
    • pp.88-92
    • /
    • 2012
  • 중유회로부터 증류수로 용출시킨 중유회 용출액에서 금속 중 $Ni^{2+}$이온의 정량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 중유회용출액 중 다량 존재하는 $V^{3+}$이온이 $Ni^{2+}$이온의 분광광도법적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i^{2+}$이온 ppm 대비 $V^{3+}$이온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 $V^{3+}$이온의 함량이 $Ni^{2+}$ 함량의 50% 이하인 조건에서는 시료 중 $Ni^{2+}$이온의 정량이 분광광도법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분광광도법에 의한 Ni(Ⅱ)-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착물의 용매추출 반응메카니즘 (A Study on the Solvent Extraction Mechanism of Nickel(Ⅱ) with 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 by Spectrophotometry)

  • 이흥락;배준웅;김동규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46-551
    • /
    • 1992
  • 니켈(Ⅱ)이온을 N-benzylisonitrosoacetylacetone imine(HIAANB)으로 용매추출할 때의 반응메카니즘을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유기상 chloroform에 녹아있는 리간드 HIAANB농도와 수용액층의 pH값을 변화시켜 가면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데이터로부터 반응속도가 HIAANB농도에 대하여는 1차, [$H^+$]에 대하여는 -1차임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반응의 속도결정단계와 속도식은 다음과 같다. $Ni^{2+}$+HIAANB ${\to}$ Ni-IAANB$^+$$H^+$ -d[Ni$^{2+}$] / dt = K'[Ni$^{2+}$][HIAANB]$_0$ / [H$^+$]. 수용액 중의 니켈(Ⅱ)이온을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할 때의 검정곡선은 최적실험조건에서 1.17ppm 이하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이었다. 또 리간드 대 금속의 결합비, 추출율과 수용액상의 pH 사이의 관계, 니켈(Ⅱ)이온을 정량할 때의 방해이온의 영향도 조사하였다.

  • PDF

2-Thenoyl Ethylpyruvate의 몇 가지 3-Arylhydrazone 유도체에 대한 분광광도법, pH 및 전도도법 연구 (Spectrophotometric, pH-metric and Conductometric Studies on Some 3-Arylhydrazone Derivatives of (2-Thenoyl) Ethylpyruvate))

  • El-Dossoki, F. I.;El-Seify, F. A.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99-106
    • /
    • 2006
  • 3-(2-thenoyl) 3-(p-NO2-phenylhydrazone) ethyl pyruvate(I), p-Br(II) 및 p-CH3(III)의 에탄올 용액의 전자흡수 스펙트럼을 조사하여 스펙트럼이 전자 전이에 해당하는 4개의 흡수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화합물의 pK 값을 분광광도법 및 pH 측정법으로 조사한 결과, 화합물(I)의 변색 범위는 페놀프탈레인과 유사한 8~10으로, 산-염기 지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몇 가지 전이원소 (Mn(II), Co(II), Ni(II), Cu(II), Zn(II), Cd(II), UO2(II), La(III) 및 Zr(IV))와 이들 화합물과의 연속안정도상수를 pH 법으로 조사하여 본 결과, 모든 금속과 몰 비 1:1 및 1:2 (M: L)의 화학양론적 착물을 형성하며, 세 가지 유도체의 pK 값과 착물의 안정도 상수(log K)의 순서는 III > II > I 임을 알았다. 또한 전도도법 적정을 수행하여 이 적정이 금속이온과 리간드를 정량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