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북위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양당리굴의 지형 및 지질개관

  • 김주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18
    • /
    • 2002
  • 양당리굴과 북상리굴은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양당리와 북상리에 각각 위치하고 지리적 위치는 양당리굴이 동경 $128^{\circ}$ 15'10", 북위 $36^{\circ}$ 53'50", 북상리굴이 동경 $128^{\circ}$20'30", 북위 $36^{\circ}$ 55'10"에 위치한다[그림 1]. 단성면은 북으로 적성면, 동으로 단양읍, 대강면, 남으로 경상북도 문경시, 서로는 덕산면, 제천시로 둘러싸여 있는 곳이다. (중략)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 Focused on Typhoon Intensity -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태풍 세기를 중심으로 -)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1
    • /
    • 2011
  •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태풍의 세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약 6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50도 이서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 PDF

A Statistical Study on the Recurvature of Typhoons (태풍의 전향에 관한 통계적 연구)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58-159
    • /
    • 2013
  • 포물선 형태의 정상진로를 취하는 태풍은 전향을 한다. 통상 전향할 때, 태풍의 이동속도는 일생 중에서 가장 느리고 세력은 가장 강하다. 이 연구에서는 20년간(1992-2011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풍의 전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향하는 태풍은 특히 8-9월에 많고, 7-10월의 전향 태풍은 전체 전향 태풍의 71%를 차지한다. 이는 7-10월에 발생하는 태풍이 전체 태풍 발생수의 72%를 차지한다는 결과 값과 매우 비슷하다. 20년 동안에 발생한 태풍의 수는 총 484개이며, 그 중 전향한 태풍의 수는 200개로 전체 태풍의 41%를 차지한다. 북태평양에서 전향한 태풍의 수명은 5일과 7일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일이었다. 전향한 태풍의 평균 수명은 6.8일이었다. 이는 1951년 이후 현재까지 발생한 모든 태풍의 평균 수명인 6.3일보다 다소 긴 값으로, 전향하는 태풍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향하는 태풍의 약 1/3은 태풍 승격 후 2-3일째에 전향하고, 약 2/3는 1-5일째에 전향한다. 평균 전향일은 태풍 승격 후 4.1일이다. 북위 20-29도에서 전향하는 태풍이 전체 전향 태풍의 52%를 차지하고, 전체 전향 태풍의 69%는 동경 120-139도에서 전향한다. 북위 30-34도에서 전향하는 태풍도 적지 않다. 전향하는 태풍의 평균 전향 위도는 북위 24.6도이고, 평균 전향 경도는 동경 135.1도이다.

  • PDF

Natural Distribution of Morus tiliaefolia Makino and Morus mongolica C.K.Schneider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eider)의 韓半島에서의 自然分布)

  • 박광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44 no.2
    • /
    • pp.51-55
    • /
    • 2002
  • The natural distribution of Morus tiliaefolia Makino and Morus mongolica C.K. Schneider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are as follows. The Morus tiliaefolia Makino is distributed in mountain areas in land and islands with along seaside northernmost at 30°8'North latitude, Hwacheon, Kangwon-do and it also unusually exists at the mountain Chilbo in Myeongcheon-gun, Hamgyeongbuk-do. On the other hand, the Morus mongolica C.K. Schneider is distributed westside the great mountainrange of Baeckdoo further-north to Jangsoo-mieon, Jaeryeong-gun, Hwanghae-do (38°15'N.), but it also unusually survives at the area of Samcheok, Kangwon-do (37°24')

백두산 화산활동이 량강도자연지리요소에 준영향

  • 유충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8-34
    • /
    • 2001
  • 량강도 북부지역에서는 지질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의 화산활동이 있어 자연경관을 훼멸, 복구하였다. 특히 갱신세에 분출된 현무암용암, 백두산 소백산에서의 알칼리성조면암의 발생, 800여년전에 분출한 부석은 원래의 자연경관을 훼멸,매몰하고 새로운 자연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자연경관 형성에서 지질,지형,기후,식생,토양 등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나 그중에서도 화산활동을 위주로한 지질작용이 주되는 인자로 되었다. 즉 용암의 분출에 의하여 본 지구의 지형을 1600m 높여 기후,식생,토양의 산지수직지대성을 형성하였고 강,호수의 형성도 식생,토양의 특성도 화산활동의 제한을 받았다. 모두어 말하면 본 지역의 자연경관은 800 여년 역사를 갖고 지금도 발전, 성숙과정에 있다. 본문에서는 백두산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는 량강도의 삼지연군, 대홍단군, 백암군, 보천군, 운훈군, 갑산군과 함경북도의 무산군, 연사군, 어랑군, 길주군의 일부지역 및 함경남도의 단천서북부가 포함된다. 지리위치로 보면 동경 128 도 16 분으로부터 동경 130 도 02 분까지이고 북위 42 도 10 분부터 북위 41 도 좌우이다.

  • PDF

A Study on the Layout of Northern Wei Buddhist Temples in 『Luoyang Qielanji』 (『낙양가람기』에 나타난 북위 낙양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 Hyun, Seung-Wook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3 no.3
    • /
    • pp.35-42
    • /
    • 2014
  • Luoyang Qielanji(洛陽伽藍記) is a document that describes Buddhist Temples in Luoyang, the capital of Northern Wei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backgrounds, architectural elements and layout characteristics of Luoyang Temples in Northern Wei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nstruction backgrounds of Luoyang Temple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the established-temple (創建型) and the converted-temple(捨宅爲寺型). The layout systems of Luoyang Temples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ypes: The front Pagoda-rear Buddhist Hall layout(前塔後殿), The front Buddhist Hall-rear Lecture Hall layout(前殿後堂). In Luoyang Temples, the pagoda was still an important element of the layout.

A Study on the Costume Reformation of Bei-Wei(北魏) Xiao-wen-di(孝文帝) (북위 효문제의 복식 개혁에 관한연구)

  • 이순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3
    • /
    • pp.283-298
    • /
    • 1999
  • Bei-Wei(北魏) arose from Ta-ba clan(拓拔氏), a race belonging to Xian-bei(삼배) and it was the first foreign dynasty that reigned the central area of China in A.D 386-534. Xiao-wen-di(孝文帝) found it necessary to adopt the ruling mechanism of Han race's 'Sino-centralism' so as to establish orthodoxy of Xian-bei dynasty. He ordered Xian-bei people to channge their own costume for the costume of Han race. Costume was one of ruling means in Xiao-wen-di's case. However the revolutionary policy of Sinonizatio by Xiao-wen-di brought abuot serious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mong classes of Xian-bei Xiao-bei wore their own costume and opposed Xiao-wen-di(孝文帝)'s policy Consequently Xian-wen-di(孝文帝)'s Sinonization policy accelerated the downfall of Bei-Wei(北魏). In the course of reformation and downfall of Bei-Wei(北魏) costume played an important role of representing national indentity.

  • PDF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Latitudinal Location of the Changma Front (장마전선의 위치로 본 한반도 강수분포의 특성)

  • Park, Byong-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2
    • /
    • pp.192-20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latitudinal location of the front for the Changma seas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much rainfalls in the regions near the Changma Front and these regions have much annual mean rainfall. When the front is going north across the latitude of $30^{\circ}N$, precipitation is increased in the whole country and it is the beginning time of Changma. The day which has rainfall less than 10 mm a day appears frequently around the neighborhood of the Gaema plateau in the Changma season. In the basin of the Cheongcheon River the greater part of much mean rainfall of June and July is explained by the precipitation of the cases of no front in $128^{\circ}E$ and that for fronts of the latitude zone of $30{\sim}33^{\circ}N$ which is far from the basin, and this is a different point from the other much rainfall region in Korea.

  • PDF

A Reinvestigation on Key Issues Associated with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and the Location of 'Suchul(水出)' written on the Mukedeng's Map (임진정계 경계표지 토퇴의 분포와 목극등 지도에 표시된 '수출(水出)'의 위치)

  • Lee,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73-103
    • /
    • 2017
  • This paper reports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set up during the Yimjin(1712) Boundary Making and Demarcation(YBMD). Through the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soil piles the location of 'Suchul'(水出: seepage zone) could be identified. The endpoint soil pile set up on the east-south bank of Heishigou(黑石溝) stream locates on $42^{\circ}04^{\prime}20.09^{{\prime}{\prime}}N$, $128^{\circ}16^{\prime}08.42^{{\prime}{\prime}}E$. The west beginning point of soil piles distributed in the south side of Tuhexian road locates on $42^{\circ}02^{\prime}20.14^{{\prime}{\prime}}N$, $128^{\circ}18^{\prime}53.40^{{\prime}{\prime}}E$. And the east endpoint of them locates $42^{\circ}01^{\prime}32.97^{{\prime}{\prime}}N$, $128^{\circ}21^{\prime}24.59^{{\prime}{\prime}}E$. From the west beginning point to the soil pile located in 2.1km distance from the beginning point, the distribution direction is west-east. The direction of soil piles after them is northwest-southeast. The total real length of soil piles distributed in the south side of Tuhexian(圖和線) road is about 4.2km more or less. The location of 'Suchul' written on the Mukedeng's map locates on $42^{\circ}01^{\prime}30.36^{{\prime}{\prime}}N$, $128^{\circ}21^{\prime}3.62^{{\prime}{\prime}}E$, The point locates in southeastward 222m distance from the soil piles endpoint of the south side of Tuhexian road. In reference of these reports this paper develops some reinterpretation on the YBM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