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북미

Search Result 6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2019년 북미 관계 주요 내용

  • Min, Jeong-Won;Jang, Hwi
    • KDI북한경제리뷰
    • /
    • v.21 no.11
    • /
    • pp.46-56
    • /
    • 2019
  • 2018년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역사적인 이벤트가 성사되었다. 2019년 1월 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 대통령과 언제든 또다시 마주 앉을 용의가 있다"는 신년사를 발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화답하며 이후 양측 간 실무 협상이 이뤄졌다. 그 결과 2월 말, 양국 정상은 베트남 하노이 2차 정상회담에서 마주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회담은 별다른 성과 없이 결렬됐다. 6월에는 갑작스러운 남-북-미 DMZ 회동이 이뤄졌으나 북한이 갑작스레 수차례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며 북미 관계는 다시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됐다. 이후 10월에는 북한 비핵화 협상을 위한 북미 양측의 실무접촉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됐지만 이 또한 뚜렷한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양측 모두 현재까지 제3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가능성은 열어놓은 상태다. 본 경제자료에서는 2019년 북미관계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과정과 내용을 정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하노이 회담 이후 북미 관계를 살펴보고 남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의 과정을 정리해 본다. 세 번째 장에서는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 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함께 실무협상 전개의 주요사항을 정리한다. 본 자료는 다양한 언론 보도를 근거로 재구성하여 제공한다

Pairing of Woody Landscape Plants between Eastern Asian and North American species (동아시아와 북미 분포 조경수목쌍 비교)

  • 서병기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2 no.2
    • /
    • pp.93-98
    • /
    • 1998
  • 동아시아와 북미에 분포하는 조경수목을 형태적 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류한 결과 8종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자주받침꽃, 능소화, 산딸나무, 보리밥나무, 가래나무, 튤립나무, 일본목련, 잣나무는 동아시아와 북미에서 각각 밀접한 유연성을 가진 종들이 있어 이들을 조경수목쌍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형태적 특성이 매우 흡사한 종으로는 중국단풍나무, 고로쇠, 들메나무, 야광나무, 소나무와 곰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피나무, 참느릅나무 등에서 동아시아와 북미 조경수목쌍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북미 활엽수장의 이해

  • Korea Pallet and Container Association
    • Pallet News
    • /
    • s.45
    • /
    • pp.9-12
    • /
    • 2007
  • 본 내용은 2007년 2월 20일 목재신문사에 기재된 내용으로써 미국활엽수수출협회의 자료제공을 기본 바탕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파렛트 제작의 요도로도 쓰이는 활엽수의 생산지중 한곳은 북미 시장이다. 가격변화를 일으키는 원동력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북미지역 활엽수재 생산과 교역, 활용 패턴에 대한 기본적인 개요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Positioning and Brand Extension Strategies of Hyundai Genesis in the Domestic and North-American Markets (한국 및 북미시장에서 제네시스의 포지셔닝과 상표확장 전략)

  • Sunkyu Jun;Young Suk Hyun;Yoojeong Jeo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3 no.1
    • /
    • pp.85-111
    • /
    • 2011
  • The present study analyzes Hyundai Genesis' introduction in the domestic and the North-American markets in terms of positioning and brand extension strategies in each market. Genesis was positioned to 'A domestic luxury car that looks like a foreign premium brand' in the domestic market and was positioned to 'Quality of luxury car for a price of near-luxury car' in the North-American market. Hyundai brand was extended to Genesis in the North-American Market, but not in the domestic marke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s that resulted in different position concepts in the markets and analyzed the marketing tactics to realize the position concepts. Specifically, we discussed the brand extension strategy that was adopted in the North-American market in terms of its pros and cons. The present study noticed a need for modifying and/or strengthening positioning strategies to face competitive environments and suggests an issue to be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the positioning strateg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