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하 모델

Search Result 5,01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Developement of User Interface for Parameter Estimation of the Composite Load Model (복합부하모델의 파라미터 추정을 위한 User Interface 개발)

  • Kim, Byoung-Ho;Kim, Hong-Rae;Lee, Byoung-Jun;Song, Hwa-Ch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4-186
    • /
    • 2011
  • 부하 모델링을 위해서는 구성요소기반 부하모델링과 측정기반 부하모델링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구성요소기반 부하모델링은 모선에 부하의 구성비에 기반으로 하는 부하모델 기법이고, 측정기반 부하모델링은 부하가 설치된 모선의 전압과 소비전력의 측정값으로부터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하모델을 위해 복합부하모델이 적용되었다. 복합부하모델은 정적부하모델과 동적부하모델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정적부하모델로서는 ZIP 모델이 사용되고, 동적 부하모델로는 유도전동기 모델이 사용되었다. 측정기반 부하모델의 파라미터 추정을 위해 TSAT(trensient security assessment tool) 프로그램으로부터 얻은 측정데이터를 이용해 파라미터 추정을 한다. 또한 사용자 편의를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적용을 통한 부하모델 파라미터 추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Load Modeling of Industrial Area Based on DFR measurements (DFR 측정 기반 산업단지 부하모델링 구현 연구)

  • Son, Seo-Eun;Lee, Soo-Hyung;Park, Jung-Wook;Song, Kyung-Bin;Lee, Sung-Moo;Jo, Jong-M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2-183
    • /
    • 2011
  • 본 논문은 DFR 측정기반 산업단지 부하모델링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별 부하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 산업단지 부하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기반 접근법에 의한 부하모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부하모델은 정적 부하모델과 동적 부하모델을 결합한 복합 부하모델로, 이러한 부하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국내 산업단지 A 변전소에 고장기록계(DFR)을 설치하였다. DFR 측정 데이터 기반 부하모델 구축에 앞서, 계통 해석 프로그램인 PSS/E로 DFR이 설치된 A 변전소를 모델링하여 취득된 데이터로 선정된 부하모델을 검증하였다.

  • PDF

Impact of Dynamic Load Model on Short-Term Voltage Stability of Korea Power System and Estimation of Dynamic Load Model Parameters (국내 계통의 단기 전압 안정도에 대한 부하 모델의 영향성 검토 및 부하 모델 파라미터 선정)

  • Moon, Jaemin;Kim, Jae-Kyeong;Hur, Kyeon;Nam, Suchul;Kim, YongHak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5 no.1
    • /
    • pp.17-24
    • /
    • 2019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ffect of power system load model on the short-term voltage stability analysis results. First, we introduced common load models. We also confirmed that some load models can not represent actual system phenomena even if the model parameters are optimized. Also, we studied about the influences of load parameter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load model on the sort-term voltage stability of KEPCO power system considering the conting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 load model was confirmed again. And we recognized abou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should reflect the load characteristics of the area near the assumed contingency more accurately.

A Study on the New Resident Load Composition Rate Estimation Method in Smart Grid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 구성될 새로운 주택 부하기기 구성비 추정에 관한 연구)

  • Park, Hyeon-Jeong;Lim, Jae-Yoon;Ji, Pyeong-Shik;Hwang, Sung-Wook;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48-349
    • /
    • 2011
  • 전력계통해석 중 전력조류계산과 안정도 해석에서 부하모델이 필요하다. 부하모델을 만드는 방법 중 미시적 방법에 의한 부하모델 방법은 몇 개의 부하군으로 분류하고, 전압, 주파수 변화에 따른 특성 실험에 의해 부하군의 개별부하 모델을 구축하고 각 부하군이 시간별 구성 비율을 이용하면 합성된 부하모델을 얻을 수 있다. 이 ��, 부하구성비 추정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구성될 새로운 주택모습과 그 안에 구성될 부하기기를 추론하고, 10년전에 이루어 졌던 부하모델 방법의 부하구성비와 스마트 그리스환경에서 구성될 새로운 주택의 부하구성비를 비교함으로써 부하모델을 10년 주기로 새로 예측해야 할 이유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 PDF

Load model estimation method for residential load and nomal load using measured data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일반용부하와 가정용부하의 부하모델 추정방안)

  • Park, Rae-Jun;Kwon, Oh-Sung;Song, K.;Kim, Kyu-Ho;Park, Jung-Wook;Jo, Jong-Man;Lee, Sung-M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606-607
    • /
    • 2011
  • 전력계통의 부하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부하 모델 구조의 선정과 부하모델 구조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부하 모델의 구조는 ZIP모델을 사용하고, 부하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Levenberg-Marquardt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전력공사 변전소이차 측에서 측정된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하를 모델링하였다. 또한 모델링된 부하의 대표파라미터를 선정하고 대표파라미터를 실제 계통에 적용하였을 때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haotic Electric Arc Furnace Model (전력 품질 해석을 위한 개선된 전기아크로 모델 개발)

  • Jang, Gil-Soo;Wang, Weiguo;Lee, Byong-Jun;Kwon, Sae-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a
    • /
    • pp.55-57
    • /
    • 2000
  • 대규모의 전력을 사용하며 전력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는 제철소의 전기아크로 (electric arc furnace) 부하는 전압 플릭커 (voltage flicker) 등 전력품질을 저하시키는 현상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품질의 향상을 위한 전력계통의 계획과 운용에 있어서 이러한 부하들의 비선형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해석하고 모델링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특히 전기아크로 부하의 비선형적이고 랜덤 신호에 가까운 특성은 stochastic 접근법에 의해 주로 모델링되어 왔으나, 전기아크로 부하에 의한 전력계통에서의 영향을 평가를 위해서는 deterministic 접근법에 의한 모델링이 필요하며 전기아크로 부하가 가지는 chaos 특성을 Lorenz 시스템으로 표현한 부하모델이 개발되었다[1]. 개발된 모델에 의해 하나의 chaos 시스템으로 예측된 전기아크로 부하 패턴은 전 동작 범위에서 부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아크로 부하 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복수의 chaos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나은 예측 특성을 가진 부하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Lorenz 시스템과 전기아크로 부하의 고주파영역 특성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Logistic 시스템을 혼합한 형태의 chaos 모델을 개발하고, 전력 계통에서의 전력품질 저하현상을 정량화하는 지수를 통해 모델의 유용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an Opening on Buckling Strength of Polygonal Section Wind Turbine Tower (다각형 단면 풍력타워 좌굴강도에 대한 개구부의 영향)

  • Choi, Byung Ho;Park, Seong Mi;Hwang, Min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63-163
    • /
    • 2011
  • 풍력타워 기둥구조물에는 유지관리 등의 이유로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가 존재하게 된다. 다각형 타워구조물에 개구부형상이 존재하게 되면 압축좌굴 강도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예측하기는 용이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판단할 만한 관련 기준이나 지침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최병호 등(2011)에서 다룬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물의 하단에 개구부를 형상화한 수치해석 모델을 수립하고 축방향 압축하중을 재하하는 탄성좌굴 해석 및 비선형비탄성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다각형 단면 기둥모델 중에서 6각형 단면모델에 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다각형 단면 기둥 해석모델은 단순한 다각형 단면 타워구조에 대해서 뿐 만 아니라, 각 subpanel에 종방향 보강재를 둔 모델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개구부의 형상은 높이 2000mm, 폭 800mm이며 상하부에 만곡부를 둔 형태이다. 수치해석은 3차원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보강방안으로는 일정범위까지의 모듈 subpanel의 판두께를 보강하는 방안과 edge stiffener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각각의 보강방식에 따른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해 개구부가 없는 모델, 단순히 개구부만 설정한 모델, 판두께를 보강한 모델, edge stiffener로 보강한 모델에 대해 비교해석을 수행하였다. 보강재 없는 단순 다각형 타워구조 모델에 대한 해석결과로부터 개구부로 인한 강도저하는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방향 보강재가 적용된 6각형 단면 타워구조 모델에서는 개구부로 인한 강도저감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개구부 주변의 판두께 보강이나 edge stiffener보강 등으로 상당한 강도향상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개구부로 인해 손실된 강도 수준을 완전히 회복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보강방식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변수연구를 통해 개구부의 영향 없이 온전한 다각형 단면 타워 구조의 극한강도에 도달되기 위한 보강 조건에 대해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sign of TMO Model based Dynamic Analysis Framework: Components and Metrics (TMO모델 기반의 동적 분석 프레임워크 설계 : 구성요소 및 측정지수)

  • Jeong, Yoon-Seok;Kim, Tae-Wan;Chang, Chun-Hy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2 no.7
    • /
    • pp.377-392
    • /
    • 2005
  • A lot of studies to measure and analyze the system performance have been done in areas such as system modeling, performance measurement, monitoring, and performance prediction since the advent of a computer system. Studies on a framework to unify the performance related areas have rarely been performed although many studies in the various areas have been done, however. In the case of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a real-time programming model, it hardly provides tools and frameworks on the performance except a simple run-time monitor. So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real-time system and the process based on TMO. Thu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the dynamic analysis of the real-time system based on TMO, TDAF(TMO based Dynamic Analysis Framework). TDAF treats all the processes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analysis, and Provides developers with more reliable information systematically combining a load model, a performance model, and a reporting model. To support this framework, we propose a load model which is extended by applying TMO model to the conventional one, and we provide the load calculation algorithm to compute the load of TMO objects. Additionally, based on TMO model, we propose performance algorithms which implement the conceptual performance metrics, and we present the reporting model and algorithms which can derive the period and deadline for the real-time processes based on the load and performance value. In last, we perform some experiments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load calculation algorithm, and provide the experimental result.

Design of CALS Security Model and Its Suitability Analysis (CALS 정보보호 모델설계와 적정성 분석)

  • 신종태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8 no.2
    • /
    • pp.47-66
    • /
    • 1998
  • CALS체제의 구축에 있어 역기능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LS정보보호 위협 요소를 비롯한 정보보호 서비스와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CALS를 안전하게 구축하기 위한 정보보호 모델과 시뮬레이션 단계를 예시하였다. CALS체제의 위협 요소, 보안 목적, 구현 자정요소, 지원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여 제안된 CALS정보보호 모델은 4개의 서브 모델인 전송모델, 키관리 모델, 감사 모델, 통합 데이터 베이스 연계 모델로 수성하였으며 구현을 위한 모듈로 보안관리부, 디렉토리 서비스 에이전트와 인증국을 포함하는 키관리부, 분산 환경에서의 보안 감사부,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Prediction model for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in weld heat affected zone of low alloyed steel (저합금강의 용접 열영향부 미세조직 및 재직 예측)

  • Lee,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0
    • /
    • 2010
  • 강재의 구조화에 필수적인 용접 공정 후의 저합금강 용접 열영향부 미세조직 및 재질 예측을 위해 가열 중 상변태 거동에 미치는 초기 결정립 크기의 영향, 석출물-free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예측 모델, 임계 석출물 크기의 영향을 고려한 용접 열영향부 석출물 조대화 예측 모델, 석출물의 Kinetics을 고려한 결정립 성장 모델,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크기 및 냉각 속도의 영향을 고려한 용접 열영향부 상변태 모델, 용접 열영향부 경도 예측 모델 등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작성된 최종 모델은 실 용접부와의 비교를 통해 신뢰성을 확인하였으며, 저합금강 용접 열영향부의 미세조직과 경도값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모델을 통하여 용접 열영향부에서의 용접부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