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품무역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rategies for Reducing the Trade Deficit in the Korean Automotive Parts Industry (자동차부품 대일역조와 개선방안)

  • 송병준;오규창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7
    • /
    • pp.610-619
    • /
    • 1995
  • 지난해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은 74만 대를 기록하여, 전년의 64만 대에 비해 16%의 증가율을 시현했다. 또 엔고에 힘입어 금년 1-4월 기간중 자동차 수출은 34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6%의 괄목할 증가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큰 이변이 없는 한 1995년 연간 자동차 수출 대수는 1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완성차 수출의 지속적인 증가와는 반대로 자 동차부품의 무역수지는 지난해에도 13억 4,000만 달러의 대폭적인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1993 년의 8억 5,000만 달러 적자에 비해 58%가 증가한 실적으로서, 핵심기능부품의 수입의존이 여 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완성차의 수출증가가 부품 수입증가를 유발시킨데 따른 결과이다. 한편, 자동차부품의 무역적자는 대일 무역적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자동차 부품의 무역적자 13억 4,000만 달러 가운데 10억 달러 이상을 대일 무역적자가 차지한 데서 알 수 있다. 이 글은 우리나라 자동차부품의 무역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있는 원인을 국제경쟁력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부품부문의 대일 무역적자를 중심으로 한 무역수지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 PDF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Intermediate Goods Trade in East Asia and Free Trade Agreement (동아시아 국가 간 부품무역 비교우위와 자유무역협정)

  • Kwon, Taek-Ho;Joo, Kyeong-won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1
    • /
    • pp.159-186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dependency and comparative advantage of each country for intermediate goods trade in East Asia, which predicts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and fragmentation in East Asia when the FTA arrangement in East Asia is implem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are of intra-regional trade in the intermediate goods in East Asia has increased over time, implying the deepening of interdependency in intermediate goods trade within the East Asia. Second, Korea is a net exporter in intermediate goods trade for China and ASEAN, whereas it is a net importer for Japan. Japan is a high net exporter for all East Asia, while China is a net importer for Korea, Japan and ASEAN. If FTA arrangement in East Asia is implemented, Japan and Korea will be key suppliers of the intermediate goods for East Asia, while China and ASEAN will play a role of the manufacturing factory through the import of intermediate goods. Third,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intermediate trade of electric and electronics and transport vehicle industry in East Asia. Japan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all of electric and electronics, transport vehicle, precision instrument, general machinery industry, whereas Chin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nly in electric and electronics intermediate trade in East Asia. The intra-industry trade of the intermediate goods in precision instrument, general machinery industry is expected to grow among Korea, Japan and China.

  • PDF

우리나라 기계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

  • 전의진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1
    • /
    • pp.970-977
    • /
    • 1995
  • 우리나라 기계기술은 완제품의 가공조립에 의한 수출확대로 산업의 급속한 외적 성장을 가져왔 으나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계류의 수입이 증대되는 수입 유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기계기술의 질적수준을 가늠하는 기반기술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살리지 못하여 원천핵심 기술 및 설계기술과 부품기술수준의 낙후, 첨단기계기술의 개발 부진으로 주요부품 및 설비의 국산화가 지연되어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커다란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엔고로 기계의 수입이 급증하여 '94년에 기계류의 대일무역적자가 125억불에 달했으며, '95년에는 기계류 대일무역적자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중폭되면서 기계기술이 국가경제의 핵이라는 국민적 인식이 확산되어 기계기술을 육성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PDF

수출 강국의 비밀, 부품소재산업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118
    • /
    • pp.4-7
    • /
    • 2008
  • 새 정부는 지난 3월 지식경제부 업무 보고를 통해 부품소재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육성 의지를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도 $\Delta$외국인 투자를 통한 기술 획득 $\Delta$대-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한 공동 기술 개발등의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최근 엔화가 강세를 보이자 대일 의존도가 높은 부품소재 산업에 대한 기업의 투자확대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에 대일 무역수지 적자의 주범인 부품소재 대일 의존도를 오는 2012년까지 20%이하로 개선하려는 정부의 목표에 따라 중소벤처와 대기업간의 상생협력도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제품의 완성도와 품질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 부품소재 산업. 그 기술의 현황과 전망을 알아본다.

  • PDF

Mechanical Industry and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 Power -Proposal of Domestic Production to Reduce a Trading Deficit with Japan- (기계기술과 국가경쟁력 강화)

  • 한정빈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7
    • /
    • pp.603-609
    • /
    • 1995
  • 요즘 우리의 경제는 선진국의 호경기와 개도국의 고성장 지속 및 초엔고의 영향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커다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덕택에 국내 산업의 수출량은 전년도에 비해 30% 이상 증가하여 1분기 현재 수출은 262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나, 수입은 더욱 늘어나 무역수지는 40억 달러의 적자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수출이 증가하면 할수록 그 기본적인 기자재(기계류, 부품, 소재)를 외국, 특히 일본으로부터 수입해야 하는 우리의 선업구 조의 취약성 때문이다. 따라서 모처럼 맞이한 엔고의 호기에 우리의 경제는 적자의 부담만 가 득안고, 우리의 노력으로 얻은 수익의 대부분을 남의 호주머니에 넣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역적자의 근본원인이 되고 대일 의존성향이 강한 기계류, 부품, 소재 등 자본재 산업의 국산화를 통한 우리 산업의 구조적 체질개선, 즉 기술 자립이 필 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8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기계류, 부품, 소재의 국선화계획의 의의를 알아보고 이것이 가지는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최근의 엔고는 '80년대 후반 엔고시대 이후 2번째 맞이하는 절호의 기회로서, 너무 근시안적인 이익에만 급급해 하지 말고 장래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 임을 깨닫고 우리의 근본문제와 대책을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 PDF

중소기업의 육성과 부품개발

  • 김선홍
    • Journal of the KSME
    • /
    • v.27 no.2
    • /
    • pp.97-98
    • /
    • 1987
  • 우리경제를 수출산업으로 발전시켜 지속적인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획기적인 육성발전으로 산업구조를 보강하고 기계류, 부품 및 소재생산 중소기업을 집중적으로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재정, 금융상의 지원을 확대하고 공통애로 기술집적적인 중소기업 창업을 적극 지원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 정계, 학계, 연구단체, 기업이 모두 공통의식을 가지고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부품, 소재전문기업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 법안' 확정과 그 의의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21 no.1
    • /
    • pp.20-26
    • /
    • 2001
  • 고부가가치의 기술ㆍ지식 집약형 산업구조로의 전환과 Global Sourcing시대의 무역수지 흑자기반 구축, 주력 전통산업과 신산업(IT, BT)의 균형 발전을 위해 '부품, 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안'을 확정하였다. 이에 법안의 확정과 그 의의를 요약 정리하였다.

  • PDF

정부 시책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WSLETTER 전기공업
    • /
    • no.95-16 s.137
    • /
    • pp.12-16
    • /
    • 199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