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착 특성

Search Result 2,62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FEM analysis on the Bond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고강도콘크리트의 부착특성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 홍건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3
    • /
    • pp.175-183
    • /
    • 1998
  • 고강도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은 그 압축강도의 증가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화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여러 특성의 변화 중 철근과의 부착특성에 관한 해석적 접근을 통하여 고강도콘크리트부재의 부착설계를 위한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해석의 변수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부착길이 및 피복두께 등 3가지의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해석의 목적은 본 연구에 앞서 실시된 실험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단순화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부착실험의 결과를 해석적으로 분석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된모델은 실험에서 사용한 보단부형 부착시험체의철근과 콘크리트 부착부분의 기하학적 형상을 비교적 실제와 유사하게 모델링시킨 2차원의 평면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고강도콘크리트의 부착강도는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에는 선형으로 비례하게 되나 부착길에는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고는 기존의 실험결과와도일치하고있으며, 그 원인은 콘크리트의 강성증가에 따라 하중단측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보통강도콘크리트의 경우와 같이 응력의 균등한 배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Bond Behavior of Epoxy Coated Reinforced Concrete (에폭시수지 도막 철근콘크리트의 부착특성 연구)

  • 오병환;엄주용;권지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1993.10a
    • /
    • pp.79-84
    • /
    • 1993
  • 철근의 부식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심각한 열화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이로 인한 피해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식의 억제방안 중 철근에 직접 에폭시를 도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에폭시 도막에 따른 부착성능의 저하가 우려되는 바 본 연구는 철근부식방지를 위해 에폭시를 도막한 철근의 부착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된 변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부착길이, 에폭시 도막두께이며 각 변수별로 부착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를 통해 에폭시도막 철근의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부착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실험결과와 예측치를 비교하였다.

  • PDF

Adhering Characteristics of Diesel Spray Impinging to a Flat Wall (평판에 충돌하는 디젤분무의 부착특성)

  • Ko, K.N.;Huh, J.C.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9 no.3
    • /
    • pp.21-25
    • /
    • 2005
  • 디젤분무가 연소실 벽에 충돌할 때의 연료부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판에 충돌하는 디젤 분무의 부착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투명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연료액막과 충돌분무를 동시에 촬영하였고, 충돌분무의 성장에 따른 연료액막의 성장도 함께 측정되었다. 부착된 연료는 연료액막 및 부착액적들로 나누어서 측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연료액막 주변에 무수한 연료액적이 부착함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부착연료비를 예측하기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부착연료비를 충돌거리 10mm, 30mm, 50mm에 대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Bond Strength Properties of Latex Modified Concrete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특성)

  • 윤경구;이주형;최상릉;김기헌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3 no.5
    • /
    • pp.507-515
    • /
    • 2001
  •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nd strength between new and existing concret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new concrete by latex.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bond strength of latex modified concrete. Pull-out bond test and uniaxial direct tensile bond test are adopted for evaluating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of latex modified concrete to conventional concrete substrate. The main experimental variables are test methods, latex-cement ratio, surface preparations and moisture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crease of latex-cement ratio substantially improves the adhesion between latex modified concrete and substrate. The effects of surface preparation at substrate into the bonding of latex modified concrete a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surfaces. Thus, an adequate surface preparations are essential for good bond strength. Because the moisture level of the substrate may be critical to achieving bond, optimum moisture condition for a conventional concrete has evaluated in this study. The saturated condition of surface is the most appropriate moisture level among the considered, followed by dry condition and wet condition.

An Experimental Study on Bond Characteristics of FRP Reinforcements with Various Surface-type (다양한 표면형상에 따른 FRP 보강재의 부착특성 실험연구)

  • Jung, Woo Tai;Park, Young Hwan;Park, Jong Sup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A
    • /
    • pp.279-286
    • /
    • 2011
  • FRP (Fiber Reinforced Polymer) tendon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orrosion problem of steel tendons. Material properties of FRP tendons-bond strength, transfer length, development length-must be determined in order to apply to concrete structures. First of all, in case of application for pretension concrete members with CFRP tendons, transfer lengt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The bond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manded clearly to apply to PSC structures prestressed with FRP tendons. This paper investigated on the bond characteristics of FRP reinforcements with various surface-type. To determine the bond characteristics of FRP materials used in place of steel reinforcement or prestressing tendon in concrete, pull-out testing suggested by CAN/CSA S806-02 was performed. A total of 40 specimens were made of concrete cube with steel strands, deformed steel bar and 6 different surface shape FRP materials like carbon or E-glass. Results of the bonding tests presented that each specimen showed various behaviors as the bond stress-slip curve and compared with the bond characteristic of CFRP tendon developed in Korea.

Studies on the Adhesion of W to TiN(II) (TiN에 대한 W의 부착특성에 관한 연구(II))

  • Lee, Jong-Mu;Gwon, Nan-Yeong;Lee, Jong-Gil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3 no.6
    • /
    • pp.593-597
    • /
    • 1993
  • Adhesion of CVD W to the TiN glue layer in the blanket W process which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filing contact holes in subhalfmicron ULSIs has been investigated. The adhesion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the W film thickness due to the decrease of the TiN film stress. The adhesion strength was increased by the sputter etching of the TiN surface prior to the W deposition owing to the removal of contaminants and the increase of the surface roughness. The adhesion of the W film to the TiN glue layer property was also improved by Ar ion implantation of the TiN surface owing to the activation of the TiN surface.

  • PDF

RC조 보수에 사용되는 폴리머시멘트 몰탈의 철근 부착특성 평가

  • Park, Dong-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47-249
    • /
    • 2013
  • 열화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성능회복을 위하여 전기화학적 방식, 단면복구공법, 균열보수공법, 표면마감공법 등이 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면복구공법의 적용과 성능예측을 위한 해석 모델의 입력값으로 사용될 보강철근과 단면복구재의 부착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철근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폴리머시멘트몰탈이 사용되었으며 부착요소의 강성과 강도를 구하여 비선형 해석을 실시하여 상당한 정확도의 예측값을 도출하였다.

  • PDF

Bond Characteristics of FRP sheet to Various Types under Cyclic Load (반복하중하의 FRP 시트 종류에 따른 부착특성)

  • Ko, Hune Bu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2 no.2
    • /
    • pp.131-138
    • /
    • 2008
  • Fiber-reinforced polymer (FRP) sheet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retrofit a number of exis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because of their excellent properties (high strength, light weight and high durability).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FRP sheets and concrete should be investigated to ensure an effective retrofitting system. RC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FRP sheets are often subjected to cyclic load (traffic, seismic, temperature, etc.). This research addresses a local bond stress-slip relationship under cyclic loading conditions for the FRP-concrete interface. 18 specimens were prepared with three types of FRP sheets (aramid, carbon, and polyacetal) and two types of sheet layer(one or two). The characteristics of bond stress-slip were verified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on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Experimental Study on the Bond Properties between GFRP Reinforcements an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의 부착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Yun-Cheul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5 no.5
    • /
    • pp.573-581
    • /
    • 2013
  •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bond properties between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reinforcements was performed.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diameter of reinforcements,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cover thicknes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ond failure mainly occurred with splitting of concrete cover. Main factor for splitting of concrete is tension force occurred by the displacement difference between reinforcements and concret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bond failure between reinforcements and concrete, capacity of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cover should be upgraded. As a results of test,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bond strength. Cover thickness changes the failure mode. Diameter of reinforcements also changes the failure mode. Generally, diameter of reinforcement also affects the bond properties but this effect is not significant as volume fraction of fiber. Increase of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the bond strength between concrete and reinforcement becaus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directly affects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Finite Element Analysis of RC Structures considering Bond Characteristics (부착특성을 고려한 RC구조물의 유한요소 해석)

  • 한상호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157-164
    • /
    • 1997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 철근간의 경계면을 나타내는 유한요소법에는 균열의 부근에서 발생하는 부착열화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균열 부근에서 과도한 부착을 초래하고 , 국소 변형과 균열의 진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근에서 일어나는 부착거동의 변화를 고려한 비선형 부착응력-미끄럼 모델을 제안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경계면에는 링크요소를 이용하였고, 링크의 특성은 철근을 가로지르는 균열의 상태에 따라 변하도록 조정하였다. 균열의 형성상태를 정량화하고, 부착거동을 두 포락선 1) 균열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외연포락선, 2)횡균열면에 있어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내연포락선의 사이에 변이시키기 위하여 비국소적 손상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방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편재하중을 받는 T형 교각의 실험 및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본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