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착성

검색결과 3,709건 처리시간 0.036초

굴 양식장 수하연에 부착하는 다모환충류의 분류학적 연구 (POLYCHAETOUS ANNELIDS GROWING IN OYSTER FARMS)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3-44
    • /
    • 1980
  • 부착 생물에 관한 연구는 선박, 해수 이용시설, 수산 양식업 둥의 방제대책과 관련하여 부착 생물의 종류, 부착 량, 성장도 및 계절적 변화 둥의 연구가 중요한 문제하고 생각한다. 특히 양식시설이 밀집한 진해만 해역의 굴 양식 시설에 부착하는 대부분의 생물들이 Ascidicea, Crustacea, Cirripedia, Bivalvia, Bryozoa, Polychaeta, marine algae 등이며, 이들 가운데 피해가 심한 다모환충류에 관하여 분류학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던 바 수하연의 양식 굴 사이에서 많은 양의 갯지렁이류를 얻었기에 보고 한다. 수하연에 서식하는 갯지렁이류는 제2부착성(Kazihara, 1964)의 갯지렁이류로서 왕관 모양의 큰 아가미 혹은 몸앞 부분에 실모양의 감각 촉수를 가지고 굴에 피해를 입히는 짧은수술갯지렁이 Loimia medusa, 미끈꽃갯지렁이 Myxicola infundibulum와 제1부착성으로서 굴 패각, 양식 시설 등에 석회질의 집을 형성시켜 피해를 입히는 우산관덮개꽃갯지렁이 Hydroides ezoensis, 둥근구멍환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 등의 7과 12속 13종을 보고한다. 이 가운데 새날개갯지렁이 Chaetopterus variopedatus와 둥근구멍관덮개꽃갯지렁이 Dexiospira alveolatus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 및 장 출혈성 대장균의 부착 억제 능력 (Adhesion Ability and Inhibition of Enterohemorrhagic E. coli O157:H7 Adhesion to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 김영훈;박순옥;한경식;오세종;유승권;김세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1
    • /
    • 2004
  •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건강증진과 관련된 많은 probiotics 균주들의 선별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L. acidophilus를 포함하는 probiotics 중 장 상피세포에 부착력이 우수한 균종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은 병원성 미생물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HT-29 cell을 대상으로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분리된 L. acidophilus의 부착능력을 측정하였다. 부착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LGG를 대조구로 부착능력을 평가하였을 때 5종의 L. acidophilus 모두 LGG와 유사한 부착능력을 나타내었으며 L. acidophilus A4의 경우 가장 높은 1.2${\times}$$10^{7}$ cfu/ml의 부착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이 host에 대한 특이성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부착된 유산균을 3분씩 3회 연속 wash-out을 실시하였을 때 모두 $10^{5}$ cfu/mL 이상의 부착능력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probiotics의 부착능력과 세포표면 소수성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였을 때 어떠한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5종의 L. acidophilus의 경우 세포표면 소수성에 의해 부착능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작에 의해 부착능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5종의 L. acidophilus를 대상으로 EHEC ATCC 43889의 장 상피세포 부착억제능력을 측정하였을 때 5종 모두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EHEC의 부착을 2 log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는 일부 유산균주의 부착능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유산균이 생성하는 발효산물이나 세포표면 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및 이황화 결합 환원제 처리가 밥의 텍스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 and Disulfide Bond Reducing Agent Treatment on the Texture of Cooked Rice)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63-569
    • /
    • 1995
  • 쌀 단백질이 밥의 식미와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와 이황화결합 환원제 처리가 밥의 텍스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세 품종의 찰밥의 경도, 부착성, 탄력성 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IR 36의 밥이 가장 단단하고 부착성이 적었다. 밥의 경도는 $4^{\circ}C$에서 12시간 저장한 후에 두드러지게 증가하였으며 경도와 부착성에 대한 품종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처리한 밥과 2-mercaptoethanol을 처리한 밥은 처리하지 않은 밥보다 밥의 수분 함량과 평윤 크기가 증가하였으며 경도의 감소와 부착성의 증가가 뚜렷하였고 관능검사에 의한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 PDF

성장이 늦은 소형 참전복 치패의 성장회복을 위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s of Benthic Diatoms for Growth Recovery of the Retarded Spat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한형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3-168
    • /
    • 2000
  • 부착성 규조류는 전복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초기 먹이생물이다. 본 실험은 이러한 부착성 규조류를 먹이로 하여 동일한 치패군에서 성장이 늦은 소형치패를 빠른 시일내 성장을 회복시키기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일한 개체군에서 성장이 늦은 소형치패를 선별하여 7종의 규조를 먹이로 사육한 성장회복 실험결과에서 치패의 생존율은 C. schroderi, P. tricornutum 및 Raphoneis sp.에서 93.33~96.67% 범위로 유의적인 차이가 얼이 높았고, 성장은 C. schroderi구에서 일간성장량이 112.6 ${\mu$m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 규조중 C. schroderi와 미역을 먹이로 한 실험과 자연 발생된 부착성 규조류와 미역을 먹이로 하여 치패를 사육한 실험에서 생존율은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87.8%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치패의 성장은 미역을 먹은 치패가 26.7~43.3 ${\mu$m,${\mu$m C. schroderi와 자연발생된 규조를 먹은 치패가 74.8~81.4 ${\mu$m의 일간성장량을 보여 미역보다 규조를 먹은 치패가 2배 정도의 높은 성장을 보였다. 따라서 소형치패의 성장회복을 위하여 미역보다는 규조류 특히, C. sckroderi가 가장 적합하였다.

  • PDF

GFRP 보강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모델에 관한 고찰 (Bond Models for GFRP Rebar Embedded in Concrete)

  • 유영준;박지선;박영환;김형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43-151
    • /
    • 2006
  • 본 논문은 철근 또는 GFRP 보강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해석적 부착모델에 관한 적합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부착시편은 CSA 규준에 따라 제작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보강근의 종류는 철근과 상용화된 GFRP 보강근 2종(ASLAN, ISOROD)이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착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해석적 부착모델과 새롭게 제안된 부착모델의 적합성을 최소자승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새롭게 제안된 해석적 부착모델은 기존 부착모델에 비해 높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비피도박테리아의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 (Adhesion of Bifidobacteria to Caco-2 Cells and in Relation to Cell Surface Hydrophobicity)

  • 임광세;허철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7-502
    • /
    • 2006
  • 한국인 유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10종의 분리균주를 포함하여 총 16종의 bifidobacteria에 대한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과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였다. 부착성과 세포 표면소수성 모두 균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균종에 따른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균주 중에서 B. longum D6, B. longum H4, B. breve Ml,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균주가 세포 표면 소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Caco-2 세포에 대한 부착성은 B. bifidum B3, B. longum D6, B. longum H4, B. thermophilum ATCC 25525, B. suis ATCC 27533, B. animalis subsp. lactis BB12, B. longum 2 등이 우수하였다. 또한 Caco-2세포에 200개 이상이 부착되는 실험 균주는 모두 60% 이상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부착성이 우수한 균주 선발 시 분리 균주의 세포 표면 소수성을 측정하여 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Collagen과 osteopontin이 도입된 고기능성 PCL membrane의 제조 및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능 관찰

  • 김영희;송호연;;변인선;박민주;이병택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1-42.1
    • /
    • 2010
  • Poly-carprolactone (PCL)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장기간의 임상실험 결과 생체에 독성이 없으며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소재로 확인되어 PLGA, PLLA 등과 더불어 조직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체재료이다. 그러나 PCL은 5개의 비극성 methylene group과 1개의 극성 ester group이 반복되는 지방족의 polyester로 구조상 탄소수가 많아 소수성을 띄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이 소수성인 재료의 경우, 초기 단백질 흡착능이 떨어져 세포의 부착이 느린 속도로 일어나므로 세포 분화 및 조직 재생이 더디게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의 PCL 표면의 단백질 흡착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능성 amine group을 부착하였으며, 또한 골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세포외 기질인 collagen과 osteopontin을 부착함으로써 고기능성 PCL membran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PCL membrane은 골재생용 조직공학에의 응용을 위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부착능 및 골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하였다. 표면 성질의 변화에 의한 세포의 부착능의 변화를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부착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collagen과 osteopontin에 의한 골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real time PCR을 통해 골세포의 분화 표지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부착특성을 고려한 RC구조물의 유한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RC Structures considering Bond Characteristics)

  • 한상호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57-164
    • /
    • 1997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와 철근간의 경계면을 나타내는 유한요소법에는 균열의 부근에서 발생하는 부착열화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균열 부근에서 과도한 부착을 초래하고 , 국소 변형과 균열의 진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근에서 일어나는 부착거동의 변화를 고려한 비선형 부착응력-미끄럼 모델을 제안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경계면에는 링크요소를 이용하였고, 링크의 특성은 철근을 가로지르는 균열의 상태에 따라 변하도록 조정하였다. 균열의 형성상태를 정량화하고, 부착거동을 두 포락선 1) 균열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외연포락선, 2)횡균열면에 있어서의 부착상태를 모델링한 내연포락선의 사이에 변이시키기 위하여 비국소적 손상도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방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편재하중을 받는 T형 교각의 실험 및 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본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고분자 담체에 대한 혐기성 미생물의 초기부착에 관한 연구

  • 박성열;박영식;이승란;이창한;이송우;송승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봄 학술발표회
    • /
    • pp.206-207
    • /
    • 2000
  • 고분자 담체의 경우 표면의 화학적 성질인 소수성과 물리적 성질인 표면거칠기는 미생물 부착과 관련이 있지만 두 요소 중, 표면거칠기의 영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며 담체 표면의 소수성이 작고 표면거칠기가 클수록 혐기성 미생물이 잘 부착되었다.

  • PDF

타일 떠붙임 시멘트 모르타르의 배합비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시공성에 대한 관능 평가 (Sensory Evaluation of Quality and Constructability of Cement Mortar for Tile Direct Setting Method Depending on Mix Proportions)

  • 황인성;기태경;한동엽;노상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9
    • /
    • 2021
  • 본 연구는 타일 떠붙임 시멘트 모르타르의 시멘트 : 잔골재의 혼합 비율인 모르타르 배합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시공성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즉, 타일 시공 후 타일 탈락 하자와 관련한 타일 부착량 및 바탕 부착 하중 시험을 통해 타일 떠붙임 시공 시 콘크리트 바탕면과 타일면의 부착 성상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공성에 관한 관능 평가 결과 타일 떠붙임 모르타르의 시멘트에 대한 잔골재의 질량 비율인 S/C 6 이상은 도기질 타일과의 초기 부착성은 우수하나, 마감 조정성이 불량하고, 바탕면에서 처짐 발생 우려가 있다. 반면, S/C 4 이하는 마감 조정성은 좋으나, 초기 부착성이 저하하고, 바탕면에서 점성에 의한 처짐 등으로 시공성이 저하하며, 부착강도가 저하하여 타일과 모르타르의 계면 탈락 우려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도기질 타일용 타일 떠붙임 모르타르의 우수한 품질 및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S/C 5 전후가 가장 적정한 혼합 비율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