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직포

검색결과 496건 처리시간 0.024초

아라미드와 시뮬레이션 부직포의 기공 크기에 대한 특성 -이미지 분석을 통한 연구- (Pore Characteristics in Aramid and Simulation Nonwoven Fabrics -through Image Analysis-)

  • 나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01-810
    • /
    • 1995
  • 부직포의 기공크기에 대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였다. 아라미드부직포와 그 부직포를 시뮬레이션한 부직포에 대해서 기공의 크기를 대표하는 평균 기공크기와 그 분포를 이미지 분석의 두가지 방법으로, 즉, 형태학적인 방법과 기하학적인 방법을 통해 측정해보았다. 아라미드 부직포, 시뮬레이견 부직포이건 상관 없이 부직포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공의 크기특성, 즉 기공의 면적, 수력반경, 그리고 기공내의 최대 내접원의 반경은 감소하였다. 형태학적인 방법과 기하학적인 방법은 부직포의 종류에 상관없이 기공의 크기를 측정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부직포내의 섬유의 배열방향이 무작위이기 때문이었다. 실제의 아라미드 부직포와 시뮬레이션 부직포의 기공크기에 대한 특성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 PDF

종류가 다른 부직포가 삽입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모드 II 층간파괴인성 (Mode II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Hybrid Composites Inserted with Different Types of Non-woven Tissues)

  • 정종설;정성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41-14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FRP 적층판에 다양한 종류의 부직포를 삽입하여 모드 II 층간파괴인성을 평가하고, 파단면의 SEM 분석을 통해 층간파괴인성의 증가 원인을 파악하였다. 모드 II 층간파괴인성값($J/m^2$)은 ENF실험에 의하여 얻어졌으며, 부직포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과 3종류의 부직포(8 $g/m^2$의 탄소부직포, 10 $g/m^2$의 유리부직포, 8 $g/m^2$의 폴리에스테르부직포)가 각각 삽입된 시험편들이 준비되었다. 각 시험편들에 대한 모드 II 층간파괴인성값은 부직포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을 기준으로 탄소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197.7% 증가하였고, 유리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약 135.4% 증가하였으며, 폴리에스테르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약 158.7% 증가하였다. 부직포 삽입에 의한 모드 II 층간파괴인성값의 증가 원인은 SEM 분석에 의한 결과 단섬유의 섬유가교(Fiber bridging), 섬유파단(Fiber breakage), 헥클(Hackle) 등의 발생에 기인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천 호안공의 수리적 안정성 및 식생 활착성 평가 (Hydraulic Stability and Vegetation Rooting of Revetment Works)

  • 김진홍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02-110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방 사면에 적용된 자연친화적인 호안공 중 블록공을 대상으로 수리적인 안정성 및 식생 활착성 등을 검토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블록 호안공은 수리적인 안정성을 갖지만, 호안공 배면에 토사유출 방지를 목적으로 부직포를 설치하는데, 이 경우 호안공 두께가 그리 크지 않아 홍수시 또는 인위적인 행위에 의해 호안공이 쉽게 어긋날 우려가 있다. 또한 부직포 위에 호안공을 설치하는 까닭에 마찰이 적어 홍수시 흐름의 소류력에 의해 쉽게 미끄러질 우려가 있으며, 경사면과 부직포 사이로 물이 들어갈 경우 부직포가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 배면의 토사는 부분 흘러내림 현상으로 토사 유출에 따른 부등침하와 블록의 내려앉음 현상이 발생되는 우려가 발생된다. 현지조사 결과 블록공 배면에 설치되는 부직포는 식물 뿌리가 뚫고 들어가지 못하므로 식생활착이 불충분함이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수리적인 안정성과 식생 활착을 동시 만족시키는 호안공은 부직포가 설치된 호안공으로서 부직포는 식물 뿌리가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하며, 호안공 공극에 충분한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형태이어야 한다.

  • PDF

보온부직포 재료가 참외의 생육 및 수량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woven Fabrics Materia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Korea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신용습;이지은;연일권;정종도;최성용;이기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6
    • /
    • 2009
  • 참외 보온부직포 종류가 참외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뚝심토좌호박 오복꿀 참외를 접목하여 정식 전부터 MD부직포, PE부직포 처리구와 대조구인 관행 12온스를 4월 25일까지 덮어서 재배하였다. 2009년 2월 6일 17시부터 익일 08시까지 야간 평균 온도의 일변화를 조사한 결과, 관행 12온스 부직포는 13.1$^{\circ}C$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는 14.7$^{\circ}C$,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13.3$^{\circ}C$로 관행 12온스 부직포에 비하여 PE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비슷하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1.6$^{\circ}C$ 더 높았다. 정식 30일 후 참외의 초기 생육은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온도가 높아 활착이 빨라 초장이 길고 잎이 커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다. 참외 첫 수확은 관행 처리구에서는 정식 89일후에 수확하였으나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88일후, MD솜 부직포 처리구는 78일후 수확하였다. 따라서 첫 수확은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11일 단축되었다.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과중이 무겁고 당도가 높고 과피색도가 우수하고 상품과율이 높았다. 수량비율은 관행 및 PE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초기, 중기 및 후기가 4:3:3으로 비슷하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초기, 중기 및 후기의 비율이 5:3:2로 특히 초기수량이 많았다. 10a당 총수량은 관행 처리구의 1,844kg에 비하여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9% 증가하였다.

부직포를 삽입한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 (Impact Characteristics of Garphite/Epoxy Composite Materials with Non-wowen Tissue)

  • 정성균;서유원;이승환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5-13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부직포를 삽입한 Gr/Ep 복합재료의 충격 흡수 특성을 연구하였다. 계면(interface) 층에 유리 부직포 또는 탄소 부직포를 삽입하여 복합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저속충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delamination)를 C-Scan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계면에 부직포를 삽입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 면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종류가 다른 부직포가 삽입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층간파괴인성 : Part I-Mode I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Hybrid Composites Inserted with Different Kinds of Non-Woven Tissues : Part I-Mode I)

  • 정종설;정성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4호
    • /
    • pp.497-50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종류가 다른 부직포가 삽입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Mode I 층간파괴인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ode I 층간파괴인성값($J/m^2$)은 DCB실험에 의하여 얻어졌으며, 부직포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과 3종류의 부직포(8 $g/m^2$의 탄소부직포, 10 $g/m^2$의 유리부직포, 8 $g/m^2$의 폴리에스테르부직포)가 각각 삽입된 시험편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시험편들에 대한 Mode I 층간파괴인성값은 부직포를 삽입하지 않은 시편을 기준으로 탄소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6.3% 감소하였고, 유리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약 11.4% 감소한 반면 폴리에스테르부직포를 삽입한 시편은 약 69.4% 증가하였다. 폴리에스테르부직포는 탄소부직포에 비해 저렴하며 가볍고, Mode I 층간파괴인성값을 크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여과집진막의 제조 및 선정 (Manufacture and Selection of Bag Filter)

  • 이충중
    • 멤브레인
    • /
    • 제5권2호
    • /
    • pp.59-64
    • /
    • 1995
  • 지난 수십년간 부직포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정부차원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부직포를 이용한 FILTER의 수요는 꾸준히늘고 있다. 특히 대구의 페놀사건 및 리우회담 개최 등으로 환경문제에 전국민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관심의 영역이 급속히 넓어짐으로 인하여 공해방지용 각종 FILTER와 집진기용 FILTER의 수용가 상당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리우회담을 계기로 정부의 공해방지 및 환경에 대한 규제도 대폭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직물을 소재로 한 여과매체보다 형태의 안정성, 다양성, FILTERING 효과에서 앞서고 있는 부직포의 여과매체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질 개발하지 못한 부직포를 이용한 FILTER의 개발이 시급하고, 미개척 분야에서의 부직포 사용을 위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리고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른 고서능 여과포의 개발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본 장에서는 부직포를 이용한 여과매체, 즌 BAG FILTER의 제조 및 선정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추후 부직포 산업의 활성화에 미약하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

  • PDF

여과집진막의 제조 및 선정

  • 이충중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5년도 심포지움시리즈 Jan-95 산업용 여과집진막 제조 및 신응용
    • /
    • pp.69-83
    • /
    • 1995
  • 지난 수십년산 부직포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정부차원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이 고조되면서 부직포를 이용한 FILTER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대구의 페놀사건 및 리우회담 개최등으로 환경문제에 전국민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관심의 영역이 급속히 넓어짐으로 인하여 공해방지용 각종 FILTER와 집진기용 FILTER의 수요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리우회담을 계기로 정부의 공해방지 및 환경에 대한 규제도 대폭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직물을 소재로한 여과매체보다 형태의 안전성, 다양성, FILTERING 효과에서 앞서고 있는 부직포의 여과매체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직 개발하지 못한 부직포를 이용한 FILTER의 개발이 시급하고, 미개척 분야 에서의 부직포 사용을 위한 연구가 꾸준리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리고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른 고성능 여과포의 개발 또한 시급한 실정이다. 본장에서는 부직포를 이용한 여과매체, 즉 BAG FILTER의 제조 및 선정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추후 부직포 산업의 활성화에 미약하나마 보탬이 되길 바란다.

  • PDF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개발 (On the Development of Hybrid Composites with Non-Woven Tissue)

  • 이승환;노구찌히로시;정성균
    • Composites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20-27
    • /
    • 2006
  •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재료는 일반적인 섬유강화 적층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부직포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는 전형적 FRP 프리프레그와 부직포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전 있다. 부직포 프리프레그는 부직포와 수지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다. 부직포는 단섬유가 평면상에 불규칙적으로 분산되어 배치된 형상이다.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프리프레그의 개발목적은 (i) 적층간의 층간특성(층간파괴인성 및 층간강도)을 향상시키고, (ii) 저비용으로 재료의 기계적 강도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하며, (iii) 복합적층판에서 강화가 요구되는 층에 인성과 강도를 부여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직포층의 기포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조기술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부직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복합적층판의 층간파손특성이 크게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