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지환경평가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Toolbox Approach for the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of a Chemical Plant in a Coastal Area (연안지역 화학공장부지의 부지환경평가를 위한 복합조사기법의 적응)

  • Choi, Seung-Jin;Woo, Nam-Chil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0 no.4
    • /
    • pp.419-443
    • /
    • 2007
  • Recently, the branch-out of foreign companies into domestic markets through M&A and the opened followed by the Free Trade Agreement(FTA) with America have made the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s of specific site more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case study of conducting actual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by use of a toolbox approach at a large scale of chemical plant with various contaminants located in a coastal area, the problems of guideline of domest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soil were complemented. And an efficient and economical assessment was achieved. All six steps such as basic investigation, environmental site history survey, sampling and analysis, installation of monitoring wells and hydrogeological survey, and data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ll results of document survey, geological lineament analysis, field geology survey of surrounding area, geophysical prospecting of the sit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 of groundwater flow rate and direction, sampling and analysis at each step were associated and estimated as an integrated tool box approach.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oolbox approaches were very useful techniques for contamination level and site characterization of subsurface media. The given conditions to conduct a basic survey for domestic soil environment assessment of site by use of existing documents, as well as interviews with the owner/manager/user of all adjacent properties and thorough review of all practically reviewable records pertaining to the property and surrounding properties within "Guideline for Soil Environment Assessment" radii are very poor.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oolbox approach in the environment site assessment of site is not only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but also could be very useful assessment to integrate the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 부지평가 방안

  • 오이성;이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365-370
    • /
    • 1996
  • 본 논문은 GIS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최적의 부지 선택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근래 고도 경제 성장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소의 추가 건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적지가 희소한 실정이며 정부의 국토이용 계획, 각종 개발 제한 사항에 의해 갈수록 제약을 받게 되어 부지 선정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원자력 발전소 입지선정 절차를 근간으로하여 부지평가에 영향을 주리라 예상되는 지질, 골재원, 수송조건, 부지표고, 용수원, 해상조건, 접안조건 및 주변환경, 인구 분포 등의 부지평가 요소들을 중심으로 하고, GIS를 이용한 부지평가 항목의 분석을 통하여 원자력 발전소 부지의 최적 후보지를 결정하는 개념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ES (부지환경종합관리시스템 개발과 적용)

  • Park, Joo-Wan;Yoon, Jeong-Hyoun;Kim, Chank-Lak;Cho, Sung-Il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6 no.3
    • /
    • pp.205-215
    • /
    • 2008
  • SITES(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ally managing sit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data produced during the pre-operational, operational, and post-closure phases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SITES is an integr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4 modules, to be available for maintenance of site characteristics data, for safety assessment, and for site/environment monitoring; site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module(SECURE), integrated safety assessment module(SAINT), site/environment monitoring module(SUD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module for geological data management(SITES-GIS). Each module has its database with the functions of browsing, storing, and reporting data and information. Data from SECURE and SUDAL are interconnected to be utilized as inputs to SAINT. SAINT has the functions that multi-user can access simultaneously via client-server system, and the safety assessment results can be managed with its embedded Quality Assurance feature. Comparison between assessment result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can be made and visualized in SUDAL and SITES-GIS. Also, SUDAL is designed that the periodic monitoring data and information could be opened to the public via internet homepage. SITES has applied to the Wolsong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center in Korea, and is expected to enhance the function of site/environment monitoring in other nuclear-related facilities and also in industrial facilities handling hazardous materials.

  • PDF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Risk-based Site Management and Use of Risk Mitigation Measures (위해성기반 오염부지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체계 및 이를 위한 위해저감기술의 활용)

  • Chung, Hyeonyong;Kim, Sang Hyun;Lee, Hosub;Nam, Kyoungphile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5 no.3
    • /
    • pp.32-42
    • /
    • 2020
  • 오염부지 관리 기조가 매체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우리나라에 위해성평가 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이를 오염현장에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체계와 관련 기술들은 아직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여러 가지 이유로 정화곤란부지로 분류가 되는 오염부지의 정화 및 관리와 그러한 부지에 적용될 수 있는 위해저감기술들에 대한 기술적, 사회적 논의와 합의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오염토양의 정화에만 초점이 맞추어진 우리나라의 토양환경정책이 오염부지의 관점에서 그와 연결된 수용체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위해성기반 오염 부지관리 의사결정체계를 제안하고, 그러한 관리체계가 현장에서 적절히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위해저감기술들을 조사, 분류하여 위해저감 방식에 따른 위해저감기술의 활용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월성원전 부지 주변지역의 봄철 해륙풍 특별상층관측

  • 이갑복;손순환;정양근;서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611-616
    • /
    • 1996
  • 원자력 발전소에서 대기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이동 양태는 지형과 기상조건에 의해 크게 좌우되므로, 해안가에 위치해 있는 월성부지의 경우는 빈번히 발생하는 해륙풍 특성을 규명하여 이에 적합한 환경영향평가 및 비상대응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월성부지의 해륙풍 순환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봄철 해륙풍 상층기상 특별관측을 월성부지를 중심으로 4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관측결과를 분석하여 해륙풍이 방사성 물질의 대기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륙풍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영향평가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 PDF

방사성폐기물처분장 주변 균열 암반에서의 핵종이동 모델의 검토 및 평가방법론

  • 이연명;강철형;한필수;박헌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4
    • /
    • pp.578-599
    • /
    • 1994
  •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의 건설에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는 처분안전성의 확보일 것이다. 처분장 안전성평가는 처분장이 입지하는 환경에 대한 실험실적 자료 또는 현장 자료의 충분한 데이타베이스와 처분시스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주요한 프로세스를 기술하는 수학적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처분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은 처분된 폐기물고화체를 인간환경으로 부터 완벽하게 고립시켜 처분장내에 영구적으로 격리시키는 것이다. 그렇지만 정상적이든 비정상적이든 핵종은 항상 유출될 가능성이 있고 설사 이러한 경우라도 충분히 안전한 것을 입증하는 것이 처분장 성능 평가와 안전성평가의 주요한 목적이 된다. 한편 장기간에 걸친 처분 안전성 평가는 전산 프로그램을 통한 이론적 예측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처분안전성 평가도구의 개발 및 확보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처분장이 입지하는 암반 매질에서의 핵종의 이동을 기술할 수 있는 여러 모델을 검토하고, 특정 처분부지에 대한 종합적 안전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할 목적으로 임의의 1개 부지의 지형도및 추정가능한 지질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해당 부지에 대한 가상의 핵종 유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부지특성적인 예비 종합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여 보았다.

  • PDF

유류 오염 부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 -RBCA를 중심으로-

  • 류상민;함세영;정재열;신현무;오방일;김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70-373
    • /
    • 2002
  • 위해성 평가(Risk assessment)는 지하수나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자연 환경과 사람에게 미칠수 있는 위해(risk)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 평가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오염도 저감 여부 및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부지를 대상으로 측정된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값에 근거하여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Risk)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와 동시에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의 정화기준을 산정 하고자하였다. 그 결과 유류로 오염된 00지구에 대한 정화기술적용시의 최소성분감소비(CRF)를 산출하여 정화의 정도치와 정화목표농도를 산출하였다.

  • PDF

측정불확도를 응용한 오염토양부지 조사의 최적화 방안

  • 이종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42
    • /
    • 2003
  •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산 주변부나 유류누출로 인한 토양오염 등과 같은 오염부지에 대한 환경조사는 그 결과를 토대로 환경계획이나 정책이 수립되므로 의사결정의 기초가 된다. 이때, 의사결정의 타당성은 오염부지 조사결과 오염도가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되었느냐에 따라 달리 평가되어 진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환경조사는 측정결과의 불확실성이 감소되도록 정밀한 시료채취방법이나 분석방법을 고안하여 적용해야 한다. (중략)

  • PDF

Analysis of Extreme Flood for Nuclear Power Plant Site (원전부지의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극한홍수해석)

  • Keum, Ho Jun;Park, Jun-Hyeong;Heo, Jun Haeng;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53-553
    • /
    • 2016
  •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에서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하여 대규모의 경제적 피해와 생명에 위협을 준 원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국가주요시설인 원전부지의 사고위험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늘 위협받고 있으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단시간의 지역적인 집중호우와 예상치 못한 폭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극한홍수로 인한 사고 또한 중요한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원전부지에 대하여 PMP 등의 이상강우 조건 하에서 수공학적 안정도 평가와 국가 주요시설물 부지의 침수해석기법의 개발은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전부지 내에 영향을 미치는 극한강우를 다양한 기법으로 산정하여 가장 큰 피해를 미치는 극한강우 사상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극한강우를 유역유출분석을 통해 실제 원전부지 내로의 유입 경계조건으로 고려하여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해 원전부지 내 주요시설물, 도로, 하수관망 및 구조물 등을 반영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출분석을 통해 유입되는 극한홍수량 외에 원전부지 내로 내리는 직접 강우도 함께 고려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원전부지 내 침수심 및 유속 분포 등의 침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침수위험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원전부지 내의 극한강우 산정 및 그로인한 침수위험도 작성으로 원전부지의 방재대책 수립시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sidual Radioactivity Investigation Procedure in Decommissioning Site (해체부지의 잔류방사능 조사 절차 수립에 관한 연구)

  • 김학수;임용규;박경록;손중권;강기두;김경덕;정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4-31
    • /
    • 2004
  • In order to decommission safely nuclear power plant, it is necessary for the procedure of residual radioactivity investigation in site to provide detailed guidance for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environmental and facility radiological surveys conducted to demonstrate compliance with a dose or risk-based regul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dure of residual radioactivity investigation in decommissioning site - Historical Site Assessment, Scoping Survey, characterization Survey, Remedial Action Support Survey, Final Status Survey - on the basis of MARSSIM(Multi-Agency Radiation Survey and Site Investigation Manual) and investigation cases of decommissioned or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