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존 특성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지하수

  • 김천수;정상용;배대석;고용권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4.03a
    • /
    • pp.26001-26117
    • /
    • 2004
  •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 기간은 수 천년이지만 지하수의 특성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부터이다. 지하수는 용천이나 착정공 외에는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비전문가는 지하수 유동, 산출, 근원에 대하여 아직도 이해하기가 힘들다. 고대에는 지하수의 기원을 해수로 생각하였고 현 대에도 많은 사람들은 지하수는 지하하천형태로 부존하며, 수맥을 만나야만 지하수가 산출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현재 수리지질전문가들은 지하수를 수문순환계의 일부로 설명하고 있으며, 국지적 규모의 지하수 유동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으나 광역적인 지역에서 지하수의 적정 산출량, 부존대 위치. 지하수 수질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중략)

  • PDF

ON THE TECHNICAL PROBLEM IN THE SHAFT WORKS(IV) (수갱공사의 기술적 문제에 대해서(IV))

  • 이융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4.03a
    • /
    • pp.89-101
    • /
    • 1994
  • 기 발표된 보문에서, 정수두압이 작용하는 수갱측벽의 두께 산정과 수갱굴하의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이 두 부문에 대해서는 계속 다루어 나갈 예정이며, 본 회부터는 수갱굴하의 원론적인 문제도 다루기도 한다. 광산이나 탄광의 수갱은, 심부에 부존하는 광체 또는 탄층에서 채굴된 광물과, 갱도굴진에서 나온 버럭을 권양하고, 작업인원, 제반 자재, 압기동력원이 되는 전기, 급수 등을 공급하여 안전한 갱내작업을 유지하기 위한 통기회로를 형성시키고, 또한 갱내수를 배출하는 다목적의 대동맥과 같은 역할을 하는, 말하자면 광산의 가장 핵심체이다. (중략)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nd and River Aggregate Resources in Yeongam Area by Deposition Period (영암지역 육상 및 하천 골재의 퇴적 시기별 분포 특성)

  • Jin Cheul Kim;Sei Sun Hong;Jin-Young Lee;Ju Yong Kim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7 no.2
    • /
    • pp.243-251
    • /
    • 2024
  • In this study, a surface geological survey was first conducted to investigate aggregate resources in the Yeongam area of Jeollanam-do, and a drilling survey was conduc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which was difficult to identify through a surface geological survey,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ggregates. Drilling site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development and Quaternary alluvium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and river aggregate drilling survey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5 points and land aggregate drilling surveys were conducted at a total of 28 points. Borehole core sediments were classified into seven sedimentary units to determine whether they could be used as aggregates, and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ing was performed on representative boreholes to measure the depositional period for each sedimentary unit.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Yeongam area had a very wide river basin, so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ould be a large amount of aggregate, but the amount of aggregate was evaluated to be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counties. Most of the unconsolidated sedimentary layers in the Yeongam area are composed of blue-grey marine clay with a vertical thickness of more than 10 m. The sand-gravel layer corresponding to the aggregate section is distribut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rine clay, thinly covering the bedrock weathering zone.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aggregates themselves is small and most of the aggregates are distributed at a depth of 10 m below the surface, which is currently difficult to develop, s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ggregates is evaluated to be very low. As a result of d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blue-grey marine clay layer is an intertidal sedimentary layer formed as the sea level rose rapidly about 10,000 years ago. The deposition process continued from 10,000 years ago to the present, and as a result, a very thick clay layer was deposited. This clay layer was formed very dominantly for about 6,000 to 8,000 years, and the sand-gravel layer in the section where aggregates deposited in the Pleistocene period can exist was measured to have been deposited at about 13.0 to 19.0 ka, and about 50 ka, showing that it was deposited as paleo-fluvial deposits before the marine transgression process.

Application of IHS Transform Method for Understanding of Groundwater Resources Distribution in the Haenam area (해남지역 지하수 부존 분포 파악을 위한 IHS 변환 적용)

  • 김승태;이기원;유인걸;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1-55
    • /
    • 2003
  •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역인 전라남도 해남군 전역에 대해 현장조사된 지질 및 지하수 양수량 자료등과 같은 수리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Landsat 영상자료과의 영상융합 과정을 통해 지하수 부존가능성에 대한 수리 지질 지표정보로 추출함으로서 지하수 특성정보를 위성영상정보와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도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시 획득된 자료는 해남지역을 11개 소유역으로 구분한 후 각 구역에 대한 2000여개 관점에서 측정된 양수량과 안정지하수위를 이용하여 산출한 비용출량 자료(groundwater specific capacity)와 각 소 유역 (unit watershed)에 대한 선구조 분석자료, 지질별 분포, 정밀고도자료를 추출하여 산출한 고도, 경사도 분포, 수계패턴과 수계밀도로서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해남지역에 대한 지하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위성영상자료의 처리과정은 Landsat 5 TM 영상자료는 '86. 12. 11 및 '98. 12. 28에 촬영된 WRS(World Reference System) Row-Path116-36로서, 1986년 영상은 12년 차이의 해남의 변화지역을 탐지하기 위한 영상자료로서 활용하였으며 98년 영상을 주요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지표 이용정보 추출은 크게 수역추출, 식생분포추출, 지표분류도, 변화탐지영역추출로 구분된다. 본 연구방법은 크게 위성영상분석을 통해 추출된 정보와 지표조사를 통해 획득된 선구조 및 지하수 정보를 Data fusion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는 IHS 변환 기법을 통해 본 역에 대한 지하수 정보 및 간척지 등에 의한 지표 개발에 따른 지하수 부존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현황을 효과적인 자료로 표현하고자 하였다.및 스페클 잡영 제거 정도에 있어 다른 필터들과 큰 차이가 없지만 경계선보존지수는 다른 필터들에 비하여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bon 탐식효율을 조사한 결과 B, D 및 E 분획에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

  • PDF

Seismic Properties Study of Gas Hydrate in Deep Sea using Numerical Modeling Technique (수치 모델링 기술을 이용한 심해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탄성파 특성 연구)

  • Shin, Sung-Ryul;Yeo, Eun-Min;Kim, Chan-Su;Park, Keun-Pil;Lee, Ho-Young;Kim, Young-J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9 no.2
    • /
    • pp.139-147
    • /
    • 2006
  • We had conducted a numerical modeling to investigate seismic properties of gas hydrate with field parameters acquired over the East sea in 1998. We used a 2-D staggered grid finite difference method to generate synthetic elastic seismograms for multi-channel seismic survey, OBC (Ocean Bottom Cable) survey and VCS (Vertical Cable Seismic)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thod using staggered grid yielded stable results and could be used to seismic imaging. We could find out the high amplitude anomaly and the phase reversal phenomenon of reflection wave at interface between the gas hydrate layer and free gas layer such a BSR (Bottom Simulating Reflector) which is the evidence for existence of gas hydrate in seismic reflection data. And we computed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t the incident angles corresponding to offset distance with the synthetic seismograms.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cquired from the numerical modeling were nearly consistent with the reflection coefficient computed by Shuey's equation.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ERT Data from the Mineralized Zone in Geumpung Mine (금풍광산 광화대에 대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탐사 자료의 복합해석)

  • Jung, Yeon-Ho;Byun, Joong-M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4
    • /
    • pp.322-331
    • /
    • 2007
  • In this study,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ERT) were conducted to find the mineralized zone at the Geumpung mine in Dojeon-ri, Susan-myeon, Jecheon-si, Chungcheongbuk-do. The deviation of the inclined borehole was measured to obtain the exact positions of the electrodes for correcting apparent resistivity values from ERT. Geophysical loggings such as resistivity and natural gamma were conducted to obtai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near the borehole. Measurements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res, such as porosity, water content, density, susceptibility, resistivity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properties and resistivity. Grade analysis for core sample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grade and resistivity. Rock property analysis shows that the resistivity is more dominated by susceptibility and grade than by porosity and water content in the mineralized zone. The results of ERT are well consistent with geophysical logging data and geologic column. So ERT is powerful method to identify conductive mineralized zone.

Geological structure and groundwater resources of Cheju and Oahu Island (제주도와 OAHU도의 지질구조 및 수자원의 특성)

  • 최순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 no.1
    • /
    • pp.70-91
    • /
    • 1992
  • Cheju and Oahu island are similar in geology, characterized by same types of volcanic activities during the late Tertiary to the early Quaternary. The occurrence of groundwater in both islands depend on two basic elements, permeability of volcanic rocks and precipitation. However, groundwater occurrence in Oahu is much more controlled by dike complex in the regional volcanic rock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groundwater in both islands. One is perched groundwater standing at any high altitude, and the other is basal groundwater developed near the coastal area. The groundwater quality of Cheju island is good in general for drinking. But many wells near the eastern coastal area are salt intruded due to over pumping activities and the area of salt water intrusion has increased landward from the year of 1970. This feature of salt water contamination is similar at Pearl Harbour in Oahu island. In order to prevent this salt water contamination into fresh groundwater reservoir on Cheju island, it is urgently asked to make groundwater flow study along the coastal area on terms of groundwater potentials and their maximum ultimate exploration.

  • PDF

Application of Enhanced Geothermal Systems for Jeju geothermal power plant (EGS 지열발전시스템을 적용한 제주 지열발전소)

  • Lee, Sang-D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73-573
    • /
    • 2009
  • 지열에너지는 지구가 생성될 당시부터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무한한 열에너지로 온실가스 배출이 적으며 태양광이나 풍력 등 다른 신재생 에너지와는 달리 일정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항상성 에너지로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다. 지열을 이용한 전력 생산은 1904년에 이탈리아 라데렐로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화산지대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01년에서 2005년 사이에 전세계 지열발전용량은 약 13% 증가하였으며, 2005년을 기준으로 약 8,933MWe의 지열발전설비가 가동 중이다. 최근 들어 지하 심부까지 시추하여 지열저장소(geothermal reservoir)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지열에너지를 생산하는 새로운 시스템인 EGS(Enhanced Geothermal Systems)가 개발됨에 따라 비화산지대에서도 지열발전소를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EGS는 지하 심부의 불투수성 결정질 암반에 존재하는 지열에너지의 경제적인 생산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여 생산시키는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지열에너지 획득의 매개 역할을 하는 지열수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였다. 결정질 암반에서의 지열저장소의 형성은 암반 내에 분포하는 불연속면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를 위한 압력 조건은 현지 암반의 응력 분포 특성과 암반 및 불연속면의 물성에 좌우된다. 시추공을 통해 지하 심부의 암반에 수압이 가해지면 물의 주입으로 불연속면의 마찰력이 감소하며, 이로 인해 불연속면에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전단변형은 불연속면을 열린 상태로 유지시켜 지열저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불연속면의 전단 변형시 발생하는 미소 탄성파는 시추공 주변에 설치한 모니터링 장비에서 측정되며, 모니터링 장비에 의해 측정된 미소 탄성파 발생 지점의 클러스터는 지열저장소의 공간적 분포 및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현재 EGS를 이용한 지열발전 프로젝트는 프랑스 슐츠, 스위스 바젤, 호주 하바네로에서 대표적으로 진행 중이다. 슐츠는 현재 1.5MWe의 파일럿 플랜트를 가동 중이며, 하바네로는 파일럿 플랜트 건설 단계를 진행중이다. 스위스 바젤은 지열저장소를 형성시킬 목적으로 수행된 주입시험에서 발생된 문제에 대한 기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잠시 중단된 상태다. 제주도는 신생대에 분출하여 형성된 대표적인 한국의 화산지형으로 지열부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따라서 폐사는 지열에너지 부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심부 물리 탐사 및 탐사정 시추가 실시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 국내 최초의 상용화된 지열발전소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