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족수분량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stage of mega drought spread (메가가뭄 확산단계별 평가지표 개발)

  • Lee, Sangmin;Shin, Yonghyeo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3-353
    • /
    • 2021
  • 메가가뭄으로 인한 적응전략 수립은 국민의 물 안보 및 수자원 재해에 대한 안전 증대에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임에도 불구하고 메가가뭄의 정량적인 평가지표는 개발 중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메가가뭄 분석 및 영향평가 관련 선행연구사례를 분석하여 메가가뭄 확산 단계별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메가가뭄을 평가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이상 강수량과 이상기온을 함께 고려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 이상 강수량은 기상학적 가뭄과 토양수분의 저하,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영향에 이르기까지 가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할 수 있으며, 이상 기온은 폭염 등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로 토양수분 저하와 저수량 감소 등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확산을 4단계로 구분하고 확산단계별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가뭄유형을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메가가뭄의 발생 단계와 그에 따른 가뭄의 확산 분야별 영향 분석을 수행하도록 제시하였다. 가뭄단계는 메가가뭄의 징후기, 진입기, 확산기, 지속적인 메가가뭄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 4단계로 구분하였다. 메가가뭄은 1년 주기의 분석이 아닌 Carry over되는 연속적인 사상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단계를 각각 2년, 3년, 4년 연속적으로 지속하였을 때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기상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가뭄, 이상기온(폭염)으로 인한 폭염으로 구분하였다. 농업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농업용 저수지와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수분에 관련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문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다목적댐의 저수율과 하천 갈수량을 이용한 하천건천화 지수를 이용한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사회경제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지표로써 농작물 가격과 생·공용수의 제한급수 발생 현황을 이용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SWAT Simulation for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설마천유역 혼효림에서 실측된 증발산과 토양수분을 이용한 SWAT모형의 적용성 평가)

  • Joh, Hyung-Kyung;Lee, Ji-Wan;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4
    • /
    • pp.289-297
    • /
    • 2010
  • Common practice of Soil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validation is to use a single variable (i.e., streamlfow) to calibrate SWAT model due to the paucity of actual hydrological measurement data in Korea. This approach, however, often causes errors in the simulated results because of numerous sources of uncertainty and complexity of SWAT model. We employed multi-variables (i.e., streamflow,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which were measured at mixed forest in Seolmacheon catchment ($8.54\;km^2$),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and reduce the uncertainties of SWAT model output. Meteorological and surface topographical data of the catchment were obtained as basic input variables and SWAT model was calibrated using daily data of streamflow (Jan. - Dec.), evapotranspiration (Sep. - Dec.), and soil moisture (Jun. - Dec.) collected in 2007. The model performance was assess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e observation (i.e., streamflow of 2003 to 2008 and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2008). When the multi-variable measurements were used to calibrate the SWAT model, the model results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compared to those using a single variable measurement by showing increases i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from 0.72 to 0.76 for streamflow, from 0.49 to 0.59 for soil moisture, and from 0.52 to 0.59 for evapotranspir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reliable and accurate collective observation data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SWAT model and promote its facilitation for estimating more realistic hydrological cycles at catchment scale.

A study on potential water condition of Honam region according to water budget analysis (수분수지 분석을 통한 호남지역의 잠재적 물 사정 고찰)

  • Park, Eui-Joon;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7 no.3
    • /
    • pp.44-5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water condition of Honam region according to water budget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eight regions (Suncheon, Gwangju, Jhangheung, Damyang, Mokpo, Yosu, Huksando, Namwon) are selected as study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water surplus indicating the potential water condition is ordered as Yosu, Sunchon, Changhung, Namwon, Damyang, Huksando, Kwangju, Mokpo. So the potential water condition of Kwangju and Mokpo is worst among study regions. (2) The high water surplus region is corresponded to high precipitation and low actual evapotranspiration legions. (3) The potential water condition is to agree with several facts about the water resource condition of Honam region. For example, large scale dam of Honam region has been constructed for Kwangju and Mokpo city.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potential water condition calculated by water budget analysis is corresponded to actual water resource condition. (4) Consequently, the water budget analysis is effective method for investigating the actual water condition and establishing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specific regions.

  • PDF

The properties of algal degradation and gas emission by thermophilic oxic process (고온호기발효장치를 이용한 조류 분해 및 가스 발생특성)

  • Kang, Changm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7 no.2
    • /
    • pp.57-6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ffective conditions for controlling $CH_4$, $N_2O$ emission from organic Waste /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Continuous and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reat the micro algae from polluted and eutrophicated lakes through the thermophilic oxic process. The microalgae used were mainly Microcystis sp.(collected from eutrophic lake) and Chlorella sp. (cultured in laboratory) Wasted cooking oil was added by aid-heating source.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ludges and microalgae were analyzed. In batch experiments, air supply was changed from 50ml/min to 150ml/min. The temperature. water content and drained water were affected by the air flow rate at initial stage. However, there was almost no influence of air flow rate on them in middle and last stages. At air flow rate of 100ml/min, the degradation rate of organic material was higher than that at other air flow rates. $CO_2$ concentration in exhaust was proportional to the strength of aeration, especially at initial stage when degradation was active. $CH_4$ with low concentration was detected only at starting stage when air diffusion was not enough. $N_2O$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variation of air supply. In continuous experiments no matter what the dewatering methods (with PAC and without PAC) and media (wood chip and reed chip) were changed, $N_2O$ was almost not affected by variation of injected air. Result showed that the reed chips using for lake purification could be used as media for thermophilic oxic process in lake and marshes area. $CO_2$ concentration was not so much affected by the change of dewatering methods and media types. $CH_4$ was not detected in the experimental period. So it can be shown that the thermophilic oxic process had been well operated in wide handling conditions regardless of media and dewatering methods.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dduk With Respect to Added Whole Soybean Curd (Chun-Tofu) by Different Storage Time (전두부를 첨가하여 제조한 떡볶이용 떡의 저장시간에 따른 품질특성)

  • Lee, Joon-Kyoung;Jeong, Jie-Hye;Lim, Jae-Ka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8 no.2
    • /
    • pp.111-1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added whole soybean curd (Chun-Tofu). Whole soybean curd was added in amounts of 0, 3, 6 and 9%. Whole soybean curd Topokki dduk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The moisture conten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he L value and b values of Garaedduk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exture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measured with a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hard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different amounts of whole soybean curd, and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cohesive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ith increase of storage time. As for sensory characteristics, samples with 9% added whole soybean curd rated higher in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with other samples. In regard to cooking properties, water absorption increased and solid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whole soybean curd. Therefore, Garaedduk containing 9% whole soybean curd was most preferable.

Temporal Analysis of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Surface Area using Remote Sensing and CNN (위성영상 및 CNN을 활용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 시계열 분석)

  • Yang, Mi-Hye;Nam, Won-Ho;Lee, Hee-Jin;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8-118
    • /
    • 2021
  •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적으로 폭염의 빈도 및 강도 상승에 따른 가뭄 피해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농업 가뭄은 강수량 부족, 토양 수분 부족, 저수량 부족 등 농업분야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관련되어 있어 농작물 생육 및 수확량 감소를 야기한다. 우리나라는 논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 농업 가뭄은 주수원공인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으로 판단 가능하다. 따라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수리시설물의 모니터링, 공급량 등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농업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저수용량 파악이 필요하다. 수자원 분야에서 지점자료의 시·공간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 및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탐지 및 시계열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위성영상 자료는 5일 주기 및 10 m 공간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딥러닝에 적용하기 위하여 100장 이상의 영상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딥러닝 기반 알고리즘으로는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활용하였으며, CNN은 주로 이미지 분류나 객체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로 최근 픽셀 단위로 분류가 가능한 알고리즘이 개발되어 높은 정확도의 수표면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NN 기반 수표면 탐지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Sentinel-2 영상 기준 경기도 안성시를 대상으로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수표면적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utomation Survey Device of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수면증발량 자동관측)

  • Lee, Hyun Seok;Kim, Yong Kuk;Cho, Hyoung Jin;Chae, Won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41-541
    • /
    • 2015
  • 댐 물수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는 강수량, 유입 방류량, 토양수분량, 증발산량 등이 있다. 현재 육지에서의 증발산량은 대부분 에디공분산시스템에 의해 관측되고 있으며, 많은 전문가들이 양질의 자료를 산출하고 있다. 하지만 수면에서의 증발량관측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기후특성상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됨에 따라 효율적인 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댐관리의 주요 인자인 수면증발량은 현재 용담댐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용담댐의 수면증발량 관측은 2013년부터 수행되고 있고, 수면위에 플랫폼을 설치하고 팬 내부에 수심이 1 m인 대형증발팬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관측된 수위자료는 호내 수온을 고려하여 수면증발량으로 환산된다. 관측항목으로는 팬 내 외부 및 저수지 표층 수온, 팬 내부 정밀 수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상요소들이 있다. 2013년에 생산한 수면증발량은 풍향풍속, 수온, 상대습도, 복사량, 강수량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Penman(1984)공식을 활용하여 실측 수면증발량과 추정 수면증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용담호에서 자동 관측되고 있는 수위변동 자료를 활용해 수면에서의 증발량을 분석하였다.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관측기간 중 최대 일증발량은 9.7 mm/day, 월 최대 일평균증발량은 3.5 mm/month(10월)로 나타났다. 수면에서 가장 많은 증발량이 나타난 시기는 10월 (증발량 : 107.6 mm, 강수량 : 122.9 mm)로 강수량의 약 88 %가 증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9월과 5월 순이었다. 증발량이 가장 많다고 예상되었던 7월과 8월의 경우는 각각 18일과 21일간 강수가 발생하였으므로 대기 중의 높은 습도로 인해 증발량이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수면에서의 증발량이 기상환경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점에서의 수면증발 관측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 성분석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Vernalization, Temperature, and Soil Drying Periods on the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춘화, 온도와 토양건조 기간에 따른 배추의 생장 및 수량)

  • Lee, Sang Gyu;Lee, Hee Ju;Kim, Sung Kyeom;Choi, Chang Sun;Park, Sung Tae;Jang, Yoon Ah;Do, Kyung Ra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6
    • /
    • pp.820-828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rnalization, temperature, and soil water deficit (SD) on mesophyll cells,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The palisade parenchyma and spongy tissues of Chinese cabbage were observed under full irrigation and two weeks of SD treatment. These cells were severely collapsed by four weeks SD treatment. The SD treatmen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mong the tested treatment factors (vernalization, temperature, and SD), growth significantly decreased by severe drought treatment (four weeks SD treatment). In addition, the relative growth rate, unit leaf rate, leaf area ratio, specific leaf area, and leaf weight ratio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D treatment; however, other individual factors and their combined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the analyzed growth parameters. The yield under vernalization after high temperature and full irrigation treatments was 3,056 kg/10 a, which was the greatest among all the tested treatments, while four-week SD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yield. Head formation of Chinese cabbage was not altered under SD treatment, and vernalization treatments did not induce bolting. Our results indicated that collapsing mesophyll cells and reduced growth and yield were induced by SD treatment. Thus we suggest that optimal irrigation system should be install to avoid or overcome crippling drought conditions in the open field.

Oxalate와 Enrofloxacin 투여가 rat신장에 미치는 영향 : 병리조직학적 관찰

  • Oh, Won-Seok;Jeong, Won-Il;Chung, Jae-Yong;Noh, Dong-Hyung;Lee, Mi-Na;Kwon, Yong-Jae;Jeong, Kyu-Shik;Lee, Cha-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48-148
    • /
    • 2002
  • 수분부족 및 hyperoxaluria가 유도된 랫드에서 enrofloxacin 투여로 인한 신장손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랫드는 모두 4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에 공하였다. 실험은 72시간 탈수를 유발시킨 랫드 (Group 1), 3% sodium oxalate를 음수로 7 일간 급여해서 hyperoxaluria 상태를 유발시킨 랫드 (Group 2, 3) 그리고 sodium oxalate 30mg/Kg을 1회 복강내 투여로 급성 hyperoxaluria 상태를 유발시킨 랫드(Group 4)에 각각 enrofloxacin을 용량별 (0mg/Kg, 50mg/Kg, 500mg/Kg)로 1일 혹은 7일 동안 투여한 후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추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분부족이나 hyperoxaluria 가 유도된 상태의 전 그룹에서 enrofloxacin 투여용량이 증가할수록 식욕감소, 음수량 감소, 행동둔화 등의 임상증상과 사구체의 손상, 신장피질내 충혈, 세뇨관의 변성, 공포화, 괴사 등의 변화가 현저히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Group 2, 3, 4 실험군의 소변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뇨침사를 현미경으로 검사한 결과 모든 군에서 calcium oxalate crystal이 검출되었고 일부는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crystal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탈수상태나 혈중 oxalate함량이 높은 랫드에서 enrofloxacin의 투여는 신장에 손상을 주어 결석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개체에서 enrofloxacin의 사용상 주의가 요구된다.

  • PDF

A Method for Optimal Operation of Irrigation Supply using Multi Water Resources (다중수원을 활용한 관수공급 최적 운영에 관한 방법)

  • Gwon, Yong Hy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5-225
    • /
    • 2017
  • 농촌지역 관수공급의 대부분은 지하수, 하천, 저수지 등 주변의 다중수원을 활용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가뭄 발생시 농업용수의 부족현상을 일으키며,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원인이 된다. 밭작물의 경우, 재배작물별로 적절한 재배환경조성은 작물의 생산성에 매우 큰 영향을 주므로 생육에 필요한 알맞은 토양수분을 유지를 위해 적절한 관수공급이 중요하다. 이러한 농촌지역의 물부족 현상을 대비하여 효율적인 관수공급으로 인한 물관리와 대체 수자원의 확보 및 활용방안이 요구되며, 대체 수자원을 저류하여 관수공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특히, 빗물을 집수하여 재사용 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수자원을 재활용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므로 이러한 빗물을 저류조에 집수하여 효과적으로 재사용 하여 관수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서 작물재배를 하기 위해 관수공급시 관정의 수량이 충분한 평상시는 관정펌프로부터 물을 길러 관수를 하도록 하였고, 관정의 수량이 부족한 비상시(가뭄)와 강우 예측시에는 저류조로부터 관수를 하도록 가뭄시나리오와 강우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효율적인 관수공급 운영을 위해 기상청의 7일 기상예보 자료를 획득하고 강우분석을 통해 저류량 예측을 하고 작물별 일관수공급량을 계산하여 물부족이 일어나지 않도록 최적의 운영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수원으로부터 확보된 수원을 저류조에 저장하여 가뭄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농업용수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서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