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정보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3초

구매접점에서 제공되는 부정적 정보가 소매점 매출 및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n Store's Sales and Credibility of The Negative Information Offered at Point of Purchase)

  • 전인수;김경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권4호
    • /
    • pp.54-67
    • /
    • 2000
  • 일반적으로 거래를 할 때 판매자는 자신에 유리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려 한다. 하지만 자신에게 불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과연 어떤 효과가 있는지 궁금하다. 제공물에 관한 부정적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히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구매접점에서 제공되는 것을 연구과제로 정하였다. 또한 구매자가 제품의 품질을 알기 어려운 경우에 부정적 정보 제공의 효과가 선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아 , 경험품질속성이 강한 사과를 대상으로 세 가설을 현장실험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제공물의 중요한 속성에 관한 부정적 정보의 제공이 해당제품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사과 순매출감소율이 27.6 %나 되었다. 또한 대체 제공물에 대한 유혹효과는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나 수치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험에서 딸기 순매출증가율이 5.2%이었다. 하지만 사과에 대해 잘 아는 소비자들의 점포에 대한 신뢰도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인과스키마타에 어긋나는 정직한 정보의 제공으로 얻는 것이 별로 없으며, 약하지만 대체 제공물에서도 유혹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판매자 입장에서 대체제품이 있는 경우, 특정제품에 대해 부정적 정보를 제공하는 의미는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강화학습을 이용한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 (Negative Relative Feedback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손기준;이재안;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C)
    • /
    • pp.351-355
    • /
    • 2007
  • 문서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요구를 기준으로 문서들을 선별하여 제시한다. 사용자의 정보요구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로 구성된 프로파일로 표현이 되며, 문서의 여과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연관성 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으로 변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연관성 평가에 참여하여 평가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학습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연관성 피드백 뿐만 아니라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을 함께 이용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과, 대표적인 연관성 피드백 방법인 Rocchio 방법과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네 가지 토픽에 대하여 여과를 수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부정적 연관성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였을 경우 Rocchio 방법 보다는 6% 더 성능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결과 부정적 평가를 받은 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는 문서를 제거함으로써 여과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 PDF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 구전 파급력에 관한 연구: 공급사슬 리스크 관점에서 (A Study on Negative Word-of-mouth Virality of Social Media Using Big Data Analysis: From the Supply Chain Risk's Perspective)

  • 정의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63-176
    • /
    • 2022
  • 비즈니스 생태계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공급사슬 내에서 야기는 되는 리스크의 종류도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 지고 있다. 특히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기존 기업이 직면하던 전통적인 공급사슬 리스크 요인 이외에 새로운 리스크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표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부정적 구전을 예를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유튜브(YouTube) 통해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부정적 구전의 파급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정적 구전의 제작자의 사회적 자본이 부정적 구전의 파급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동영상의 부정적 감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구전 생성자의 사회적 자본은 부정적 구전의 규모와 속도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동영상의 부정적 감정 단어는 동영상 제작자의 사회적 자본과 부정적 구전의 규모에 있어 조절효과를 보였다.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내 부정적 감정들이 기업 혁신을 위한 고객 기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gative Emotions on Customer Contribution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an Online Brand Community)

  • 정수연;이한준;서용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91-100
    • /
    • 2013
  • 최근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기업 혁신에 도움이 될 고객의 의견을 수집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게시되는 다양한 의견들 중 부정적 감정을 담고 있는 고객의견이 기업 혁신에 기여하는데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정적 감정을 Fear, Anger, Shame, Sadness, Frustration의 총 다섯 가지 세분화된 감정으로 분류하고 WordNet과 SentiWordNet을 기반으로 부정적 감정에 대한 감정 어휘군을 구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타벅스의 브랜드 커뮤니티인 MyStarbucksIdea.com에서 81,534건의 고객의견을 수집하였으며 부정적 감정 어휘군을 활용하여 각 고객의견 내 부정적 감정 정보를 추출하였다. 부정적 감정의 유무, 빈도, 강도의 세 가지 측면에 따른 기업 혁신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감정이 담긴 고객의견이 기업 혁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 중, Frustration과 Sadness의 감정이 기업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트위터를 통한 제조 기업의 부정적 구전 확산: 공급사슬 리스크 관점에서 (Spread of Negative Word-of-mouth of Manufacturing Companies Via Twitter: From the Supply Chain Risk's Perspective)

  • 정의범;유한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79-94
    • /
    • 2021
  • 소셜 미디어상의 부정적 구전에 대한 기업의 공급사슬 리스크의 중요성과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의 부정적 구전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유통되는지, 부정적 구전의 유통과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체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사회적 교환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트위터를 이용해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TSA)에서 4개 자동차 기업의 자동차 리콜 정보를 수집하였다. 최초 트위터(Seed tweet)를 바탕으로 부정적 구전의 유통과 확산을 살펴보기 위한 RT(Re-tweet) 네트워크를 구조를 분석하여 부정적 구전 네트워크의 특징을 파악하고, 초기 유포자의 특성이 부정적 구전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구전은 다수 이용자와 연결된 허브 이용자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스몰월드 네트워크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초기 유포자의 영향력이 크고 상호호혜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구전 확산의 속도와 규모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진료환경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감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Treatment Setting of the Medical Services on the Pati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 김찬중;이종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235-251
    • /
    • 2016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의 진료환경이 환자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감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국내 C 지역의 병의원 환자 중 진료를 마친 32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료환경의 청결성은 행동적 참여에,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감정적 참여에, 진료환경의 제3자의 존재는 감정과 정보적 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환자의 부정적 감정은 감정적 참여와 정보적 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진료환경의 시간압박은 환자의 정보적 참여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절효과로는 진료환경의 청결성과 감정적 참여 간에 부정적 감정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의 진료환경과 부정적 감정을 고려하여 환자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등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보안 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걱정 완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itigation of Anxiety that Negatively Affect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 황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3-165
    • /
    • 2021
  • 연구 목적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을 찾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연구는 준수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걱정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행 요인을 찾고, 걱정과 준수의도간의 부정적 관계를 피드백이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설문 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조직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델링을 기반으로 주효과 분석과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 결과, 걱정은 준수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경영진의 지원을 통해 높아진 조직문화가 걱정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드백이 걱정과 준수의도간의 부정적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정보보안 기술 도입을 통해 발생한 걱정의 부정적 영향을 찾았고, 걱정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연구는 조직 내부의 정보보안 수준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전략 방향을 제시한다.

정보 검색 비용이 판매자의 부정적 정보 공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Information Search Cost on Seller's Disclosure of Negative Information)

  • 허승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30-241
    • /
    • 2021
  • 본 논문은 부정적 정보의 공개가 어떻게 단기간에 판매자의 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시장의 정보 불균형에 대한 중요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관련 연구 결과에 더하여 정보 검색 비용이 부정적 정보 공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러한 해석에 대하여 가상의 시장 거래를 통한 실험적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구매 위험도가 부정적 정보 검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정보 검색 비용의 효과는 크지 않음을 나타내며, 특히 실험의 결과는 저품질의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어떻게 정보 공개를 통해 자신의 수익성 뿐 아니라 시장과 경쟁 제품의 수요를 증대시켜서 소비자 효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formation Security-Related Role Stress and Negative Behaviors

  • Hwang, Inho;Ahn, Sa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87-98
    • /
    • 2019
  • 최근 많은 조직들은 정보보안 기술에 투자를 통해, 그들의 정보자원 관리 및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내부자에 의한 정보보안 위협 요인은 줄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내부자들의 정보보안 부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다. 세부적으로, 연구는 정보보안 관련 업무스트레스와 부정적 행동간의 관계를 찾고, 조직공정성이 업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을 제시한다. 즉, 연구 목적은 조직공정성, 정보보안관련 업무스트레스, 부정적 행동간의 연계 매커니즘을 제시하는 것이다. 매커니즘 요인 구성은 정보보안 및 인사조직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되었다. 부정적행동은 회피행동과 이탈행동으로 구성하였으며, 보안관련 업무스트레스는 업무갈등과 업무스트레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그리고 정보 공정성으로 구성된다. 연구 모델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립한 이후, 본 연구는 설문항목을 개발하고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기업에 다니는 조직원 383명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는 정보보안 관련 업무스트레스가 조직원들의 부정적 행동을 높이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조직공정성이 조직원에게 발생하는 업무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내부자의 정보보안관련 부정적 행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직적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한다.

정보보안 관련 스트레스와 개인조직 적합성이 정보보안 지식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Related Stress and Person-Organization Fit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 황인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7-258
    • /
    • 2021
  • 최근 조직들은 조직원에게 엄격한 정보보안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 엄격한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은 정보보안 관련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연구 목적은 지식공유행동 및 개인조직 적합성을 감소시키는 정보보안 기술 및 업무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조직에서 근무하는 조직원이며, 연구가설은 309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으로 검증한다. 연구 결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지식공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업무스트레스가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기술스트레스가 개인조직 적합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으로, 업무모호성이 개인조직 적합성과 지식공유행동사이에 조절효과를 가졌다. 연구 시사점은 조직원의 정보보안 기술 및 업무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내부자의 부정적 행동 최소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