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정보

검색결과 1,274건 처리시간 0.033초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신종 감염병이 치과위생사 이미지와 취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정보 중심으로 (The Effect of New Infectious Disea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on Dental Hygienist Image and Employment Recognition: Focused on Online Information)

  • 손은교;정화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31-239
    • /
    • 2021
  •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학생들의 치과 위생사에 대한 이미지와 취업 인식을 파악하고 온라인 정보에 대한 인식을 접목해 차후 치과위생사 보건인력 확보에 필요한 정보를 마련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는 SPSS Statistics 24.0 와 AMOS Graphics 2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취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신종 감염병이 발생해도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보고, 치과위생사의 부정적 이미지를 통해 부정적 취업 인식을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정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인터넷 정보가 거짓 정보가 많고, 유해하며, 불안을 조장한다고 생각하고, 그 영향은 취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정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치과위생사가 감염에 노출되기 쉽고, 감염원을 전달 할 수 있으며, 쉽게 감염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는 부정적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종 감염병 시기에는 올바른 인터넷 정보의 인식을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형성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초년생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The Explor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Young Working Adults)

  • 홍민기;변현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43-750
    • /
    • 2023
  •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원 및 공감을 선정하였고,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직무권태와 직무 스트레스를 선별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여러 연구에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다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 영향력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 부정적 요인들(직무 스트레스, 직무권태)이 긍정적 요인들(공감, 사회적 지원)보다 직무소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사회초년생들에게 관심과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 혼란이 분노를 통해 구전, 신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 인내력 부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Effect of Consumer Confusion on Word of Mouth and Trust Through Anger: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um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 문선정;강보현;이수형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13-141
    • /
    • 2011
  •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기업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구매에 관련된 정보처리절차과정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소비자들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 혼란으로 인해 야기되는 부정적 감정에 초점을 둔다. 소비자 혼란을 세 가지 하위 차원으로 분류하여 각 요소들이 구전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감정(분노)의 매개효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 혼란과 부정적 감정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가지의 소비자 특성, 부정적 감정 성향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대구에 거주하고 있는 25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은 LISREL 8.70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혼란의 모든 차원은 분노에 양(+)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분노는 구전에 양(+)의 영향을 주는 반면 신뢰에는 음(-)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정적 감정 성향은 과잉혼란, 모호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과잉혼란과 분노 간의 관계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고, 조절변수 효과를 통해 부정적 감정에 대한 시각을 넓혔다. 또한 마케터에게는 소비자 혼란의 심각성과 그에 관련된 부정적 감정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특허 출원인 간 상호협력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atent applicants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ICT)

  • 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83-93
    • /
    • 2016
  •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정보통신 분야의 특허출원인 간 네트워크 특성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 데이터를 토대로 정부 공공기관, 대학교, 대기업, 중소기업 등 각 혁신 주체의 네트워크 특성 요인과 특허피인용 횟수 간 관계를 소셜네트워크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과 부정적 이항분포 모델(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보통신분야 혁신 네트워크는 밀도 0.009의 좁은세상 네트워크 유형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은 특허피인용수로 대표되는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에 반해, 구조적공백 지수 중 효율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제약성은 유의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본 네트워크의 혁신 주체 간 연결이 매우 가까워 정보 지식의 확산이 빠르다는 것이고, 이에 반해 정보 지식의 원천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혁신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 결과를 토대로 각 혁신 주체의 효율성 및 다양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e-Team-경영혁신단 혁신기획팀

  •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정보보호뉴스
    • /
    • 통권129호
    • /
    • pp.22-23
    • /
    • 2008
  • IMF 시기를 지나오면서 우리 사회에서 혁신, 개혁이라는 단어가 일상용어로 자리잡았다. 때로는 성과 지상주의나 업무의 수치화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기는 하지만, 성과 중심,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기업이나 조직이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됐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시쳇말로 평생직장이라고 불리는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도 이런 사회적 변화에 무풍지대일 수 없고, KISA 역시 예외가 아니다. 그래서 찾았다. KISA를 이노베이션(Innovation)하는 팀. 혁신기획팀이 그들이다.

  • PDF

유발된 정서가 대학생의 부정적 어휘정보 처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iming Emotion among College Students at the Processes of Words Negativity Information)

  • 김충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4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및 불안 집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정적 어휘를 포함하는 서술어의 의미추론 과정에서 정서유형 및 부정어휘 출현의 정도가 과제처리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서 3유형, 자극 2유형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 3유형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벡(Beck) 불안척도로 구분된 불안수준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혼합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하여 피험자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서유형과 자극의 종류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에 대한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안수준 x 부정어 횟수에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긍정적 정서에 비해 부정적 정서에서, 비언어 자극보다는 언어 자극 환경에서 과제처리에 더 효율적이었지만, 부정어휘 변인에서는 그 횟수의 증가가 정상집단의 신속한 반응과 불안집단의 지연된 반응으로 분기되면서 부정어휘처리 반응시간의 지체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 정서유형 및 자극의 종류와 상관없이 불안수준은 과제처리 속도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사회복지시설 클라이언트의 폭력에 대한 종사자의 반응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시설의 대응체계와 인구통계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lient Violence on the Burnout of Social Workers Working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onfrontation system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

  • 정은미;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3-183
    • /
    • 2011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에서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시설종사자의 부정적 반응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이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매우 미흡하였던 인구통계적 변수와 시설 대응체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소진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표본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소진을 줄이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부정적 반응을 줄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클라이언트 폭력에 따른 종사자의 부정적 반응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인구통계적 특성과 시설의 대응체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웹사이트 가시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sis of Website Visibiliy for Search Engine Optimization)

  • 윤선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47-152
    • /
    • 2010
  • 인터넷이 주요 마케팅과 영업의 통로로 사용됨에 따라 검색 엔진 결과의 상위 순위가 웹 사이트들 사이의 핵심경쟁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검색엔진에서 웹사이트의 상위 순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유기적인 코딩이나 검색엔진 최적화에 많은 비용을 투자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웹사이트 가시성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검색엔진색인에서 순위가 뒤떨어지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 최적화(Serch Engine Optimization : SEO)를 위해 웹사이트 가시성을 고려하여 웹페이지를 설계할 때 부정적 요소로써 제거되어져야 할 요인들을 인식하여 순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웹사이트 가시성의 부정적 요인을 인식하고 순위를 결정한 실험은 기존의 웹사이트 가시성 분석 모델을 기반으로 이론과 실험을 통해 제공되어졌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모델들은 각 모델의 방법론을 기반으로 점수로 표현되거나 계량화되었으며 실험을 통해 부정적 요인으로 10개의 항목이 선정되어 높은 점수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설계할 때 부정적인 요인들인 높은 순위의 항목들을 배제하여 설계함에 따라 웹사이트가 검색엔진 색인 대상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고려되어져야 한다.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Career Indecision and Job Search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Senior Students)

  • 이현정;김기석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1호
    • /
    • pp.51-71
    • /
    • 2008
  • 대학생 졸업예정자들의 직업탐색행위는 취업의 주요한 예측치이면서 동시에 평생의 경력경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직업탐색행위에 대한 선행요인으로서 진로미결정과 개인적 특성요인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대학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성격적 특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효과, 다음으로 진로미결정이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성격적 특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 그리고 진로미결정과 직업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였다. 강원권 3개 대학 304명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로 성격적 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은 우유부단성과 부정적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고, 친화성은 우유부단성과 긍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외향성과 성실성은 직업정보부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친화성과 개방성은 직업정보부족과 유의적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진로미결정요인(우유부단성, 직업정보부족) 중 우유부단성은 예비적 탐색행동에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정보부족은 예비적 탐색행동과 적극적 탐색행동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외향성과 우유부단성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학생에 비하여 남학생의 경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정보부족과 예비적 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하여 직업정보부족이 예비적 탐색행동에 높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