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적 정보

검색결과 1,274건 처리시간 0.029초

전환장벽의 귀인이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ributions to Switching Barrier on Negative Emotions and Complain Behaviors)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223-237
    • /
    • 2017
  • 전환장벽은 고객의 이탈을 막는다는 점에서 주로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설정한 전환장벽이 장기적으로 해로울 수 있음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Jones et al. 2000; 정윤희, 2012). 전환장벽의 부정적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전환장벽이 소비자의 전환의 자유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심리반응을 이끌 수 있음은 보여주었으나, 당장 기업에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환장벽으로 인해 전환을 못하는 상황에 서비스 실패상황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전환장벽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전환을 어렵게 하는 전환장벽의 귀인(내적 혹은 외적)에 따라 후회와 원망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수용, 불평행동, 부정적 구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가설 검증한 결과, 내적귀인은 후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외적귀인은 원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회는 수용과 불평행동에 영향을 주고, 원망은 불평행동과 부정적 구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장벽이 고객들의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을 이끌어 기업에 즉각적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전환장벽에 대한 신중한 실무적 활용을 시사한다.

  • PDF

온라인에서의 레스토랑 구전정보 작성자와 구전평가 방향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 신뢰도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Restaurant Visit Intention and Information Credibility Based on e-WOM for Restaurants and Directions of Replies)

  • 송민경;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0-202
    • /
    • 2013
  • 인터넷이 발달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지출에 앞서 온라인 내 타인의 정보를 반영하고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 실험을 통해, 레스토랑 방문 계획을 가진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1) 정보의 작성자가 누구인지에 따라(일반 익명의 소비자 또는 전문가), 2) 정보의 방향성에 따라(긍정적인 것 또는 부정적인 것) 레스토랑 방문의도와 정보의 신뢰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부합되도록 4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SPSS WIN(v.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test등으로 분석하였다. 2(긍정적 정보vs. 부정적 정보)*2(소비자 작성 정보 vs. 전문가 작성 정보) 실험디자인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 작성자에 따른 레스토랑 방문의도(p<.001)와 정보의 신뢰정도(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각각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 정보를 읽은 실험참가자 사이에 레스토랑 방문의도(p<.001)와 정보의 신뢰도(p<.01)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밖의 연구 결과와 한계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 최윤희
    • 정보화사회
    • /
    • 통권44호
    • /
    • pp.29-33
    • /
    • 1991
  • 기술혁신이 새롭게 이루어졌을 때 일반적으로 그것의 기능.효과.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의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된다. 특히 뉴미디어에 의해 창출되는 미래 사회의 모습에 대해서는 그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 PDF

모바일 콘텐츠에서의 Alert피드백과 몰입의 상호관계 (Interrelation of Alert Feedback and Immersion on Mobile Contents)

  • 방그린;성보경;고일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1-68
    • /
    • 2014
  • 모바일 콘텐츠 사용에 있어서 Alert형태의 피드백은 사용자로부터 사용 중인 콘텐츠에서 간섭을 발생시킨 콘텐츠로 이탈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사용에 있어서 피드백과 몰입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긍정적, 부정적, 혼합형 등 3가지 유형의 피드백을 제시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제시되는 피드백 요소들이 콘텐츠 사용의 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실험을 통해 부정적 피드백이 긍정적 피드백보다 더 높은 간섭을 가져오고, 부정적 피드백과 긍정적 피드백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몰입을 가중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정적 리뷰의 대응 전략이 숙박시설 성공에 미치는 영향: 숙박 중개 플랫폼 사례 (The Impact of Managerial Response to Negative Customer Reviews on the Success of Accommodation Services: Evidence from Online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s)

  • 송민기;서희진;이건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1
    • /
    • 2022
  • 최근 모바일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의 증가와 함께 온라인 숙박 예약 시장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온라인 숙박 예약 플랫폼에서 부정적 리뷰의 대응 전략이 숙박 업체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국내 최대 숙박 예약 플랫폼에 등록된 856개의 모텔을 대상으로 호스트의 대응 전략의 숙박시설 성공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부정적 리뷰에 대한 호스트의 답변수가 많고(적극성), 답변 속도(적시성)가 빠를수록 성공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두 가지 대응 전략에는 정(+)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평판 하락에 따른 호스트의 대응 전략을 확인한 결과, 평판 하락 발생 시 부정적 리뷰에 대한 대응 적극성의 효과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숙박업체의 성공에 효과적인 호스트의 대응 전략을 규명하였으며, 평판 하락에 따른 호스트의 대응 전략의 효과성을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소셜 감성이 개별 기업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 분석 (Asymmetric Effect of Social Sentimental on an Individual Stock Price Return)

  • 김세완;박지원;김영민;함희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59-74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 감성(social sentimental)을 긍정 및 부정적 의견으로 구분하여 이들 의견이 개별 기업의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비대칭적인지(asymmetric)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거래소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트위터 의견도 충분한 기아차, 아모레퍼시픽, 포스코, 한국전력 등 4개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의견은 개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아모레퍼시픽의 주식수익률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나머지 3개 기업의 주식수익률에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정적 의견은 4기업의 주식수익률에 모두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정적 의견이 긍정적 의견보다 주식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손실회피 성향 등으로 수익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트위터의 긍정 또는 부정적 의견이 주식수익률에 비대칭적(asymmetric)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트위터의 의견을 투자자 심리(sentiment) 대용변수(proxy)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정적 후기가 음식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맛집 추천 앱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Effect of Negative Reviews on User Decision in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s)

  • 윤혜정;최지연;이중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18-426
    • /
    • 2015
  •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맛집 추천 앱을 통해 음식점을 선택하며, 이용자 후기를 중요한 의사결정 정보로 활용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앱 서비스 제공자와 광고주는 이용자 후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다양한 이용자 후기가 실제적으로 고객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부정적 이용 후기를 중심으로 음식점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맛, 서비스, 분위기의 부정적 이용 후기 속성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부정적 이용 후기의 속성에 따라 음식점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의사결정 유형에 따라 부정적 이용 후기의 영향이 다른 것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맛집 추천 앱 서비스 제공자와 광고주가 부정적 이용 후기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방안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정적 피드백과 강화학습을 이용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Learning for User Profile Based on Negative Feedback and Reinforcement Learning)

  • 손기준;임수연;이상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54-759
    • /
    • 2007
  • 정보추천은 동적인 사용자의 정보요구를 기준으로 문서들을 선별하여 제시한다. 사용자의 정보요구는 하나 이상의 단어들로 구성된 프로파일로 표현이 되며, 문서의 추천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사용자의 관련성 평가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으로 변할 수 있다. 기존 연구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관련성 평가에 참여하여 평가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학습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평가한 긍정적 피드백, 부정적 피드백 정보와 강화학습을 이용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과 기존의 긍정적 평가 정보만을 이용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토픽에 대한 추천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식에 의한 추천성능이 긍정적 평가 정보만을 이용한 피드백 방법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위험지각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온라인 구전정보의 시각적 단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Visual Cues in eWO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 안선영;홍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281-288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판매자에 대한 위험지각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구전정보의 시각적 단서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긍정 혹은 부정적으로 나뉜 구전정보에 따라 시각단서의 조절효과 방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하에 2(위험지각: 고 vs. 저) X 2(시각적 단서: 유 vs. 무)의 두 실험연구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결과(n=123), 긍정적 구전정보에서의 시각적 단서는 위험지각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두 번째 연구결과(n=122), 부정적 구전정보에서의 시각적 단서는 위험지각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해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구전정보의 시각적 단서가 소비자 의사결정에 설득력을 높여줌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판매자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지각이 높은 경우, 긍정적 부정적 구전정보의 시각단서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집단민원의 감성분석을 이용한 공간빅데이터 시각화 방안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Geospatial Big Data using Sentiment Analysis of Collective Civil Complaints)

  • 주용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20
    • /
    • 2023
  • 전통적으로 공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나 인터뷰 연구가 주를 이뤄 왔다. 민원의 단순 빈도를 떠나 민원에 내포된 감정의 경중까지 고려되지 않아 민원인이 체감하는 민원의 시급성, 고충의 심각 정도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헤도노미터 단어별 행복도 점수를 활용해 집단민원이 내포하는 부정적 감성수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민권익위원회의 2021년 지역별 상위 민원 토픽과 연관키워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헤도노미터를 적용하여 민원의 주제별 부정적 감성수치를 산출하고, 지역별로 분포를 가시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부정적 감성수치를 이용해 민원에 내포된 감정의 경중을 고려하여 민원인이 체감하는 민원의 시급성, 고충의 심각 정도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