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정근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3초

'자랑' 포도 생장점 배양으로부터 무병주 식물 대량번식에 미치는 배지 구성물질과 생장 조절제의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and Growth Regulators on Mass Propagation of Virus-Free Plant from the Meristem Cultures of 'Jarang' Grape)

  • 이재웅;이윤상;홍의연;이석호;김홍식;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3-309
    • /
    • 2013
  • 본 연구는 바이러스 무병묘의 대량 증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포도 '자랑' 품종의 신초와 뿌리의 형성 및 생장에 미치는 배지조성물질과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의 무기염 농도가 낮을수록 신초의 형성은 많아지는 경향으로, 특히 1/2MS배지에서 신초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부정근의 형성은 무기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양호하여 2MS배지에서 부정근의 수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Sucrose의 경우, 신초의 형성은 1%, 부정근의 형성은 3%, 생장은 1% 농도구에서 가장 좋았다. 활성탄의 0.05% 첨가에 의해 신초의 생장은 양호했으며, 특히,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에 효과적이었다. '자랑'의 대량 증식을 위한 배지의 pH는 6.8이 가장 적합하여 신초의 마디수와 길이가 각각 3.9개와 1.3 cm로 가장 좋았다. 기내 대량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으로 BA 1.0 mg/L에서 신초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NAA 1.0 mg/L에서 절편체당 16.9개의 신초가 형성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고추냉이 정단배양에 있어서 BA 농도 및 배양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효과 (Effect of BA Concentrations and Culture Methods on in Vitro Plant Multiplication from Shoot-Tip Culture of Wasabia japonica)

  • 박윤영;조문수;이영득;정종배;박신;정병룡;박상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07
  • 고추냉이 (Wasabia japonica) 종자로부터 기내 무균상태 하에서 발아된 유묘에서 절취한 shoot-tip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 MS 기본배지에 BA 농도 및 반고체배지, filter paper bridge, 액체진탕배양 등의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multi-shoot을 유도하였다. 1.0 mg/L BA가 들어있는 액체진탕배양에서 2주 동안 배양한 후 반고체배지에서 4주 동안 배양한 방법이 신초 수가 22.8개 그리고 신초의 길이가 3.5cm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한 개의 shoot-tip으로부터 약 $5{\sim}11$개의 분할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부정근을 유도하고자 여러 가지 농도의 IBA 및 NAA가 함유된 반고체배지에서 9주간 배양한 결과 배양 4주 이후부터 부정근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IBA (0.01 mg/L)가 NAA처리 보다는 부정근 형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위의 두 생장조절물질이 전혀 첨가되지 않은 배지가 90.0%의 부정근 형성율을 보이면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잎과 뿌리가 잘 발달된 재분화묘를 원예용상토 (bio-media Co., peatmoss $8{\sim}10%$, coir dust $66{\sim}70%$, zeolite $13{\sim}17%$, vermiculite $3{\sim}7%$, perlite $2{\sim}4%$)에 넣어 2주간 습도를 높게 유지시킨 후 육묘온실에서 순화시킨 결과 모든 개체가 정상적인 형태로 성장하였다.

Methyl jasmonate 처리에 의한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이차대사산물 및 항산화활성 증가 (Increasement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Panax ginseng Adventitious Root by Methyl Jasmonate)

  • 임순;배기화;신차균;김윤영;김윤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225-231
    • /
    • 2005
  • 인삼부정근 배양에서 MeJA 처리가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이차대사 산물의 증가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항산화활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MeJA를 인삼부정근에 처리한 결과, $100\;{\mu}M$ MeJA에서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의 생산은 26.6 mg/g dry wt로 대조구보다 약 8배 이상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MeJA의 처리는 부정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생산 역시 MeJA처리에 의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50\;{\mu}M$ MeJA에서 0.38 mg/g dry wt로 대조구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의 처리효과는 조건배지 (CM)를 이용하는 것이 신선배지 (FM)를 이용하는 것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성분이 결핍된 조건배지에서의 진세노사이드 생산은 신선배지에서 보다 약 1.7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놀화합물 역시 조건배지에서약 1.2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 처리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인삼부정근의 항상화활성을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 약 72%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이 노니 부정근에 함유된 rubiadin의 추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 on Extraction Efficiency of Rubiadin in Adventitious Roots of Noni (Morinda citrifolia))

  • 김명기;정철승;신용국;박경희;이운장;이은정;백기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85-690
    • /
    • 2010
  • 노니($Morinda$ $citrifolia$) 부정근의 주요 성분인 rubiadin은 간 보호 효과가 있어 제약산업에서 높은 가치가 있다. 노니 부정근의 주요 유효성분인 rubiadin의 효율적인 추출조건을 규명하고자 용매 종류, 물과 메탄올의 비율(물, 20%, 40%, 60%, 80%, 100%), 추출시간 및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였다. 노니 부정근에서의 rubiadin의 함량분석은 HPLC 이용 분석조건을 확립하였으며, C-18 컬럼을 사용하여 280nm에서 메탄올과 물로 농도구배를 주어 분석하였다. 용매별 추출효율은 메탄올(0.08%) > 에탄올(0.05%) > 아세토니트릴(0.03%) > 아세톤(0.02%) 및 메틸렌클로라이드(0.02%) 순으로 증가하였다. 메탄올에 물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초음파 추출기로 1시간 동안 추출한 결과 60% 메탄올(0.21%) > 80% 메탄올(0.13%) > 100% 메탄올(0.07%) 및 40% 메탄올(0.07%) 순으로 효과적이었으며, 환류냉각 추출기로 2시간 동안 추출한 결과 60% 메탄올(0.21%) > 40% 메탄올(0.17%) > 80% 메탄올(0.14%) 용매처리구 순으로 효율이 좋았다. 추출방법 및 추출시간에 따른 rubiadin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환류냉각추출 및 초음파추출, 진탕추출법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방법 및 추출시간에 따른 rubiadin의 추출효율은 초음파추출 및 진탕추출에서 각각 8 및 24시간 동안 추출했을 때 효율적이었다.

카사바의 미세증식에서 기내 발생 부정근의 절단이 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cising In Vitro-Formed Roots on Acclimatization of Micropropagated Cassava Plantlets)

  • 윤실;조덕이;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3-108
    • /
    • 2001
  • 카사바 (Manihot esculenta Crantz cv. MColl 22)의 마디절편을 제아틴 0.01%가 첨가된 MS 기본배지에서 2주간 현탁배양하여 경엽부 길이가 1.5∼2.5 cm로 생장된 유식물의 부정근을(1) 1∼l.5 cm길이만 남기고 짧게 전정, (2) 1∼2 mm 이내로 제거, (3)뿌리 발생부 전체를 절단한 후 마사토를 담은 유리병에 이식하여 비무균조건에서 순화생장시켰다. 그 결과 이식 7∼10일경부터 각 조건에서 새 뿌리가 발생되기 시작하여 6주 후에는 조건에 따라 73∼93%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기내 발생 뿌리 가운데 손상 없이 토양에 이식된 것은 그대로 생존을 계속하여 유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었으며, 제거된 부정근은 이식 후 신장이 중단되고 새로 뿌리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간혹 전정되고 남은 부분에 측근이 발생된 것이 관찰되었다. 각 조건에서 새로 발생된 기외 뿌리의 수와 길이 및 경엽부 길이와 마디 수에서는 서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체중에서는 전정>제거>절단의 순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미세증식된 카사바의 기내발생 부정근을 적절히 전정 또는 제거한 후 이식하여 순화시키는 것은, 작업을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식물의 생존율이 높고 생장에도 지장이 거의 없으므로 경제적인 미세증식 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생장호르몬이 상동나무(Sageretia theezans) 삽목 및 캘러스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lant Growth Hormone on the Cutting and Callus Formation in Sageretia theezans)

  • 박성혁;이다현;손호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29
    • /
    • 2019
  • 상동나무(Sageretia theezans)는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 식물로 특이하게 늦가을에 꽃이 피고 봄에 열매가 익는 수종이며, 최근 암세포 생장억제 효과가 입증되고 제주와 전남 남해안 지역에서 예로부터 열매를 식용 및 약용하여 민속식물로서의 가치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약용소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상동나무의 대량증식을 위하여 식물생장호르몬의 처리에 따른 효과적인 증식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상동나무 삽수묘는 고흥, 완도 일대에서 2019년 3월 19일에 2년생 가지를 수집하였으며, 3월 20일 삽목을 실시하였다. IAA(250, 500, 1,000 ppm), IBA(250, 500, 1,000 ppm), NAA(250, 500, 1,000 ppm), 루팅(200배) 수용액에 50개의 삽수묘를 3분간 절단기부를 침지 후 모래에 치상하였으며, 무처리구는 바로 치상하였다. 각 삽수상은 온실에 보관 후 1일 2회씩 관수 하였으며 120일간 유지하였다. 그 결과 전체 66.4%의 발근율을 보였고 캘러스와 뿌리의 발달은 평균 17.5 mm의 길이를 보였다. IBA 처리구가 전반적으로 높은 발근율을 보였는데 그 중 500 ppm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41개 삽수묘의 부정근이 형성되어 82%의 발근율을 보였고, 평균 20.2 mm 길이의 뿌리가 생성되었다. IBA 1,000 ppm처리구에서도 38개의 삽수묘에서 캘러스 및 부정근이 형성되어 76%의 발근율을 보였다. 뿌리의 발달은 평균 18.4 mm로 IBA 500 ppm에 비해 길이가 짧았으나 뿌리의 길이가 삽수묘간 차이가 커 가장 긴 개체가 32.3 mm로 나타났다. NAA 500 ppm에서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는데 32개의 삽수묘에서 부정근이 형성되어 64%의 발근율로 나타났다. 뿌리의 길이는 18.9 mm로 IBA 1,000 ppm에 비해 발근율은 낮았으나 뿌리의 발달은 평균 0.5 mm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리구는 29개의 삽수묘가 캘러스 및 부정근이 형성되었으며 58%의 발근율로 나타났으며 IAA, IBA, NAA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생장호르몬 당 발근율을 보면 IBA는 500 ppm, NAA는 500 ppm, IAA는 1,000 ppm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루팅 수용액 처리구는 60%의 발근율을 보여 루팅 200배 수용액 침지와 무처리는 비슷한 수치의 발근율로 나타나 루팅은 상동나무 삽목 발근촉진제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가시오갈피나무 불정근(不定根) 배양(培養)에서 불정근(不定根)의 생장(生長)과 Eleutheroside류(類)의 생산(生産)에 미치는 Salicylic Acid 처리(處理)의 영향 (Effect of Salicylic Acid on the Root Growth and the Eleutheroside Accumulation in the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78-183
    • /
    • 2011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가시오갈피 부정근 배양시에 salicylic acid를 농도별(0, 5, 10, 20, 40, 80 ${\mu}M$)로 처리하여 부정근의 생장과 eleutheroside류 생산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Salicylic acid 처리농도별 부정근의 생장은 무처리구에서 4.4 g dry weight(DW)/L로 가장 높았으며, salicyl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정근 생장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 E 및 $E_1$의 함량은 대체로 salicylic acid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80{\mu}M$ 처리구에서 각각 179.5, 1169.9 및 $45.4{\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배지 1 L당 eleutheroside류의 총생산량은 무처리구에서 $4975.8{\mu}g/L$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80{\mu}M$의 salicylic acid 처리 후 15일간 eleutheroside류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salicylic acid처리 후 9일째, eleutheroside E 및 $E_1$은 처리 후 6일째 각각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여 주었다.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모상근 배양을 통한 Saponin 생산 I. 캘러스, 부정근, 모상근과 재배근의 Saponin 양상과 함량 비교 (Production of Saponin by Hairy Root Culture of Bupleurum falcatum L. I. Comparison of Saponin Content and Pattern in Callus, Adventitous Root, Hairy Root and Cultivated Root)

  • 안준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43-49
    • /
    • 1993
  • In order to survey possibility to produce saikosaponin from in vitro hairy root culture, culture of callus,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were estabilish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saikosaponin extracted from thes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ultivated root. Callus grew well in MS medium containing 0.9 $\mu$M 2, 4-D. In contrast, both of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grew well in hormone-free MS medium. However, hairy root showed more rapid growth with extensive lateral root branches, characteristics of lower content of water and softer than in adventitous root. Among the selected lines of adventitous root and hairy root were observed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 Mannopine, one of opine synthesized in the transformed tissue with Agrobacterium rhizogenes. A4 were detected in the extract of hairy root lines. Pattern and content of crude saponin from adventitous and hairy root showed no difference, but somewhat difference from those of cultivated root. However, in callus, distinct production-aspect of saponin was not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