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인사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농장탐방-여양농장

  • Bae, Seung-Ha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8 no.8 s.324
    • /
    • pp.198-201
    • /
    • 2006
  • 충남 청양에 위치하고 있는 여양농장은 최명복 사장이 11년째 부인인 정순임씨와 함께 경영하고 있다. 지역의 대소사를 돌보는 일에서부터 농장의 일까지 매일 분주한 스케줄의 최명복 사장을 만나기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최명복 사장이 몸소 겪고 체험한 만성소모성질환(4P)극복 과정과 여름철 양돈장 관리는 다른 양돈장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확신했다. 이번 호에는 여양농장의 성공적인 농장 관리법을 공개하고자 한다.

  • PDF

A Tendenc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chine Development of Filament Composite Yarns (II) (필라멘트 복합사 제조기술과 기계 개발 동향(II) -인터레이스 노즐과 복합사 제조장치-)

  • Kim, Seung Jin;Kim, Tae Hu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9 no.1
    • /
    • pp.50-60
    • /
    • 1997
  • 최근섬유산업의 어려움은 국내 섬유산업이 시작된 이래 최대의 위기상황이라고까지 불리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 반도체산업의 불황국면의 예견은 전체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섬유산업의 재건을 꾀할 기회가 아닌가 보여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개발만이 한국 섬유산업이 살아갈수 있는 방향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최근 絲 생산업체에서는 모두 복합사의 생산에 모든 정보를 얻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개발에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絲加工 공정을 포함한 제직준비 공정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복합사 생산기술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본고에서는 인터레이스 노즐 종류별 絲 제품 개발 방향 및 Taslan 노즐과 이들 인터레이스 노즐을 이용한 특수 絲 개발 가능성 그리고 기타 여러가지 제직 준비시설을 이용한 특수 복합사 제조기술을 서술함으로써 중소기업 위주로 구성된 복합사 제조기업에 기초 기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세계의 인쇄인: 이봉창(李奉昌)의사와 보성사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0 no.4
    • /
    • pp.118-119
    • /
    • 2011
  • 오는 4월 13일은 임시정부수립기념일이다. 이에 상하이의 인쇄사에서 잠시 근무했던 이봉창 의사와 독립선언서를 인쇄했던 보성사에 대해 알아본다. 이봉창 선생은 1932년 1월 8일 일본제국주의의 심장부인 도쿄에서 삼엄한 경호를 받으며 궁성으로 돌아가던 일왕에게 수류탄을 투척, 일본인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전 세계 피압박 민족에게 큰 충격을 준 인물이다. 이 선생이 터뜨린 한발의 수류탄은 당시 침체일로에 있던 상해임시정부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정부는 지난 62년 선생의 장거를 기리어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보성사터 기념비는 지금의 조계사 좌측 수송소공원에 있는데, 천도교에서 경영하던 인쇄사로 보성학교 뒷마당에 자리 잡고 있었다. 1919년 당신 최남선이 경영하던 신문관과 함께 최대 인쇄사로 꼽혔다. 보성사는 1919년 6월 28일 일본의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로 전소됐다.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Whalakhyoryoung-Dan extract on MCF-7 cells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 MCF-7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 Jeong, Ji-Ye;Yang, Seung-Joung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9 no.3
    • /
    • pp.13-24
    • /
    • 2006
  • Purpose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ethods :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 (FBS)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F-7 세포를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 (0 ${\sim}$ 2000 g/ml)의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이 든 배지로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또한 1000g/ml의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이 든 배지로 처리한 후 48, 96, 192 시간동안 배양하여 각각 MTS assay kit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 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Results : 실험결과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기질인 PARP 절단량이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처리 농도에 비례에 증가하였다. Conclusions :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해외 레이다

  •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76
    • /
    • pp.8-9
    • /
    • 1993
  • 록히드사가 제작한 마하 3의 첩보 비행기 SR-71 Blackbird가 1990년에 첩보 비행 임무를 종료하게 되었을 때, 많은 항공 전문가들은 미 공군이 무언가를 숨기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지금까지 나타난 여러가지 징후들을 종합해 보면 SR-71의 후속비행기로서 마하 6의 속도를 가진 첩보 비행기가 존재한다는 심증이 굳어지고 있다 다른 첩보 비행기를 운용할 계획도 없이 SR-71만 운용 중지키로 하고 더 이상 이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대해, 대부분의 군사 전문가들은 미 공군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고공으로 비행하는 비행기를 운용 중지하면서 그 후속 대안없이 손을 뗀다는 것과, 그럴 경우 정보수집임무의 많은 것을 포기해야한다는 점에 강한 의문을 소개한다 미 정부 관리들은 이런 종류의 비행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부인하면서 위성을 이용해 첩보 비행기가 수행하던 임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말하며, 또한 록히드사에서도 SR-71 후속 첩보기를 개발하는데 참여한 바 없다고 부인하고 있으나, 그동안 수집된 자료를 종합해보면 미 정부가 이 비밀 첩보기의 존재를 자의로 밝히던지 또는 타의에 의해 밝혀지던지 곧 노출될 것으로 보인다

  • PDF

Growth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rude methanolic extract from Euonymus alatus (Thunb.) Sieb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SKBR3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 추출물의 성장억제 및 항산화효과)

  • Park, Young-Soo;Han, Ji-Young;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1
    • /
    • pp.45-54
    • /
    • 2005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한 귀전우 메탄올추출물(CME)의 증식억제 효과, 세포사 유발 효과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SKBR3 유방암세포주는 48시간동안 다양한 농도($0{\sim}20{\mu}g/m{\ell}$)의 CME가 제공된 곳에서 배양되었고, MMT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다. CM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6.5{\pm}0.3{\mu}g/m{\ell}$) 이며,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M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됨의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파편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ME가 ROS의 생산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들은 귀전우의 메탄올추출물이 SKBR3 인간 유방암세포주에 대해 강력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세포사를 유도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효능은 약물에 대한 노출시간과 투여량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귀전우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Induced apoptosis in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by treatment with Chiljehyangbu-hwan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이 자궁근종세포의 성장억제와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 Kim, Seuk-Jung;Beak, Seung-Hee;Kim, En-Ha;Kim, Dong-Chu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0 no.2
    • /
    • pp.25-42
    • /
    • 2007
  • Purpose : Uterine leiomyoma (fibroids) are benign smooth muscle tumors originating from the myometrium. These benign neoplasms of monoclonal origin are typically diagnosed during the reproductive years, occurring only after puberty and tending to regress after menopause.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Chiljehyangbu-hwan to determine its growth inhibitory effect and apoptosis in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Methods : Primary cultured human uterine leiomyoma cells were treated with Chiljehyangbu-hwan. Cell viability analysis was analyzed by MTS assay and FAC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effects Chiljehyangbu-hwan. DNA fragmentation analysis and casapase-3 activity test were done.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protein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hiljehyangbu-hwan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leiomyoma cells compare to normal myometrial cells. FACS showed that Chiljehyangbu-hwan induced Sub G1 arrest. DNA fragmentation assay was carried out and apoptosis was detected. Activation of caspase-3, down-regulation of Bcl-2, with concomitant increased expression in Bid and Bax were observed. Chiljehyangbu-hwan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cells resul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cell death induced via the mitochondrial pathway.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for Digital Signature i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Technological and Legal Aspect (전자금융 거래 시 생체인증을 전자서명에 활용하기 위한 기술 및 법률에 관한 연구)

  • Song, Jae-Hun;Kim, In-Seok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1 no.4
    • /
    • pp.41-53
    • /
    • 2016
  • Today, leading smartphone manufacturers offer biometric technologies such as fingerprints, voice recognition, and iris patterns in their flagship models. These biometric technologies are used for authentic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s are widely used in device security and even in financial transaction. This paper examines cases where a user uses biometric authentication during financial transaction (both online and smartphone banking), and explains biometric for non-repudiation by digital signature. Finally, the paper also explains technical and legal requirement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in the area of financial services.

The effect of the stem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on the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related apoptosis in human cervical cancer cells (계혈등(鷄血藤)이 자궁경부암세포의 세포자멸사 유도와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Kim, Byounghoe;Baek, Seunghee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1
    • /
    • pp.169-180
    • /
    • 2005
  • Objective : Spatholobus Suberectus Dunn stems, Chinese vine plants, have been used for the relief of menstrual disorders and rheumatic arthralg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tumor effect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on cervical cancer in vitro. Methods : HeLA cervical cancer cell lines were used as targets. We examined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patholobus Suberectus Dunn on cell proliferation, cell cycle regulation and cell cycle-regulating gene expression. Further, we investigated the apoptotic effects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on cervical cancer cell lines. Results : Spatholobus Suberectus Dun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cervical cancer cell lines in a dose-dependent and time dependent manner.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analysis indicated that Spatholobus Suberectus Dunn induced G1 cell cycle arrest. Spatholobus Suberectus Dunn enhanced the expression of $p21^{waf1}$ and $p27^{kip1}$ with cell cycle arrest. Further, Spatholobus Suberectus Dunn stimulated apoptosis via caspase3 pathway.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atholobus Suberectus Dunn is a candidate agent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p21waf1 and $p21^{waf1}$ and $p27^{kip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patholobus Suberectus Dunn-induced cell cycle arrest and cell growth inhibition.

  • PDF

중의사 대상 형상진단의기 연구개발 수요조사 보고(中醫师 对象 形象诊断仪器 硏究开发 需要调查 报告) - 형상(形相) 망진(望診)에 대한 중의사(中醫師)의 시각에 관한 조사

  • Kim, Gyeong-Cheol;Kim, Jung-Han;Sin, Sun-Sik;Kim, Hun;Lee, Hae-Ung;Du, Seung-Hui;Park, Ju-Yeon;Jo, Yeong-Il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2 no.2
    • /
    • pp.23-34
    • /
    • 2009
  • 형상(形相) 망진(望診)에 대한 국제공동연구와 해외진출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중의사(中醫師)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행하였다. 참여자의 학문적인 경향성은 전통 한의학적인 보수 경향성보다는 현대의학을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은 병증체계는 장부병증과 팔강병증의 순이었다. 한방 진단법에서 중요하게 활용하는 방법은 문진(問診)이며, 망진(望診), 문진(聞診), 맥진(脈診), 복진(腹診) 등의 방법도 고른 분포도를 보였으며, 그 이유는 진단 효율성, 환자와의 상담, 치료효과 입증, 환자 정보 공유, 진단 결과의 재현성과 진단의 표준화 객관성 등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한약과 침구의 활용에 대한 진단기법의 일관성은 비교적 동일하거나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한약과 침구의 변증행위가 동일한 체계를 활용하거나, 소속 학파의 이론을 한약과 침구에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망진 형상진단의 중요도와 활용도는 고르게 나타났으며, 망진에서 중요하게 활용하는 부위와 내용으로는 두면의 생김새, 신체 전반적 생김새, 신체 특징부위로 나타났다. 형상진단의 기전과 표준화 연구에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는 형상진단에 입각한 고전 문헌연구, 전문가의 형상분석에 대한 통계처리, 병증과 형상에 대한 임상데이터 구축 등이었다. 형상진단기에 대해 요구하는 기능은 형상유형감별, 오장육부 상태 진단, 표리한열 진단, 경락기운 진단 등으로 나타났으며, 형상진단기의 임상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임상분야는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소화기 질환, 대사증후군 질환, 부인과 질환, 노인성 질환 등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