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인과 암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for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대한 생존단계별 비교 연구)

  • Lim, Jung-Won;Han, In-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0 no.1
    • /
    • pp.5-27
    • /
    • 200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better understand the quality of life (QOL) for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ulti-dimensional QOL outcomes according to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Methods: To identify the multiple dimensions of health status and psychosocial outcomes, three standardized QOL and psychological distress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110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Thes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Results: Analyse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once important confounders were controlled for, QOL outcomes were par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Results for SF-36 mea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ute and long-term survival stages, indicating that QOL for cancer survivors had gradually improved in the physical domai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domain of SF-36. Additionally, QOL-CS and BSI-18 measures did not show significant QO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Conclusions: Evidence that, for Korean survivors, QOL outcomes differ according to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serves as a rationale for developing discriminatory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survival stage.

  • PDF

지혜 깊어지는 건강_건강검진 이야기 - 자궁암검사, 유방암검사 겉보다 아름다운 속을 위한 첫걸음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5 no.10
    • /
    • pp.16-17
    • /
    • 2011
  • 자궁암은 물론 자궁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자궁암 검사는 세포를 채취하기만 하면 끝이다. 유방암 검사 역시 간단한 촬영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유방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자궁암 검서와 유방암 검사는 절차가 복잡하지도 다른 준비가 필요하지도 않다. 부인과 검진에 대해 알아보자.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uichulpajing-Tang extract on MCF-7 cells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 Cho, Seong-Hee;Pak, Keung-Mi;Ban, Hye-Ran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9 no.1
    • /
    • pp.155-165
    • /
    • 2006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FBS;Gibco) 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PF-7 세포를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0~2000g/ml)의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이 든 배지로 처리하고 다양한 시간(48, 96, 192)동안 배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각 MTS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 기질인 PARP 절단량이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처리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caspase-3가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antiproliferative effect by Euonymus alatus (Thunb.) Sieb water-extract on SKBR3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귀전우(鬼箭羽) 물 추출물에 의한 유방암 세포주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b;Lee, Tae-Kyun;Kim, Dong-I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8 no.4
    • /
    • pp.1-9
    • /
    • 2005
  • Purpose : 이 연구는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Euonymus alatus (Thunb.) Sieb 추출물 (CWE) 의 증식억제, 항산화 작용 및 세포사 유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 졌다. Methods : SKBR3 세포주는 48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 ($0-40\;{\mu}g/ml$)의 CWE를 첨가하면서 배양되었고, 세포의 생존 비율은 MTT 배양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CWE의 증식억제 효과는 유방암 세포주의 세포사와 관련되어 있음을 형태학적인 변화와 올리고뉴클레오솜 DNA 분절을 통해 확인하였다. Results : CWE의 50%에서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약물농도인 $ED_{50}$ (effective dose 50%)은 $9.3+2.2{\mu}g/ml$이며, 약물의 농도에 의존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아울러, 다양한 농도와 배양시간에서 CWE가 ROS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과 항암예방효과는 농도와 노출 시간에 의존하였다. Conclusion : 이러한 관찰을 통해 Euonymus alatus (Thunb.) Sieb의 열수 추출물은 SKBR3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 효과와 강력한 항산화효과 및 세포사의 유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Antitumor Effects of Cistanchis Herba Aqueous Extracts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Xenograft Athymic Nude Mice, through Potent Immunomodulatory Activities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에서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항암 효과 평가)

  • Hyeon-Ji Hwang;Dong-Chul Kim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37 no.1
    • /
    • pp.1-22
    • /
    • 2024
  •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세포(MCF-7) 이식 누드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를 통한 항암 활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육종용 열수 추출물은 유방암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경구용 항암제인 tamoxifen 경구 투여군과 비교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방 법: 총 110마리의 6주령 암컷 누드 마우스를 준비하여, 7일간 적응 후 체중이 일정한 마우스를 선정하여 우측 둔부 피하부위에 MCF-7 세포를 이식하였다. 종양세포 이식을 한 지 20일 후, 종양 크기 및 체중을 기준으로 그룹 당 8마리씩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MCF-7 이종 이식 21일 후부터 매일 1회씩 35일간 육종용 열수 추출물을 10 ml/kg의 용량(400, 200 및 10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tamoxifen 역시 10 ml/kg의 용량(2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 및 종양 이식 매체 대조군에서는 멸균증류수만 종양 이식 21일 후부터 동일한 방법으로 35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MCF-7 세포 이식을 함으로써 현저한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 무게, 혈중 IFN-γ의 함량, IL-1β 및 IL-10의 함량, 비장내 TNF-α, 비장세포 및 복강 대식구의 활성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비장 및 하악하 림프절의 림프구 감소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위축 또한 관찰되었다. 그리고 체중 및 증체량의 감소 역시 관찰되었으며, 혈중 IL-6 함량의 증가, 난소 주위의 지방 무게의 감소 및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 주위의 축적 지방 조직 위축 현상이 인정되어, 종양 이식 후에 전형적인 종양과 관련된 면역억제와 악액질 현상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육종용 열수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현저한 항암활성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tamoxifen 20 mg/kg 경구 투여군에서는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이 오히려 악화되는 반면, 육종용 열수 추출물 경구 투여군에서는 면역활성 및 악액질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육종용 열수 추출물의 적절한 경구 투여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종양 관련 악액질 소견을 포함하여, 효과적인 유방암 치료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ve Study on Sexuality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부인암 여성의 성생활에 대한 서술적 연구)

  • Nho, Ju-Hee;Park, Young-Sook
    • Women's Health Nursing
    • /
    • v.18 no.1
    • /
    • pp.17-2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xuality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Methods: A total of seven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style.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Results: Three themes identified were: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who give up their sexual life due to misunderstanding and fea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who control their body and mind for recovery',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resume their sexual life with their partner's will'. Conclusion: To improve sexu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we need to develop programs related to sexual health. An adjusted sexual health program will contribute to increased sexu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Whalakhyoryoung-Dan extract on MCF-7 cells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 MCF-7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 Jeong, Ji-Ye;Yang, Seung-Joung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19 no.3
    • /
    • pp.13-24
    • /
    • 2006
  • Purpose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ethods :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 (FBS)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F-7 세포를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 (0 ${\sim}$ 2000 g/ml)의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이 든 배지로 처리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또한 1000g/ml의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이 든 배지로 처리한 후 48, 96, 192 시간동안 배양하여 각각 MTS assay kit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 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 (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Results : 실험결과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기질인 PARP 절단량이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처리 농도에 비례에 증가하였다. Conclusions :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 PDF

Corydalis Tuber Induces Apoptosis in MCF-7 Cells, Via Inhibition of Bcl-2 and $Bcl-_{XL}$ Expression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Bcl-2와 $Bcl-_{XL}$ 발현 억제를 통해 유방암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Ae;Kim, Dong-Chul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1 no.4
    • /
    • pp.90-103
    • /
    • 2008
  • 목적 : 본 연구는 현호색의 메탄올 추출물(Corydalis Tuber Extract:CTE)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의 자멸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로 인간유방암에서 유래된 MCF-7 세포를 처리하였다. CTE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는 MTT, FACS, TUNEL, DNA laddering and immunoblo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은 MCF-7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켰다. CTE로 처리한 MCF-7 세포는 용량에 따라 세포 자멸사 과정이 증가했다. CTE에 노출하였을 때 Bcl-2와 $Bcl-_{XL}$의 발현을 억제하고,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cytochrome-c를 방출하며, caspase와 PARP의 절단을 유발하여 세포자멸사가 증가했다.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성분중에서 coptisine이 세포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실험결과 현호색 메탄올 추출물이 유방암의 임상 치료에 있어 가능성 있는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 of Prunellae Spica Extracts on Anti-tumor Metastasis by Immune Activity (면역활성(免疫活性)에 의한 하고초(夏枯草)의 암전이(癌轉移) 억제(抑制) 효과(效果))

  • Heo, Ja-Kyung;Lee, Jin-Moo;Lee, Chang-Hoon;Cho, Jung-Hoon;Jang, Jun-Bok;Lee, Kyung-Sub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
    • v.22 no.1
    • /
    • pp.41-52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metastasis by immunomodulating effects of extracts of Prunellae Spica. Methods: Antimetastatic experiment was conducted in vivo by using colon 26-M3.1 carcinoma. And we observed cytotoxicity of Prunellae Spica on colon 26-M3.1 carcinoma, L5178Y-R lymphoma cell, hela cell and macrophage. To observe the immnomodulating effects of Prunellae Spica, we estimated IL-6, IL-10, IL-12, TNF-${\alpha}$ from peritoneal macrophages. And we evaluated the activation of NK cell by using anti-asialo-GM1 serum. Results: We found that the administration of Prunellae Spica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in vivo.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cell growth are closer to 100% in case of colon 26-M3.1 carcinoma, L5178Y-R lymphoma cell, hela cell at low concentration. In case of macrophage, cell proliferation is closer to 100% less than $62.5{\mu}g/m{\ell}$ of Prunellae Spica extracts. The level of cytokine such as IL-6, IL-10, IL-12 which stimulates Prunellae Spica extracts was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NF-${\alpha}$ is hardly secreted less than $250{\mu}g/m{\ell}$ The depletion of NK cells by anti-asialo GM1 serum partly abolished the inhibitory effect of Prunellae Spica on tumor metastasis. Conclusion: Prunellae Spica appears to have considerable activity on the anti-metastasis by activation the immune system such as macrophage and NK c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