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엌공간의 변화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부가적 기능에 따른 부엌공간의 변화 (The Change of Kitchen Space Based on Additional Functions)

  • 이주희;양세화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5-26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kitchen space based on the additional functions since 1960s'. The review of literature was performed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changes of paradigm of kitchen space due to the social, technological, cultural factors had made the additional functions of kitchen more complicated, and further, resulted in changes of floor plans of housing as well as kitchen space.

  • PDF

주방기기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11호통권142호
    • /
    • pp.137-144
    • /
    • 2005
  • 과거 우리나라의 부엌은 주부의 노동공간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대에 와서는 주방의 기능적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어 적극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 핵가족 시대의 가족유대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 가족이라 하더라도 각자 다른 생활패턴을 가지고 있어 가족구성원이 서로 얼굴을 대할 수 있는 시간은 식사시간 정도가 전부일 것이다. 따라서 주방은 조리 휴식 대화의 복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편의성 안락함을 지닌 공간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방이 식사와 더불어 가족들간의 자연스런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생활중심공간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 아울러 주방을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간주하기도 하여 주택의 내부와 조화를 이루는 주방인테리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PDF

농촌주택의 부엌공간 변화에 따른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Changes in Rural Kitchens: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of Kitchen Spaces)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3-115
    • /
    • 1989
  • This study has been a study on changes seen in rural kitchens and factors affecting the modernization of agrarian kitchen spa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physical changes in kitchen design were carried out rapidly after 1977. This period coincided directly with the period in which kitchen improvement projects were fostered by the Sae Ma-Eul UNDONG 2) The study showed the macro factors contributing to changes in kitchen space to be government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The study showed the micro factors influening kitchen space changes to be classified along socio-demographic lines and family lifestyle. 3)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kitchens have been divided into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education achieved by the husband was the most significant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st important among lifestyle characteristics were the cooking fuel used during the slack farm season, eating habits, heating fuel and eating spa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in terms of government housing policy. Policymakers should be aware of suitable kitchen spaces to rural households in order to meet their housing needs and expectations.

  • PDF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산간지대 농가의 부엌공간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Variations of Kitchen Spaces in Mountain-areas.)

  • 유옥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51-61
    • /
    • 1992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mvestigate the changes seen in rural kitchen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dernization of agrarian kitchen space in mountain areas, and to compare them with those in the plain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kitchen space in mountain areas remained in the state of a combined style(depicting both western and traditional styles), while the kitchen space in the plains after the 1980s showed a tendency toward the western style. Generally speaking, the physical state of kitchens in mountain farmhouses, therefore, was at a low level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lains. 2) The kitchen improvement projects of Sae-Ma-Eul Movement fostered a trend toward the western and combined style kitchens in the plains, but it did exert a little influence only on a part of the four mountain areas, and it resu]led in a combination of both styles. 3)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under consideratien. only the level of education achieved by the wi fe was found to be a determinant factor of the kitchen type in the mountain areas. but the level of education achieved by the husband and the family life cycle were two determinant factors in the plains. Under the category of family life style. the factors affecting the kitchen type in the mountain areas were cooking-heating fuel and the position of the refrigerator, while the main factors in p]ains were the place and the method of eating. cooking-heating fuel, the position of refrigerator, and numbers of family-memorials.

  • PDF

부엌 공간 사용 행태로 본 주거문화의 변화 (The Transition of Housing Culture According to User's Behavior in the Kitchen)

  • 강순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7-24
    • /
    • 2005
  •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sidents' behavior in using space, focusing on the kitchen area where there was the most chan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of living culture through the ag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Today's apartment residents prefer 'Island' style which is located a separate counter and work space. Thus the kitchen m is now being recognized as a place spacious, and where the whole family can participate. 2) The usage of the kitchen is not only limited to cooking or keeping household goods but also broadened to washing, private life, happy home circle, inviting guests etc. Especially, family union or inviting guests in the kitchen is more frequent as the houses become larger, private refreshment or reading in the kitchen is proportional to income and to people living in homes where the kitchen and dining room is divided independent 3) Looking at the dietary life styles of today's apartment residents, there are more well-being type and tradition type than prosessed type. This trend is portional to the resident's standard of education and the size of the apartment, thus making a significant influence.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 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72-81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공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실내공간 및 구성 요소를 조사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52가구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방문에 의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배치 및 구성은 현관-거실 및 식당-방-안방의 서양적 평면보다 현관-방-거실 및 식당-안방의 한국전통공간에서 기인한 평면이 선호되었다. 둘째, 공간의 특성은 한국 전통공간의 여러 특성 중 거실-방, 거실-식당, 식당-부엌 사이의 공간 디자인에서 개방성과 폐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난방의 종류는 전체 라지에타 방식에서 전체 바닥 난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간구성 요 소 중에서 바닥은 온돌마루와 장판이, 벽은 벽지가, 천장은 방에는 평 천장, 거실에는 가운데가 매립된 천장이 선호되었고, 창문은 특히 안방의 경우 전통적 창살 문양을 선호하였다

  • PDF

1950년대 이후 공영주택(公營住宅) 공적공간(公的空間) 계획의 특성 변화 연구;전면이 3칸으로 구성된 평면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ition Special Quality of Unit Plan for Public Space Korea Public Operated House since the 1950s)

  • 예은실;유재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2-395
    • /
    • 2006
  • This research tried to observe transition quality of unit plan for public space Korea public operated house since the 1950s. Plane of public-operated house had continually accommodated lifestyle change until present from the late 1950s. "Frontward 3 urface unit 3LDK'composition plans become settle by the representative plane after the 1990s. The process that with special quality change of public space the relation is deep. it is proposed consequently to analyze the space special quality change of the public operated house unit plan style.

  • PDF

동중국해권 민가의 성역(聖域)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nctuary of the Residence in East China Sea Skirts Area)

  • 윤일이;尾道建二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2호
    • /
    • pp.60-81
    • /
    • 2010
  • 우리나라 제주도에는 바다를 통해 전달된 수평적 신화가 널리 분포하고, 가족 내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고, 민가 역시 한반도 민가와 건물배치, 난방 취사 분리, 거주유형 등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여, 민가형성에 북방문화 외에 다른 문화의 전래도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반도의 남해안과 제주도 이남에 펼쳐진 동중국해(혹은 동지나해)에 접한 민가를 비교하였다. 쿠로시오가 흐르고 계절풍이 부는 동중국해 지역에는 대륙의 북방문화뿐만 아니라 단속적이지만 바다를 통한 남방문화가 복합화되어 이곳 주문화권만의 특색을 이루었다. 이에 가신들이 좌정하는 성역을 통해 동중국해 민가에 나타나는 남방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동중국해 지역에는 해양과 관련된 수평적 신화가 주류를 이루고, 척박한 자연화경으로 반농반어 반농반채 등 이중적 생계수단을 지닌다. 가족구성은 전체적으로 모계 쌍계사회의 특성이 강한 연령계제제의 남방계 특성이 잔존하면서도, 외부적으로 대륙북방계에 원류를 두고 있는 가부장권의 특성이 상류계층과 도시에 나타나는 이중체계를 유지한다. 그래서 주택구조는 종적위계 남녀구별의 수직적 공간구성 대신에 세대별 기능별에 따른 수평적 공간구성을 이룬다. 둘째, 동중국해 지역은 정령신앙 조상숭배를 기반으로 한 토속신앙으로 가신들은 여성 농경 불과 관련성이 깊다. 부엌에서는 화신(조왕신), 곡창에서는 곡령신, 측간에서는 측신을 섬겼는데, 이들은 대부분 여신이고 사제도 주부들이 담당하였다. 이후 한 중 일 본토에서 불교 유교가 들어오면서 기존 여성중심의 무속의례에 남성중심의 불교 유교의례가 공존하는 이중적 성역을 이룬다. 셋째, 동중국해 지역에서 조왕신, 조령신, 측신들을 모시는 곳을 통해 별동형 부엌, 곡창, 돼지뒷간 등이 별동으로 존재했다가 점차 주택내로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건축기술의 발달과 생활양식 변화에 연유하였다. 또 곡창 돼지 뒷간의 고상식은 중국남부 경로와 별동형 부엌과 화신의 성격은 남양 경로와 관련이 있는 등 해양문화의 혼합성이 나타난다. 그러나 별동형 부엌 곡창 돼지 뒷간에 석재의 사용은 동중국해권 주문화권만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용감한 사람들 Los bravos』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The Meaning of Space in Los bravos)

  • 김선웅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173-197
    • /
    • 2017
  • 본 연구는 헤수스 페르난데스 산토스의 "용감한 사람들"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를 연구했다. 주요 내용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담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의 개념도 소설의 진화와 함께 변화되었음을 볼 수 있다. 과거 아리스토텔레스는 공간을 사물과 인물이 존재하는 곳으로 여겼다. 르네상스까지 이러한 개념이 유지되었다. 19세기에 공간은 당시 낭만주의 작가들이 그 중요성을 더 부여해서 단순한 행동 묘사에만 그치지 않았다. 그리고 이후 사실주의는 집 안 내부 등과 같이 구체적인 공간에 관심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용감한 사람들"에서의 공간의 다양한 의미에 초점을 두었다. 우선 실재적인 공간과 이상적인 공간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인물들에 따른 치유적인 공간도 찾아보았다. 도시와 시골의 대립적인 공간이 어떻게 묘사되었는지, 마지막으로는 남성과 여성의 대립적인 공간을 보았다. 연구에 따르면, 어떤 인물은 자신의 이상적인 공간을 찾아 떠나기 했고, 여자 인물들은 부엌이라는 공간에서 편안함을 찾았고, 남자들은 카페에 모여 친구들과 이야기를 하는 광경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문이나 창문은 집 안의 구조적인 경계일 수도 있지만, 남성과 여성의 심리적 경계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