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식모델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2초

철근의 부식을 고려한 RC보의 휨파괴 거동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sidering Steel Corrosion)

  • 어석홍;이창현;이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51-32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철근의 부식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RC)보의 휨파괴거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한 일련의 3점휨 파괴시험 및 해석적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적 연구를 위하여 총12개의 시편보를 제작하였으며, 염수분무시험 챔버를 이용하여 10개월간 촉진부식토록 하였다. 철근부식에 미치는 균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부 시험체를 공칭휨강도의 30% 와 60%에 해당하는 최대하중으로 미리 하중을 가한 후 염소분무 시험챔버에 보관하였다. 재령 5개월 및 10월에 각각 휨파괴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최대하중과 하중-처짐곡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철근의 부식정도에 따라 철근과 콘크리트간의 부착력 손실이 발생하고 그에 기인하여 휨강도는 최대 5.4%, 연성도는 최대 43%의 저하가 발생하여 철근의 부식이 최대 하중 보다 연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Maaddawy의 해석적 모델을 이용한 수치해석결과 철근의 부식을 고려한 RC보의 휨파괴거동을 상당부분 잘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트에서 추출한 부식산 표면에 대한 카드뮴과 구리의 경쟁 흡착 (Competitive Adsorption of Cd and Cu on Surface of Humic Acid Extracted from Peat)

  • 임수길;정창윤;옥용식;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44-351
    • /
    • 2002
  • 부식산(humic acid)은 토양 환경내에서 중금속의 용액내 이온종(chemical speciation) 분포 및 이동성(transport)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부식산에 대한 카드뮴과 구리의 경쟁흡착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이한 농도의 배경 전해질 조건에서 피트에서 추출한 부식산의 전하발현 양상을 조사하고, 수소이온흡착모델을 통하여 부식산 표변에서의 양성자결합 상수(proton binding constant) 금속이온 흡착모델의 기본상수로 하여 부식산 표면에 대한 카드뮴, 구리흡착과 두 이온의 경쟁흡착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구리는 카드뮴에 비하여 카르복실기에 더 강한 흡착력이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페놀성 수산기에 대한 흡착력은 카드뮴에 비하여 약함을 보여 주었다. 여러 금속이온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환경에서 이온 간의 경쟁을 고려하였을 때 단일 이온만이 존재할 경우를 대상으로 구한 상수를 직접 적용시켜 경쟁효과를 예측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지만, 금속이온 각각을 통해 얻은 상수값은 부식산의 표면에 흡착할 수 있는 금속이온의 양을 제시 할 수 있으므로 금속이온간의 상대적인 흡착능의 비교는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접합부 철근의 비부착에 따른 성능평가 (Capacity Evaluation of Joint Reinforcement with Debonding Area at the Interface Steel to Concrete Surface)

  • 정우영;하금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7-70
    • /
    • 2011
  • 해안에 위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및 사회 간접 시설물들은 염해피해에 대한 우려가 있다. 염해피해로 인한 철근의 부식현상이 발생하면 철근과 콘크리트 부착성능의 저하로 인한 부재의 내력감소를 가져 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해부식이 진행되어 콘크리트와 철근간의 부착 및 비부착 여부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완전 비부착된 보-기둥 접합부를 철근부착용 고무튜브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실험체로 준정적 반복횡하중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비부착된 보-기둥 접합부의 비선형 해석을 하기 위해 4절점 래티스 모델로 개선하여 적용하였다.

  • PDF

전기화학적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염함유 시멘트 모르터내의 철근부식 연구 (Electrochemical Impedance Study on the Rebar Corrosion in Cement Mortar Containing Chloride Ions)

  • 남상철;백지흠;조원일;조병원;윤경석;전해수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811-816
    • /
    • 1998
  • 염분을 함유한 시멘트 모르터 내의 철근의 부식현상을 교류 임피던스법에 의해 고찰하였다. 부식 가속화 장치를 이용하여 단기간 내에 부식현상을 예측하였으며, 측정된 임피던스 값은 제안된 전기화학적 등가회로 및 모델에 적용할 수 있었으며, CNLS(complex nonlinear least squares) fitting법에 의하여 계산된 값과 실험에서 얻은 값이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주어진 모델로부터 구한 전하이동저항 (charge transfer resistance, $R_2$)은 염분 농도와 시간에 따른 철근의 무게 감소량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는 실제 철근의 무게 감소치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에 미치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영향

  • 문우식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1년도 제14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8-13
    • /
    • 1991
  • 엔진유는 엔진내에서 사용됨에 다라 마모방지제의 소모, 브로바이 가스의 혼입, 열화생성물과 첨가제간의 반응등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열화되기 시작하며, 아울러 마모방지성능 또한 변화되어간다. 열화생성물 중의 어떤 극성산화물이나 고분자생성물은 엔진마모의 감소에 기여하나, 일부 산성생성물은 부식마모를 일으킬 수도 있으며, 엔진내에서 발생되는 마모분중에는 어브레시브 마모를 발생시키는 것도 있다. 또한, 브로바이 생성물중에는 마찰면을 직접 부식시키는 성분도 있으며, 그외 부식성이 약한 브로바이 성분들도 첨가제와의 반응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필자는 최근의 연구에서 엔진유의 마모방지성능은 엔진에서의 열화정도에 달 현격히 변화하며, 또한 사용유의 전산가증가치와 마모량간에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본보고에서도 사용유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중 마모방지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선택하여, 그 함유유인 모델열화유로 윤활하는 마모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에 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 PDF

고준위 폐기물 처분용기 주변에서의 지하수의 방사분해에 의한 음 전류 밀도 유도 (Derivation of the Cathodic Current Density around the HLW Canister Due to the Radiolysis of Groundwater)

  • 최희주;조동건;최종원;한필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05-113
    • /
    • 2006
  •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을 위해 사용되는 캐니스터 주변 완충재의 공극 내 지하수는 방사분해에 의해 산화제를 발생한다. 캐니스터 주변의 탄소강의 부식을 결정하는 산화제에 의해 야기된 음 전류 밀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였다. 실린더 좌표계에서 음 전류 밀도를 구할 수 있는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직교 좌표계와 실린더 좌표계에서 구한 음 전류 밀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방사분해 계산을 위한 선원항 및 흡수선량률은 ORIGEN2와 MCNP 컴퓨터 코드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새로운 모델을 이용하여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처분용기 반경을 결정하였다. 계산 결과 실린더 좌표계에서의 해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Marsh 모델보다 음 전류 밀도 값을 25 % 감소시켰다.

철근부식 팽창 및 비부착 구간에 따른 RC 부재의 휨 성능 평가 (Flexural Capacity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ith Corroded Steel Expansion and Debonding Area at the Interface Steel to Concrete Surface)

  • 정우영;백상훈;연종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7-13
    • /
    • 2008
  • 본 논문은 염해에 의한 부착성능 저하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국부 비부착 구간 변화에 따른 보의 휨 실험 및 해석적 연구이다. RC보의 휨 실험 및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부착강도 및 부식정도에 대한 휨 강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철근부식에 따른 국부적 부착손상 구간을 표현하기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무호스를 이용한 비부착 구간 모사 시험체를 제작, 염해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국부 부식구간을 표현하였고 이에 대한 휨 성능을 평가하였다. 해석적 연구에서는 상용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성능평가와 균열해석을 수행하여 국부적 부착구간 변화에 따른 균열 폭, 균열깊이,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실제 실험결과와의 균열 확산을 예측,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부식정도 및 국부적 비부착 구간 확대에 따른 실험적, 해석적 철근부식-강성변화율은 향후 노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국부적 손상 모델의 개발 및 평가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원항 모델을 사용한 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보수적인 안전성고찰 (A Conservative Safety Study on Low-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Using Radionuclide Release Source Term Model)

  • Kim, Chang-Lak;Lee, Myung-Chan;Cho, Chan-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1993
  • 암반동굴 타입의 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보수적인 안전성평가를 처분장 선원항 REPS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신뢰할만한 핵종별 침출율 예측을 위하여 REPS 모델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하시간, 부석의 형태와 부식율. 드럼표면의 부식면적 비, 그리고 핵종의 특성등이 고려되고 있다. 예비평가의 결과로 Cs-137, Ni-63, Sr-90등이 주요한 핵종임을 알 수 있다. 파라메타의 불확실성과 민감도분석을 위하여 라틴하이퍼큐브 샘플링과 Rank Correlation 기법이 사용되었다. 침입자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예상 피폭선량도 허용치 이하임과 처분장의 환경영향평가에 있어서 비교적 불확실성이 적은 Near Field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중 환경하에서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 특성 연구 (A Study on Corrosion Propertie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Subsurface Environment)

  • 권기정;정해룡;박주완
    • 지질공학
    • /
    • 제26권1호
    • /
    • pp.79-85
    • /
    • 2016
  •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공학적방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내구 수명에 영향을 받게 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수치해석 모델 및 실험을 통하여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공학적방벽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대해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해당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리적으로 해안과 인접한 지하수 포화대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가장 민감한 열화인자인 염해에 의한 철근부식에 대한 영향을 염화물 확산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철근 부식 개시기간이 1,284년이며, 최종적으로 구조물이 내구수명을 상실하는데 도달하는 시간은 1,924년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Mock-up 실험을 통해 공극분포, 공극률, 부식정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콘크리트 내 철근 부식정도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500년 이상의 상당히 오랜 기간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위시멘트량이 다른 콘크리트 중에서의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ritical Threshold Chloride Content for Steel Corrosion in Concrete with Various Cement Contents)

  • 양승규;김동석;엄태선;이종열;하야극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15-421
    • /
    • 2008
  • 콘크리트 중의 철근부식은 콘크리트 제조시 초기부터 콘크리트 중에 존재하는 염소이온과 기상작용 등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염소이온이 어느 값 (임계염화물량) 이상의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각 국에서는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량의 상한치를 규제하고 있으며, 국가별 상황에 적절하게 상이한 방법으로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 염소이온량의 합리적인 규제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위시멘트량이 다른 콘크리트 중의 염소이온에 의한 철근부식 임계 염화물량을 실험적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은 단위시멘트량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은 기존의 모델계산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현행과 같이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을 콘크리트 단위체적 당의 양 (콘크리트 총량표기)으로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관리하면, 단위시멘트량 등의 콘크리트 배합조건, 환경조건의 변화 등이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을 단위시멘트량 당의 양 (시멘트 종량표기)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