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상방식

Search Result 2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신교통시스템으로서의 자기부상열차 검토 1(상전도 흡인식 부상시스템을 중심으로)

  • 장석명;박찬일
    • 전기의세계
    • /
    • v.43 no.3
    • /
    • pp.18-28
    • /
    • 1994
  •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자기부상열차는 상전도 방식과 초전도 방식의 2종류로 대별 할 수 있다. 즉 상전도방식은 상전도 전자석에 의한 흡인력에 의해 지상에서 1cm정도를 부상하여 주행하는 시스템으로 영국의 버밍행공항의 People mover, 독일의 Transrapid, 일본의 HSST, 우리나라의 한양대, 자기 부상열차사업단, 대우중공업, 현대정공의 EXPO전시운행선등이 개발되어 있다. 초전도방식으로는 초전도전류에 의한 반발력에 의해 10cm이상 부상되어 운행되는 시스템으로 MLU 시스템이 있는데 지진이 심한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영국의 버밍햄공함의 People mover는 1984년부터 실용화되어 무인자동운전시스템으로 10년간을 아무 문제 없이 운행되고는 있지만 선로길이 620m 정도의 소규모 저속운송시스템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독일의 Transrapid시스템은 31.5km의 트랙을 설치하여 시속 450km까지 운행을 계속하여 현재 15만km정도의 운행실적을 올리고 있다. 최근 독일내각은 함부르크-베를린 사이의 290km에 이르는 선로를 2005년까지 완공하기로 결정을 내리고 금년 상반기에 착공을 할 예정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실용화단계에까지 도달한 대규모 고속시스템으로는 단연 Transrapid시스템을 꼽을 수 있다. 이에 Transrapid사와 미국, 일본등의 각 국에서 그간 세밀하게 조사하여 검토한 자료를 상세하게 소개하므로써 신교통시스템으로서의, 자기부상열차의 적합성과 개발의 타당성 및 당위성을 제시하여 이 분야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참고는 물론 우리나라의 개발방향 설정에 유익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PDF

유도무선에 의한 열차 위치 검지 방식

  • 정의진;김양모
    • 전기의세계
    • /
    • v.42 no.9
    • /
    • pp.12-19
    • /
    • 1993
  • 재래식 철바퀴 철도에서는 바퀴가 레일을 단락시킴으로써 열차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으나 자기부상식 철도나 고무타이어식 철도에서는 이런 단락회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분리된 유도무선식에 의한 위치검지가 채택되고 있다. 유도무선방식에 의한 열차위치검지는 자기부상식이나 고무타이어식 철토에서만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차의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하여 철바퀴식 철도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위치검지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재래식 철도와 자기부상식 철도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시스템으로 개발되기를 바란다.

  • PDF

공기부상 웨이퍼 낱장이송 시스템의 부상 및 이송특성

  • 문인호;조상준;김동권;김종진;황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4.05a
    • /
    • pp.72-84
    • /
    • 2004
  • 반도체 집적도가 높아지고 웨이퍼가 대구경화 됨에 따라 새로운 이송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새로운 개념인 공기부상 방식의 낱장이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부상 노즐의 크기에 따른 부상 높이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동일한 부상용 유량을 사용할 경우 0.5 mm 보다 0.8 mm 노즐이 부상 높이가 더 높고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에서 유리함을 밝혔다. 또한 웨이퍼 이송용 추진 노즐의 배치에 따른 웨이퍼 이송 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동일 유량에서 추진속도가 훨씬 증가된 형상인 Type B(노즐 집중형)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제조장비와 이송장비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에서의 웨이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평균 16초 이내에 매우 안정된 공기부상 방식의 웨이퍼 낱장이송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 PDF

A Design of Suspension Controller for Magnetic Levitation System Using Gain Scheduling Control (이득계획제어에 의한 자기부상시스템의 부상제어기 설계)

  • Byun, Yeun-Sub;Cho, Tae-Shin;Kim, Young-Ch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6
    • /
    • pp.57-66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design methods of suspension controller for magnetically levitated system(MAGLEV). In this interior, the study of Electromagnetic Suspension(EMS) which has several advantages is chiefly achieved but, because the EMS has highly nonlinear and unstable property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suspension controller maintaining stability and high performance. Here a Gain Scheduling Control(GSC) based on pole-placement scheme and on linear quadratic gaussian(LQG) design is separately presented. The several control performance is shown by simulation.

  • PDF

Magnetic Levitation Control through the Introduction of Bogie Pitch Motion into a Control Law (대차 피치운동을 반영한 흡인식 자기부상제어)

  • Ha, Chang-Wan;Kim, Chang-Hyun;Jo, Jeong-Min;Lim, JaeWon;Han, Hy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8 no.2
    • /
    • pp.87-93
    • /
    • 2015
  • The uneven reaction surface profile facing the lift magnets in attractive Maglev vehicles naturally brings about pitch motion of the bogie. In particular, in the placement configuration of the long stator of the linear synchronous motor (LSM) on the track for high-speed propulsion, surface irregularities and the offsets between the stator packs create measurable airgaps, i.e., the clear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stator, with discontinuously extreme values, resulting in bogie pitch motion. This occurs because the airgap velocities and accelerations derived by the differentiations of the measured air-gaps are used to determine the voltages applied to the magnets. This paper incorporates bogie pitch motion into a control law for each magnet controller to reduce the variations in both the airgap and the pitch angl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analyzed using a full-scale Maglev vehicle running over a test track.

Zero Power Control for an Attraction Type Magnetic Levitation System using Disturbance Observer (흡인식 자기부상 시스템의 외란관측자를 이용한 최소전력 부상제어)

  • Ahn, Joon-Seon;Yu, Sun-Jong;Kim, S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12
    • /
    • pp.41-47
    • /
    • 2009
  • In this paper, authors performed improvement of control characteristics of an attraction type magnetic levitation system. The attraction type magnetic levitation system has an inherent instability in the system, therefore its controller must have not only proportional-integral gain but also differential gain additionally. In this paper, authors were proposed control algorithm using disturbance observer(DOB) on feedback signal. The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s were performed for its verification.

자기부상철도의 현상과 전망

  • 정전영개;권병일
    • 전기의세계
    • /
    • v.37 no.4
    • /
    • pp.58-70
    • /
    • 1988
  • 이하에서는 자기부상철도의 기본적인 동작원리와 특징, 개발 및 실용의 현상, 고속 시스템의 실용화의 전망, 종래의 철차륜, 철레일 방식의 철도와 비교했을 경우의 특징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The Analyses and Measurements of Electromagnetic Fields for the Urban Maglev Vehicle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의 전자파 측정 및 분석)

  • Kim, Bong-Seup;Kim, Young-Jung;Park,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c
    • /
    • pp.14-17
    • /
    • 2007
  • 자기부상열차는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부상용 전자석으로 주행선로와 10mm 내외의 부상상태를 유지하면서 교류 전원을 이용한 선형 유도전동기로 추진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차 모델의 자기부상열차에 대한 전자파를 측정하여 국내 전자파인체보호기준 및 세계 권고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Magnetic Forc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agnet for Magnetic Levitation Conveyor (자기부상식 이송장치용 전자석의 자기력 특성 해석)

  • Lee, Sung-Hyung;Sin, In-Sub;Cho, Yun-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99-10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자기부상방식의 이송장치의 부상 및 안내력을 발생시키는 주 전자석의 자기력 특성해석에 관해 연구하였다. 부상용 전자석의 자기력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 이론적 해석 방법에 의한 등가 자기 부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제어 변수에 따른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시뮬레이션값과 유한요소법예 의한 계산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FM용 자기부상 스테이지를 위한 Halbach Magnet Array 특성해석

  • 최현승;염우섭;박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2-162
    • /
    • 2004
  • 위치결정 기술은 초정밀 미세 기술의 발달과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고정밀화가 가속화되어 현재는 나노미터 수준의 위치정밀도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어지는 표면형상 측정기인 AFM은 분해능과 정밀도는 우수하지만, 이송 스테이지의 제한으로 측정영역이 좁은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이중서보를 사용한 방식들이 많이 제안되어 왔고 단일 서보를 사용하는 방식들도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중서보 방식은 여러 가지 액츄에이터와 컨트롤러를 사용해야하므로 제어알고리즘과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