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산 남항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한 사업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77-79
    • /
    • 2023
  • 국내 대표 해양도시인 부산시는 도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북항재개발지역과 원도심지역을 연계한 복합형 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남항은 북항과 원도심지역에 맞닿아있지만 고유의 특성이 고려되지 못하고 복합형 재생사업에 종속된 개발 압력을 받아왔다. 최근 해양관광벨트 형성에 있어 부산남항의 입지적 중요성과 북항·원도심지역과의 연계 필요성이 대두되며 부산남항을 대상으로 다양한 개발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항만재개발사업의 경우 대규모 SOC사업으로 추진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 재정 문제 등의 여러 문제가 야기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사업이 표류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해 필수적인 항만재개발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추진전략과 민간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남항 재창조를 위한 수변공간계획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9-131
    • /
    • 2023
  • 부산남항은 부산도심의 중심지에 위치한 연안항으로서 지난 1세기동안 수산업, 수리조선업을 토대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항만기능의 축소, 항만시설 노후화, 수변과의 단절. 주변지역 침체 등으로 항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고 남항을 둘러싼 주변 여건이 급격하게 변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산남항의 기능재편 및 공간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남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는 항만이 차지하던 수변을 친수공간을 비롯한 다목적 도시공간으로 재개발하여 시민과 관광객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재창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변공간, 수변경관, 수변활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산남항의 재창조를 위한 수변공간계획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남항 선박통항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해상교통 조사 분석 및 대책 방안 연구

  • Kim, Seok-Jae;Kim, D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06-208
    • /
    • 2010
  • 부산남항은 개항질서법상 항계 밖으로 1975년부터 부산시가 관리권을 위임받아 관리하는 지방정부가 관리하는 항구로서 하루 평균 약 450여척의 선박이 계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빠르게 운항하는 여객선, 냉동운반선, 수리조선소의 각종 이동선박 및 어선 등 많은 선박이 통항하고 있으나 선박통항의 해상교통관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항상 선박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부산남항 선박통항의 안전성 증대와 안전사고 대책 등을 대비할 수 있는 총체적인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부산남항의 해상교통 상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적합한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 그 장단점 비교 분석한다. 해상교통량을 조사한 결과 하루 평균 1,157척, 1시간 평균 48척으로 선박통항량이 가장 많은 시간인 16~17시 사이에는 120척의 선박이 통항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박통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을 반드시 운영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좁은 수역에 가장 효율적인 선박 안전관리시스템을 설계 분석하여 그 대책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 Companies in Gwangyang, Busan and Incheon Port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별 효율성 분석)

  • Kim, Jae-Young;Chin, Hyung-In;Kim, Soo-Ma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4
    • /
    • pp.187-205
    • /
    • 2011
  • In considering the size of container logistic flow of Korea, one-port as a hub port is desirable in Busan Port, but as development of Busan Port and Gwangyang Port began as two-ports, they are good as mega hub ports. In case when ports of other regions such as Incheon Port are additionally developed, it is very likely that they become feeder ports rather than mega hub ports. As capital area uses Incheon Port and Pyeongtaek Port for transportation, fierce competition arises due to excessive facilities of terminal companies and it is not easy to be profitable. Therefore, it is more profitable to develop regional hub ports centering on near-sea routes of Korea China Japan rather than local ports such as Incheon Port and Pyeongtaek Port for intensive trade and transportation in the capital area. To mitigate excessive competition between container terminal companies, we need administrative guidance to maintain adequacy through comparing tariffs between ports of Japan and China which are in competitive relations with Korean ports. This study analysed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 companies in Gwangyang Port, Busan Port and Incheon Port using data for five years from 2006 to 2010. As analytical variables, length of quay, floor area of yard, the number of cranes and employees were analytical variables and a total freight volume was a productive factor.

부산남항 수변경관 현황분석 연구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07-309
    • /
    • 2022
  • 항만경관은 항만의 특징을 드러내는 매력적인 요소로서 항만재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고있다. 최근에는 항만재개발사업에 있어 항만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항만 고유의 특색을 살린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통해 수변경관을 개선함으로서 사람들이 모이는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고자 한다. 도심의 친수공간으로서 잠재력이 큰 부산남항은 다양한 수변공간계획 및 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관련 기존 항만개발사업은 기능성과 경제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수변경관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남항의 경관을 개선하고 매력적인 항만으로 변모하기 위한 수변경관계획 수립을 하기 위해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부산남항을 7개 지구로 구분하고 각 지구의 수변경관(색채, 랜드마크, 야간경관)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구별 수변경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지속가능한 항만 수변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부산남항을 중심으로-

  • 최혜린;강영훈;이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36-338
    • /
    • 2022
  • 항만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야기된 문제 해결과 도시의 회복을 위해 주요 항만도시들은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항만재개발을 시도하였다. 국내 대표 항만도시인 부산광역시에서는 원도심 활성화와 해양관광 거점 조성, 도시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북항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북항과 원도심에 접해있는 남항재개발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남항의 수변공간을 대상으로 기초조사, 현황조사를 진행하여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항만의 지속가능한 요소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수변공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in Sediment Around Busan Southern Port (부산 남항 해저퇴적물 중 유기오염물질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Min, Byeong-kyu;Lee, Jong-Hyuk;Ju, Mijo;Cho, Chonrae;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6 no.2
    • /
    • pp.206-218
    • /
    • 2020
  • Located mostly inside the megacity of Busan, the Busan Southern Port is a multifunctional port with various nearby industry activities, including a joint fish market, ship repair facilities, and fishing boat facilities. If toxic chemicals generated by the industrial activities continue to flow into and accumulate in the sediment of the port, they can affect aquatic ecosystems and humans. Therefore, in this study, distribution levels and potential influent sources of organic pollutants, includ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butyltin compounds (BTs), in the sediment were investigated. Th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ight sampling sites in November 2013 (first phase) and November 2014 (second phase). The mean concentrations of PAHs, PCBs, and BTs in the first and second sampling phages were 4174.0 ng/g-dry wt. and 1919.0 ng/g-dry wt., 166.3 ng/g-dry wt. and 21 ng/g-dry wt., and 50.9 ng/g-dry wt. and 30.8 ng/g-dry wt.,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he organic pollutants detected in the seabed sediments were lower in the second phase than in the first phase. In this study, the inflow sources of PAHs, PCBs, and BTs were found to be combustion, land, and municipal sewage or industrial wastewater, respectively.

도시형 해상관광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부산 영도를 중심으로 -

  • Jeon, Je-Byeong;An, 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2-254
    • /
    • 2019
  • 최근 부산 영도를 중심으로 해상관광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그에 따라 해상관광에 대한 법률 및 항로 개정, 부산 북항-남항에 대한 여건변화가 지난 몇 년에 걸쳐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영도에서 이뤄지는 해상관광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양도시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형 해상관광 네트워크 구축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부산의 무인도서를 활용한 입체적 해양관광에 관한 연구

  • An, Ung-Hui;Kim, Byeong-Guk;Jang,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06-208
    • /
    • 2012
  • 부산은 자연적 지리적 인문적 조건은 물론 도시적 위상으로 볼 때, 한국 최고의 해양관광지임에 분명하다. 특히 다대포에서 송도와 남항 북항, 광안리, 동백섬, 해운대를 거쳐 미포와 청사포 그리고 송정, 일광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해안선은 모두 강력한 배후도시의 인프라를 갖춘 상태이다. 때문에 도시의 첨단 활동과 바닷가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레저활동이 어우러진 해양관광 1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견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보다 다양한 해양레저를 하기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만일 해상, 해중에서 가능한 다양한 레저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각종 제반시설과 제도가 운영된다면 부산은 진정한 의미에서 입체적인 해양관광수도가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산에 존재하는 수십 개의 무인도서는 청정한 해양생태환경 속에서 해양레저활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천연의 자원이 된다.

  • PD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in the vicinity of Pusan Harbor Area in Winter (겨울철 부산항 주변해역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 PARK Young-Chul;YANG Han-Soeb;LEE Pil-Yong;KIM Pyoung-Joo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8 no.5
    • /
    • pp.577-588
    • /
    • 1995
  • The chemical constituents for the seawater and sediment were measured to evaluate pollution in the sea around Pusan Harbor in winter, n992. The average value of trophic state index (TSI) was 19.4 at the outside of Buk Harbor, 50,4 at the inside of Buk Harbor, 56,3 at the Nam Harbor and 5,0 at the Kamchun Harbor. The high correlation found in salinity-nutrients diagram with AOU suggested that the enrichment of nutrients in Pusan Harbor during winter was mainly due to the influx of terrestrial effluents and partially by regenerated nutrients from suspended organic matters in the water column. The mean values of total ignition loss (TIL), COD and total sulfide in the surface sediments were$12.1\%$, 17.5 mg/g.dry wt. and 1.18 mg/g.dry wt. respectively. The highest level of those parameters was shown mostly at the inside of Buk Harbor. The mean concentr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organic nitrogen (TON), and total phosphorus were 24.9 mg/g.dry wt., 1.3mg/g.dry wt. and 0.69 mg/g. dry wt., respectively, Both of the highest level for TOC and total phosphorus have found at the Nam Harbor.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level for TON was found at the inside of Buk Harbor. The TOC/TON atomic ratio with a range of 10.2-60.2 (mean value of 22.5) strongly indicated the active role of the input from the terrestrial organic pollut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