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산해안지역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Vegetation Structure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in Coastal Forest of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부산광역시 해안림 곰솔군락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 Shin, Hae-Seon;Lee, Sang-Cheol;Choi, Song-Hyun;Kang, Hyun-Mi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3 no.5
    • /
    • pp.539-55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forest Pinus thunbergii community in Busan Metropolitan City (BMC) and to establish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coastal forest in BMC in the future. We set up 97 plots with an area of $100m^2$ each for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using the TWINSPAN and DCA techniques found seven community groups: Pinus thunbergii-Quercus alien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1)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2) community, Pinus thunbergii-Quercus serrat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1)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2)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Camellia japonica commun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Pinus thunbergii was a main dominant species at the canopy layer in all sites while Eurya japonica and Camellia japonica were dominant species at the understory layer. Pinus thunbergii-Quercus serrata community is predicted in the forest succession because of the competition between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serrata in the canopy layer and the understory layer. As such, it is necessary to observe changes by continually monitoring this community. Tree species with strong salinity tolerance, including Pinus thunbergii, have formed community groups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s, strong with salinity tolerance species are forming community groups. Therefore, all community groups except for the Pinus thunbergii-Quercus serrata community will maintain the current vegetation structure unless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occur.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system at Coastal Area Based on SWMM and HEC-RAS Models (SWMM과 HEC-RAS 모형을 이용한 해안 도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 Shin, Hyun-Suk;Park, Yong-Woon;Kim, H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16-82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도시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홍수 재해 발생시 예상될 수 있는 피해에 대해 적절한 홍수예경보 및 피난대책을 수립하고자 대표적인 해안 도시 하천의 특성을 가지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치지도에서 각종 지형자료를 추출하였고 수문 GIS 자료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하천 수리 분석을 위한 한계유출량 산정을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 조위의 영향을 고려하여 홍수위 및 한계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수문 분석을 위한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 산정을 위해 PCSWMM 2002를 이용하여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전형적인 해안 도시 지역 유역 특성을 나타내는 부산시 온천천 유역에 대한 경보발령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정지점 세 곳의 한계수심 $H_{c1},\;H_{c2},\;H_{c3},\;H_{c4}$가 발생할 수 있는 강우량(위험 홍수량을 유발하는 위험 강우량(Trigger Rainfall))을 산정하였고 PCSWMM을 이용한 모형화 기법으로 해안 도시 돌발 홍수 기준 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온천천 유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과 이에 따른 홍수예경보 발령흐름도, 운영체계가 결정되어 해안 도시 돌발 홍수예경보 방안이 구축되었다. 해안 도시의 홍수 관리는 도시 우수 시스템, 하천, 해안 특성이 복합된 문제이다. 현재 해안 도시 지역의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 실적이 전무한 실정임을 볼 때 현실적으로 실용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해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앞으로 더욱 심도있게 연구하여 주요 하천에 대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a Coastal Area in Busan, Korea (부산 해안가 도심지역의 지하수 오염 특성)

  • Kim, Tae-Hyung;Chung, Sang-Yong;Park, Nam-Sik;Kim,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6-2031
    • /
    • 2010
  • 연구지역인 수영지역은 부산 동남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으로서 수영만과 수영강에 직접 접하고 있어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에서 해수면 이하의 지하수 수위가 분포하고 있고, 이에 따른 지하수 수위 하강의 발생 원인과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및 현장 간이수질(수온, 수소이온농도, 산화-환원전위, 전기전도도, 염도, 용존산소)의 현장조사는 갈수기(2007년 12월)와 풍수기(2008년 7월과 2009년 8월)로 구분하여 약 140여개 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정밀 지하수 수질 분석을 위하여 2009년 8월에 50지점의 수질 시료(지하수 44지점, 유출지하수 1지점, 수영강 2지점, 해수 3지점)를 대상으로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을 조사한 결과, 갈수기와 풍수기에 상관없이 지하수 수위가 해수면 이하인 지역에서는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지하수 수질 유형은 일반 지하수를 지시하는 $Ca(HCO_3)_2$ 유형, 해수침입이나 인위적인 오염 가능성을 지시하는 $NaHCO_3$ 유형, $CaSO_4$ 유형 및 $CaCl_2$ 유형과 직접적인 해수침입을 지시하는 NaCl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하강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하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량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하수 이용량 조사 결과, 306개소에서 $1,531,000m^3$/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하철의 유출지하수량은 6개의 역사에서 $751,000m^3$/년이 발생하고, 이는 지하수 개발가능량인 $951,000m^3$/년의 2.4배를 초과하여 지하수가 배출되어 지하수 수위하강을 초래하고 있다.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발생하는 지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영만에 위치한 광안리해수욕장의 유락시설이 밀집한 지역과 유출지하수가 발생하는 역사 주변 지역에서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는 지하수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에 의해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이들 지역에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영강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수영강의 유입으로 지하수가 염수화 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Wind Environment at Waterfront in Busan - About Haeundae, Suyoungman and Gwanganli - (부산해안지역 워터프런트의 풍환경 분석 연구 -해운대, 수영만, 광안리 대상으로-)

  • Doe, Geun-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5
    • /
    • pp.369-374
    • /
    • 2009
  • Recently, the number of design for open-spaces at waterfront, such as open-air restaurant and cafeteria, has been increasing to provide openness and natural environment of waterfront. However, when planning open-air restaurant and cafeteria,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climate characteristic of waterfront, especially wind environment, since the waterfront has a special quality of climate like low-temperature and strong wind which differs from downtown or inland In this study, wind environments of Haeundae, Suyoungrnan, and Gwanganli, the famous waterfronts in Busan, were investigated for design of open-air restaurants and open cafeteria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aterfront area of Haeundae, Suyoungman, and Gwanganli is suitable for open-air restaurant and open cafeterias; and 2) the appropriate period for open space in this area is from the end of March to November.

Production of Flood Expectation Map in the Reclaimed Land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안 매립지역 침수예상도 제작)

  • Lee, Jae-O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4
    • /
    • pp.97-102
    • /
    • 2007
  • Recently, coastal damage according to the natural disaster like storm-surge, overflowing of the sea has been massively increased. In case of earth fill at the seaside, there are a lot of weak areas of the natural disaster and it has also high possibility that a large disaster happens. Thus flood expectation map in the reclaimed land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was produced in this study. The area around Myungji, Kangsugu, Busan which was made with the large scale earth fils at the seaside was designated as a study area. Observation of both costal datum and ground height using the tidal date and field surveying dates was conducted. Terrain model using the GIS program was produced and than 3D building model was produced using 3D MAX. It was shown that there are possibility more than 50% if over 4.5m storm-surge is happening,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virtual flooded area on the produced cartographic map.

  • PDF

The tidal effect of seawater/freshwater interface at the coastal aquifer of the Yongho Bay in Busan (부산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해수/담수 경계면의 조석효과)

  • Kim, Sung-Soo;Kang, Dong-Hwan;Kim, Byung-Woo;Kim, Tae-Yeong;Chung,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60-196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용호만 해안대수층에서 전기전도도와 지하수위의 수직적인 관측을 통해, 조석에 의한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을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기숙사 신축부지 주변 해안대수층이며, 응회질퇴적암과 안산암 및 안산암질 화산각력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측공의 개발심도는 120 m, 케이싱심도는 19 m, 내경은 0.2 m, 관측공과 해안선의 이격거리는 180 m 정도이다. 전기전도도에 의해 산정된 밀도는 담수에서 997.58 $kg/m^3$, 해수에서 1020.36 $kg/m^3$ 이었다. 관측기간(2008년 8월 21일${\sim}$10월 18일) 동안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 범위는 해수면 기준 -21.69${\sim}$-21.53 m 이었으며, 경계면의 평균 위치는 해수면 기준 -21.62 m 정도이었다. 해수/담수 경계면과 지하수위의 상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해안대수층 내 해수/담수 경계면의 변동은 조석의 일(고조, 저조) 및 보름(대조, 소조) 단위의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지하수위는 전반적으로 하강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측기간이 풍수기에서 갈수기로 전환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용호만 해안의 해수면 상승에 의한 내륙으로의 해수침투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Analyzing Sand Transfer Path by Songdo Bea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시계열 분석을 통한 송도해안의 해안사구 이동경로 분석)

  • Han, Chung-Mok;Kim, Yong-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8
    • /
    • pp.384-391
    • /
    • 2009
  • The coastline area, which was the important to decide the shape of the national l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ing its shapes and features. We have some trouble to make the appropriate use-plan, because of the huge land to be reclaimed from the sea and developing large and small coast areas. Of them the coastal sand dune plays a definite primary role in the side of tourism and ecology. But there is not enough study for that. Busan Songdo coast is decided as an object of this study. We would analyze transfer path of the coastal sand dune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with RTK-GPS survey for many years. In case of Song do coast, the mean coastline length is approximately 620m, the area is approximately $31,846m^2$. Breakwaters are set up in right and left sides in Song do coast. it can make the sand dune be a minimum. So the coastal sand dune is steadily deposited with a certain beach nourishment of every year. As a result of 7 times survey, both sid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 eroded. It turns out it is going ahead over all as the center of the coastal sand dune is deposited.

Review on Marine Terraces of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Gangreung - Busan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 Choi, Sung-Ja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5
    • /
    • pp.409-425
    • /
    • 2019
  • Marine terraces, a step-like landform, are important geologic markers that provide tectonic information during the Quaternary Period. Marine terraces are well developed along all coastlines(East, West, and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hose along the East coastline are the most distinctive. The marine terraces of the East coastline are classified into 4-6 flights that are several meters or several tens of meters above the present sea level. It is believed that these terraces, except for the lowest one, were formed in the middle Pleistocene. In the base of the OSL age dating results and Blake excursion events of magnetostratigraphy, the $2^{nd}$ and $3^{rd}$ terraces are correlated to the last interglacial stage. Considering the marine terraces linked to a sea-level curve of the Pleistocene, it is thought that regional tectonic movements have uplifted the East coastal area since the middle Pleistocene. Besides, former shorelines of each terrace have varied elevations from Gangreung to Busan bay, which can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namely, Gangreung-Yonghanri(I), Homikot-Najung(II), Najung-Bangeojin(III), and Waesung-Busan Bay(IV). The former shorelines of each terrace at both Gangreung-Yonghanri(I) and Najung-Bangeojin(III)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wo regions, due to block movements by regional faults such as the Ocheon Fault or its subsidiaries, the Gampo Lineament and Ulsan Fault. Uplift rate of the East coast ranges from 0.2 m/ky to 0.3 m/ky, but each region shows different uplift rate.

Evaluation of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영도해안의 야간경관평가 연구)

  • Lee Han-Seok;Lee Myung-Kwon;Oh Sang-Bae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9 no.3 s.99
    • /
    • pp.283-29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astal nightscape of Yeong-Do in Busan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of coastal nightscape. Firstly the coastal area of Yeong-Do has been divided into 8 nightscape sections. And then the nightscape images of each section have been evaluated by volunteer subjects through SD(semantic differential) analysis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