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부분 절제술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7초

내측 원판형 연골 - 증례 보고 - (Discoid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나경욱;김동환;김영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8-221
    • /
    • 2005
  • 원판형 연골은 주로 슬관절의 외측에 나타나며 내측 원판형 연골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41년 Cave와 Staples가 처음으로 내측 원판형 연골을 보고한 이후 드물게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8세 남아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및 관절경을 이용하여 내측 원판형 연골을 진단하였고 관절경하 연골판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양측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반대편 연골에 대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정상이었다. 저자들은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원판형 연골 환자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CO_2$ 레이저와 일반 수술도를 이용한 백서의 부분적설 절제술 후의 창상치유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WOUND HEALING FOLLOWING PARTIAL GLOSSECTOMY OF RAT TONGUE USING CO2 LASER AND SCALPEL)

  • 장재필;김경욱;이재훈;김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5호
    • /
    • pp.437-445
    • /
    • 2000
  • Obje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CO_2$ laser and scalpel by examining the overal process of wound healing after partial glossectomy of rats so that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could be easily applied to actual clinical environment. Method and Material In this research, 2mm defect was formed on both lateral borders of the tongue of rats by using $CO_2$ laser and scalpel respectively. 4rats were sacrified each time on the 1st, 2nd, 4th, 7th, 14th and 21th day according to a general method. After fabricating $5{\mu}m$ paraffin specimen, H&E staining and MT staining were performed. Results Compared to scalpel, wound healing by $CO_2$ laser leads to a earlier initiation of vascular proliferation and re-epithelization. Therefore, some influence is exerted on the early stage of wound healing. However, the two methods seem to undergo the similar healing process.

  • PDF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을 일으킨 쇄골하동맥 맥관 육종 -1례 보고- (Arterial Thoracic Outlet Syndrome due to Angiosarcoma of the Subclavian Artery a case report)

  • 이철범;함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60-1165
    • /
    • 1996
  • 저자들은 지금까지 발생보고 예가 없는 좌쇄골하동맥 맥관육종 1례 수술을 치험하였다. 제 1늑골의 기형이 있는 19세 여자 환자로, 1년 전부터 점진적으로 심해진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의 증상을 나타냈다. 쇄골 중앙부를 절제한 후 폐쇄된 쇄골하 동맥 제 3부분과 상완 동맥 분절을 절제하고 대복재 정맥을 이용하여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쇄골하 동맥의 병리 조직 소견은 벽재성형 맥관 육종이었으며 혈액 응고 인자 WII과 관련되는 항원에 대한 조직 화학적 염색 소견도 양성이었다. 수술전 일상 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 심한 증상이 수술후 거의 소실되었으며, 수술후 4개월된 현재 직장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 PDF

상악골에 생긴 섬유성이형성증의 치료 경험: 안면윤곽술, 부분적 상악골 절제술과 상악동 형성 (Clinical Experience of Maxillary Fibrous Dysplasia: Shaving, Partial Maxillectomy & Maxillary Sinus Formation)

  • 이윤호;주춘승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259-262
    • /
    • 2006
  • Fibrous dysplasia(FD) of the bone is a slowly progressive, benign disease of unknown cause where normal architectures are replaced with fibrous and osteoid tissue. FD of the maxilla usually manifests as a bony enlargement with painless swelling and bone deformity, contouring to facial asymmetry. The lesion may involve the nasal fossae, orbits, or alveolus bone, causing diverse functional disturbance. Treatment options range from shaving to total maxillectomy and re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presenting symptoms. Shaving, partial maxillectomy and maxillary sinus formation was performed in 5 patients with fibrous dysplasia in the past 2 years.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1 month to 11 months. Aesthetic appearance, CT findings, and relief from symptoms were compared. In all patients, facial asymmetry was restored to symmetry and nasal obstructive symptoms were improved. With this procedure, expansion of the lesion will be controlled until puberty,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disturbances. After puberty, no further treatment can be anticipated due to the growth arrest inherent to the disease.

월경성 기흉의 수술적 치험 - 2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Catamenial Pneumothorax - A report of two cases -)

  • 이진구;백효채;이두연;함석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85-288
    • /
    • 2008
  • 이십대에서 삼십대 사이의 여성에서 월경주기와 연관되어 반복적으로 기흉이 발생하는 경우 월경성 기흉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월경성 기흉은 월경의 시작 전후 72시간 이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기흉으로 그 원인과 병태생리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2명의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월경성 기흉에 대하여 자궁내막증 및 횡격막 결손을 포함하는 횡격막 부분 절제술을 통한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폐의 원발성 평활근육종 (Primary Leiomyosarcoma of The Lung -One case report-)

  • 김형수;지현근;이원용;김응중;홍기우;남은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907-910
    • /
    • 1998
  • 원발성으로 폐에 발생하는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은 매우 드물다.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46세 남자환자의 좌측 폐상엽기관지에서 발생한 종 양을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발견하였다. 객담검사및 기관지내시경하 조직생검에서 종양세포는 발견되 지 못하였다. 환자는 좌측 수상 폐상엽 절제술을 통해 폐실질에 부분적으로 침범된 기관지내에 발생한 종양을 제거 하였다. 술후 현미경하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종양세포는 이형성 방추형세포로 15/10HFP의 유사분열을 하고 있었고 긴다발로 배열되어 있었으며,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상 smooth muscle actin과 desmin에 양성으 로 염색되었다. 종양은 폐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한 평활근육종으로 진단되었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바이다.

  • PDF

원발성 자연 기휴의 기포절제술에서 2mm 비디오 흉강경의 유효성 (Availability of 2mm videothoracoscope in Bullectomy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이연재;박철;김종석;김한용;유병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21-625
    • /
    • 2001
  • 수년동안 원발성 자연 기흉의 기포 절제술에서 10mm 비디오 흉강경이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저자는 수술창상을 줄이기 위하여 2mm 비디오 흉강경을 사용해왔다. 그래서 2 mm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경우와 10 mm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기포 절제술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1998년 4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원발성 자연 기흉으로 기포 절제술을 시행한 118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53례의 환자는 2mm 비디오 흉강경(A군)을, 65례는 10 mm 비디오 흉강경(B군)을 이용한 기포절제술을 받았다. 환자들의 연령은 A군에서 평균 20.2$\pm$0.9세, B군에서 평균 20.1$\pm$6.1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A군 10.9$\pm$3.8개월, B군 11.4$\pm$4.3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시간은 A군이 B군보다 짧았다(55.7$\pm$22.9분, 71.2$\pm$21.4qns, p<0.05). 술후 입원기간은 A군이 B군보다 짧았다(7.2$\pm$3.2일, 9.2$\pm$3.6, p<0.05). 술후 흉관 거치기간은 A군이 B군보다 짧았다(4.7$\pm$3.1일, 6.3$\pm$2.8분, p<0.05). 술후 흉관을 통한 공기 누출(A군 0.6$\pm$2.1일, B군1.0$\pm$2.4일, p>0.05), 술후 통증 경감을 위해서 사용한 하루 진통제(A군 1.38$\pm$1.04 앰퓰, B군 평균 1.66$\pm$1.37 앰퓰, p>0.05)은 양군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술후 창상은 A군이 B군보다 줄어들었으므로 우수한 미용적 효과가 있었다. 결론: 양군간의 비교에서 2 mm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기포저제술이 10 mm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경우보다 임상적 성적이 떨어지는 부분이 없을 뿐아니라 창상을 더욱 줄임으로써 미용적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원발성 자연기흉의 수술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하악골에 발생한 골육종의 치험예 (Osteogenic Sarcoma of the Mandible)

  • 변상길;이희경;진병로;김태주;김영준;김종원;이정미;도기용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73-178
    • /
    • 1987
  • 저자 등은 1986년 8월에 하악 우측 대주치 부위의 치조융선에 종창과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23세의 남자 환자에서 임상소견 방사선사진소견 및 생검으로 골육종이라 진단하고 하악골의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며 앞으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재발 여부를 확인한 후에 골 이식술 및 보철시술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S상 결장 염전증 1예 (A Case of Sigmoid Volvulus in a Child)

  • 이동한;위주희;박현석;김해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199-203
    • /
    • 2010
  • 본 증례는 1년 전부터 갑작스럽게 복부팽만과 복통이 반복하다 내원 10일 전부터 심한 복통과 복부팽만, 구토가 발생하여 내원한 9세 남자 환자이다. 복부 X-선 촬영과 바륨 관장 등의 검사로 S상 결장 염전증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염전 정복과 감압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수술 시야에서 심하게 확장되고 비정상적으로 긴 S상 결장과 굵은 혈관이 포함된 결장간막이 관찰되었고 S상 결장의 원위부 및 근위부에서 좁아진 부위를 확인하여 이 부분을 포함한 S상 결장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환자는 5년 동안의 추적관찰에서 증상의 재발이 없었다.

유치열에 나타난 삼중치에서 치수 치료 : 증례 보고 (Pulp Treatment of Triple Tooth in Primary Dentition: Two Case Reports)

  • 정한글;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2-199
    • /
    • 2016
  • 유치열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삼중치는 세 치아의 비정상적인 융합으로 나타난다. 몇몇 문헌들에서 이중치에 대해 보고하고 있지만, 삼중치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다중치는 유치열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며, 몇 가지 임상적 문제점을 나타낸다. 심미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치아 우식증 및 파절에 취약함, 영구 치배의 결손, 교정적, 치주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복잡한 치아 구조로 인해 치수 치료를 어렵게 한다. 첫 번째 증례는 만 1세 7개월 남아의 상악 유전치부에 나타난 삼중치로, 깊은 우식으로 치수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를 이용하여 부분 치수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만 1세 9개월 남아의 하악 유전치부에 나타난 삼중치로 파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파절편 조각을 제거한 뒤, 잔존 치아에서 치수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각각 24개월, 6개월간의 정기 검진시까지 특별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복물 또한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