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 음장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for Virtual Reality (가상 현실에서의 음장 재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임준희;김순협;고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01-104
    • /
    • 1999
  • 완벽한 가상 현실을 재현하려면 사람의 오감을 실제 세계 수준으로 정교하게 재현해야 한다. 현재 시각 효과는 상당히 발전해 있으나, 청각적, 음향적 부분은 아직도 발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가상 현실을 위한 음향은 크게 HRTF등을 이용한 음상 정위와, 음장 재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현실 체험자의 이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음장을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전처리 부분과 실시간 처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음장을 계산하여 실시간 처리 부분에서 체험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음장을 재현한다.

  • PDF

부분 소음원들의 포함과 삭제를 위한 STSF 기법에서의 Reference의 사용

  • Hald, J.
    • Journal of KSNVE
    • /
    • v.2 no.1
    • /
    • pp.3-14
    • /
    • 1992
  • 음장의 공간적 변환(Spatial Transformation of Sound Field; STSF)기법의 주요 원리를 간단히 소개한 뒤, STSF에서 Reference 신호의 사용을 보다 상세히 취급하고자 한다. Reference의 보통의 형태(표준 Reference)는 음장 모델에 포함될 전체음장의 일부분, 즉 이 Reference의 연관이 있어 포함될 부분을 결정한다. 결국 한 개 의 표준 Reference는 항상 적용되어져야 한다. 2번째 Reference의 형태(삭제용 Reference)는 모델로부터 원치 않는 무관한 음장성분을 제거하는데 적용된다. 이 Reference와 밀접한 음장 부분이 모델로부터 제거될 것이고, 그렇지 않는 경우는 포함된다. 실제 예에서는 삭제용 Reference가 암소음의 억제와, 음원의 어떤 독립 적인 성분의 억제를 위해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보인다.

  • PDF

A Study on Real-Time 3D Sound Rendering for Virtual Reality Environment (VR환경에 알맞은 실시간 음장구현에 관한 연구)

  • Chae, Soo-Bok;Bhang, Seung-Beum;Shin, Hwang;Ko, Hee-Dong;Kim, Soon-Hyob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197-200
    • /
    • 2000
  • 본 논문은 VR시스템에 사용되는 실시간 음향제시를 위한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2개의 Speaker 또는 헤드폰을 사용하여 음상제어, 음장제어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상제어 부분은 각각의 음원의 위치를 정위하고, 음장제어 부분은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기법을 이용하여 음장을 시뮬레이션하고 가상 공간의 음장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음원에 적용하면서 실시간으로 음장효과를 렌더링 한다. 이 시스템은 펜티엄-Ⅱ333MHz 시스템에서 구현하였다. 최종적으로 청취자는 2개의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이용하여 3D음장을 경험하게 된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Method of Sound Field Generation for Virtual Reality (가상 현실에서의 효과적 음장 재현에 관한 연구)

  • Yim Joonhee;Bang Seungbeum;Hwang Shin;Kim Soonhyob;Cheung Wansup;Kwon Hyusa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57-160
    • /
    • 1999
  • 지금까지 가상 현실 또는 가상 환경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그 대부분이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에 치우쳐 있었다. 그 결과로 3D 그래픽등 시각적 효과에 관한 부분은 상당한 수준에 올라 있으나 청각적, 음향적 부분은 아직도 발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가상 현실을 위한 음향은 크게 HRTF등을 이용한 음상 정위와, 음장 재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현실 체험자의 이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음장을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전처리 부분과 실시간 처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음장을 계산하여 실시간 처리 부분에서 체험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음장을 재현한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for Virtual Reality (가상 현실에서의 음장 재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Yim Joonhee;Kim Soon-hoyb;Ko Heedo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13-216
    • /
    • 1999
  • 완벽한 가상 현실을 재현하려면 사람의 오감을 실제 세계 수준으로 정교하게 재현해야 한다. 현재 시각 효과는 상당히 발전해 있으나, 청각적, 음향적 부분은 아직도 발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가상 현실을 위한 음향은 크게 HRTF등을 이용한 음상 정위와, 음장 재현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현실 체험자의 이동에 따라 효과적으로 음장을 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전처리 부분과 실시간 처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음장을 계산하여 실시간 처리 부분에서 체험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음장을 재현한다.

  • PD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und field in partially opened rooms - Emphasis on horizontal coupling of diffuse and non-diffuse field - (실내공간의 부분적 개방에 따른 음향특성변화 I - 확산음장과 자유음장의 수평적 결합을 중심으로 -)

  • Jeong, Dae-Up;Choi, Young-Ji;Kim, Ji-Young;Oh, Yang-Ki;Choi, Seok-Ju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2 s.24
    • /
    • pp.105-114
    • /
    • 2007
  • Large span spaces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sports events in other countries. Due to increasing demands on multi-purpose use of such spaces, recently built large span sport facilities such dome stadiums have been required to accommodate sport events as well as performing events. Also, retractable ceilings and/or walls were generally adopted in those spaces for providing various event conditions. It seems obvious that the openings between diffuse fields and free field may cause difficulties in the acoustic design of such spaces In the present work,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n-diffuse field has been investigated using 1/10 acoustic scale models. It was found that RTs at low- and mid-frequencies decayed faster than those at high-frequencies as the percentage of opening area increased. The decay rate of RTs at high frequencies were not influenced by increasing the area of an opening. Also high dependence of EDT on the percentage of opening area was observed at all frequency range. D50 was not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of an opening up to 12.5% and then sharply increased. The application of Schroeder integration to evaluate the reverberation charateristics of coupled spaces may not be proper, since non-exponential decay process with double or triple decays of those spaces can not be properly defined. EDT seems more appropriate to predict reverberation at the early acoustic design stage of acoustically coupled spaces.

  • PDF

RSF(Royal Sound Fiel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various 3-dimensional spatial scene. (다양한 3 차원 공간 구현을 위한 RSF)

  • 라홍운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27-431
    • /
    • 1998
  • 스테레오, MIDI, MP3 등등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음상의 공간감, 거리감, 방향감, 확산감, 위치감 등이 지각을 느끼게 하는 공간적 현장감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제안은 2채널로 기록된 매체를 2채널 또는 다채널로 표현이 가능하며 영상과 더불어 두 개의 스피커만으로도 입체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음악의 경우는 장르에 따라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특징은 위치감과 방향감에 의해 음장의 형태를 구현하고 공간감 거리감을 부과하므로 입체 음장 구현을 도모한다. 그리고 확산감을 부과하므로써 실조화 공간 음장을 구현할 수있다. 본 논문은 특정한 음색을 변화하기 위하여 이퀄라이저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음장 형태를 DSP를 이용 알고리즘화 하여 구현하던 것을 본 RSF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하므로써 노이즈 측면과 PCB 패턴 부분 고려등을 고려하지 않고도 구현할 수 있다.

  • PDF

Beamforming-based Partial Field Decomposition in Acoustical Holography (음향 홀로-그래피에서 빔 형성을 이용한 부분 음장 분리)

  • 황의석;조영만;강연준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1 no.6
    • /
    • pp.200-207
    • /
    • 2001
  • In this paper, a new method for Partial field decomposition is developed that is based on the beamforming algorithm for the application of acoustical holography to a composite sound field generated by multiple incoherent sound sources. In the proposed method, source Positions are first predicted by MUSIC(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algorithm. The composite sound fields can then be decomposed into each partial field by the beamforming. Results of both numerical simulations and experiments show that the method can find each partial field very accurately and effectively, and that it also has Potential to be used for application to distributed sources.

  • PDF

On the Source Identification by Using the Sound Intensity Technique in the Radiated Acoustic Field from Complicated Vibro-acoustic Sources (음향 인텐시티 기법을 이용한 복잡한 진동-음향계의 방사 음장에 대한 음원 탐색에 관하여)

  • 강승천;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8
    • /
    • pp.708-718
    • /
    • 2002
  • In this paper, the problems in identifying the noise sources by using the sound intensity technique are dealt with for the general radiated near-field from vibro-acoustic sources. For this purpose, a three-dimensional model structure resembling the engine room of a car or heavy equipment is considered. Similar to the practical situations, the model contains many mutually coherent and incoherent noise sources distributed on the complicated surfaces. The sources are located on the narrow, connected, reflecting planes constructed with rigid boxes, of which a small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whole box structure and the reflecting bottom. The acoustic boundary element method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acoustic intensity at the near-field surfaces and interior spaces. The effects of relative source phases, frequencies, and locations are investigated, from which the results are illustrated by the contour map, vector plot, and energy streamlines. It is clearly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sound intensity technique to the reactive or reverberant field, e.g., scanning over the upper engine room as is usually practiced, can yield the detection of fake sources. For the precise result for such a field, the field reactivity should be checked a priori and the proper effort should be directed to reduce or improve the reactivity of sound fiel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und Field in Partially Opened Rooms -Emphasis on Vertical Coupling of Diffuse and Free Field- (실내공간의 부분적 개방에 따른 음향특성변화 II -확산음장과 자유음장의 수직적 결합을 중심으로-)

  • Jeong, Dae-Up;Choi, Young-Ji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5
    • /
    • pp.75-82
    • /
    • 2007
  • The present work measured and analyzed changes in the acoustics of a sound field which has a retractable ceiling. An 1/20 scale model of an openable space was built an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varying the opened area of a ceiling. The most widely used room acoustic and design parameters, RT, EDT, and D50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RT as an acoustic design parameter may not be proper in an openable space and further it is likely to mislead the initial acoustic design of such spaces. It is main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T in which non-exponential decay processes are linearly fitted. Early decay times were found to be de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ing the ratio of opened area. D50, an index of speech intelligibility, was effectively shows the influence of openings on the acoustics. It is also found that EDT and D50 at the seat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pened part of a ceiling, were almost linear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atio of opened area, while little influence was found for the opening ratio larger than 40% at the directly exposed seats to the opened part of a cei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