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부분증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aracteristics of Hollow Cathode Gas Flow Sputtering Source (할로방전 스퍼터링 소스의 특성)

  • Jeong, Jae-In;Yang, Ji-Hun;Kim, Seong-Hwan;Byeon, 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92.2-92.2
    • /
    • 2017
  • 스퍼터링은 이온화된 불활성 기체가 음의 전압이 인가된 타겟에 충돌하여 운동량 전달에 의해 타겟 물질을 떼어내어 기판에 박막을 형성하는 진공증착 기술의 하나이다. 스퍼터링은 초기에 이극 또는 삼극 스퍼터링이 사용되다가 1970년대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이 등장하면서 고속화 및 박막의 특성향상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스퍼터링 기술의 표준으로 자리를 잡았다.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그러나 타겟 효율이 30%내외로 낮고 여전히 다른 증착 기술에 비해 증발율이 낮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증발율을 향상시키고 타겟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HC-GFS(Hollow Cathode - Gas Flow Sputtering) 소스가 연구되어 왔다. GFS란 증기가 발생하는 부분과 증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진공도를 변화시켜 압력차에 의해 증기가 이송되어 증착되는 기술을 의미하며 HC-GFS는 타겟과 타겟 사이에 할로 방전을 발생시켜 이때 발생된 플라즈마로 타겟의 물질을 스퍼터링하고 스퍼터링된 입자를 압력차로 이송하여 기판에 증착하는 기술이다. HC-GSF 소스는 증발율이 향상되고 타겟 효율이 높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가졌으나 아직까지 상용화 실적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HC-GFS 소스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금속을 증착하여 상용 증발원으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Aanalysis between groundwater and evapotranspiration using in-situ dataset (현장관측 자료를 활용한 지하수와 증발산의 연관성 분석)

  • Kim, Daeun;Yang, Jeong-Seok;Kim, Il-Hwan;Lee, Jae-Beom;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4-324
    • /
    • 2018
  •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로 점차 가속됨에 따라 이로 인한 수자원 관리의 취약성이 증가되고 있는 전망이다. 물수지 순환에서 지하수와 증발산은 수자원 총량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인자로써, 두 인자의 정량적인 분석은 지표와 대기 시스템의 분석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의 담수 중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지하수로써 이는 토양의 수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지하수면이 토양과 가까울수록 토양수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증발산의 변동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하수위 및 수문인자의 변화는 지하수를 활용하는 농업 및 수자원 관리와도 연계되어 있으므로 지하수와 증발산의 연관성에 대한 정량적인 변화의 비교/분석이 필수적이다. 또한 식생의 종류에 따른 지하수 및 증발산의 거동이 달라지게 됨으로 이에 대한 영향 또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하수와 증발산의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선행연구가 아직 미흡하며, 국내 수자원분야에서의 두 인자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하여 밝힌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플럭스 타워 관측 지점 중 다른 지표 특성 및 식생 조건을 가진 지역을 선정하여 각 다른 특성의 관측 지점에서의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관측된 수문기상인자인 증발산, 강수량과 관측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수 측정망으로부터 획득된 지하수 자료를 활용하여 각 인자들 사이의 연관성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수문순환에서의 이들 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할 예정이다.

  • PDF

Study on Regenerative Rankine Cycle with Partial-Boiling Flow Using Ammonia-Water Mixture as Working Fluid (암모니아-물 작동유체의 부분증발유동을 적용한 재생 랭킨사이클에 관한 연구)

  • Kim, Kyoung-Hoon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3 no.3
    • /
    • pp.223-230
    • /
    • 2011
  • The power cycle using ammonia-water mixture as a working fluid is a possible way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of low-temperature source. In this work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the ammonia-water regenerative Rankine cycle with partial-boiling flow is analyzed for purpose of extracting maximum power from the source. Effects of the system parameters such as mass fraction of ammonia, turbine inlet pressure or ratio of partial-boiling flow on the system are parametrically investigated. Results show that the power output increases with the mass fraction of ammonia but has a maximum value with respect to the turbine inlet pressure, and is able to reach 22 kW per unit mass flow rate of source air at $180^{\circ}C$.

A Study on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Ethanolamine for Removal COD and N (COD 및 N 제거를 위한 에탄올아민의 증발 특성 연구)

  • Jeong, Eun-Sun;Kim, Jong-Young;Ku, Hee-Kwon;Rhee, In-Hyoung;Park,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423-426
    • /
    • 2008
  • 에탄올아민(ETA: Ethanolamine)은 탄소, 질소, 산소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로 각종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러한 ETA는 상온에서는 휘발성을 띠지만 산 염기의 평형상수가 9.4 이므로 그 이하에서는 양이온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수중에 존재할 경우 COD 및 T-N을 유발하는 물질이므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존재하는 ETA를 제거하기 위해 온도, pH, 내부압력에 따른 ETA 증발 특성을 조사하였다. ETA증발 초기에는 끓는점의 차이로 인하여 물이 먼저 증발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농축된 ETA가 급격히 증발하였다. 내부압력이 낮아짐에 따른 ETA 수용액의 끓는점은 낮아졌으며 내부압력이 160mmHg이하일 때 가열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ETA는 전량 증발하였다. 대기압 상태에서 ETA의 증발량은 pH에 영향을 받지만 진공상태에서는 ETA의 부분압이 낮아져 그 영향력은 매우 적었다.

  • PDF

Conditions of Desalination with Reduced Pressure Evaporation Device (감압증발장치와 해수담수화의 조건)

  • Ji, Ho;Yun, Sung Yeol;Lee, Seung Won;Moon, Deok Soo;Lee, Ho Saeng;Kim, Hyeon 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7 no.1
    • /
    • pp.8-12
    • /
    • 2014
  • Reduced pressure evaporation applies the principle of lowering water's boiling point by reducing the pressure. It uses the 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pressur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needed for elevating temperature. As the result, the highest evaporation was observed at $80^{\circ}C$ and -40 cmHg applying saturated vapor pressure depending on different seawater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concentration in the factor test experiment depending on seawater concentration induced the higher evaporation. Also, in the factor test experiment, the amount of evaporation increased as the pressure decreased. It is conclud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evaporation was concentration, the second important factor was temperature, and the least important factor was pressure. Through this experiment, optimized conditions of desalination with reduced pressure evaporation device were verified.

LNG선 manifold platform 재질에 대한 고찰

  • 김봉옥;장해주;김점수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2
    • /
    • pp.40-42
    • /
    • 1994
  • LNG의 선적 및 하역용으로 양현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는 LNG의 MANIFOLD 구조에 있어 LNG의 선적 또는 양하시 Manifold Deck 상에 있는 연결관내의 LNG가 밸브를 통해 누설되어 코밍(coaming)내에서 자영증발 되는 동안, 누설된 저온 LNG가 Deck부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누설된 LNG의 최대 증발시간 및 Manifold Platform 각 부분에 미치는 온도,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부재재질의 효과적인 선정을 기해야 항 것이다. 여기서는 당사가 국내 최초로 건조한 바 있는 Single Loading System LNG선의 Manifold platform에 있어 현업 실적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Secular Change Using Eddy Covariance Method in Yongdam Experimental Catchment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한 용담시험유역의 증발산량 경년변화 분석)

  • Moon, Duck Young;Lim, Kwang-Su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09-210
    • /
    • 2016
  •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수량은 약 1362 mm이며, 총강수량의 약 30% 이상이 증발산을 통해 손실되고 있다고 추정되어지고 있다. 증발산은 물 수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성분이며,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다른 요인들에 비해 직접적인 관측이 어려워 과거에는 경험식을 사용하거나 단순하게 가정에 의해 결정해 왔다. 또한 기상자료로부터 증발산량을 추정하거나 증발접시나 추정식으로 잠재증발산을 추정하고 있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에 따른 홍수의 가뭄의 강도와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자원 관리에 있어서 기초수문조사 항목에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2007년 4월 하천법 개정으로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이 기초수문조사 항목으로 추가되었으며, K-water 연구원에서는 용담시험유역에 플럭스타워를 설치하였고 현재 운영 중에 있다. 덕유산 플럭스타워는 용담시험유역 내에 위치한 금강 수계 구량천 상류부의 덕곡제 유역 내에 설치하였으며, 2011년 4월부터 실제 증발산량을 관측하고 있다. 동경 $127^{\circ}$42'23" ~ $127^{\circ}$44'53", 북위 $35^{\circ}$50'47" ~ $35^{\circ}$52'50"사이로 중부지방에 위치한 유일한 증발산관측 타워이다. 유역 면적은 9.27 km2으로 유로연장 3.48 km, 유역 평균폭 2.66 km, 형상계수는 0.77이며, 덕곡제플럭스 타워 주변의 토지이용은 대부분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활 혼효림과 낙엽송림으로 임상 분포가 이루어져 있다. 주요 관측기기로는 3차원 풍향 풍속계, $CO_2/H_2O$ 기체분석기, 순복사 측정 센서, 지중열플럭스 측정 센서 등이 있다. 2011년부터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였으며, 30분간의 데이터 18,000개 중 취득률 90 % 이상의 데이터를 대상을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1 ~ 2015년도 증발산량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다. 증발산의 패턴은 1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지만 활발하지는 않고, 4월부터 매우 활발해져 8월에 최대치에 이른다. 10월부터 증발산량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며 11, 12월에는 증발산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공통적인 경향을 보였다. 2013년 8, 9월은 다른 해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2013년 8, 9월에 강우가 많이 발생하여 증발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2015년 8월은 다른 년도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증발산량을 보이는데 이는 2015년 8월에 많은 강우에도 식생이 활발하게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Landcover Classific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인공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한강 유역 토지 피복의 공간 분포 산정)

  • Choi, Minha;Han, Se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0-170
    • /
    • 2011
  •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태 및 사용 용도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로 농업, 환경, 재해,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식생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증산과 토양에서 일어나는 증발을 증발산이라 통칭하며, 이의 정확한 산정은 수리, 수문학적 유역 분석에 중요하다. 정확한 증발산의 산정을 위해서는 기압, 온도 등 기상 인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토지피복 특성 역시 증발산에 큰 영향을 주므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취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TM(Thematic Mapper) 영상을 기반으로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ISODATA Training과 Masking기법을 사용하여 한강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토지의 분류는 수역, 시가, 나지, 습지, 초지, 산림, 농지의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이루는 수역, 시가, 산림, 농지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갖는 토지피복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군사경계 외부의 지역도 포함된 결과이다. 단, 나지와 습지, 초지 부분의 정확도는 비교적 떨어지나, 우리나라의 토지특성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결과와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토지피복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군사지역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하여 정확한 증발산 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Understory Evapotranspiration Measured by Eddy-Covariance i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광릉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에디공분산으로 관측한 하부 군락의 증발산)

  • Kang, Min-Seok;Kwon, Hyo-Jung;Lim, Jong-Hwan;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4
    • /
    • pp.233-246
    • /
    • 2009
  • The partitioning of evapotranspiration (ET) into evaporation (E) and transpiration (T)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water cycle and the couplings between the cycles of energy, water, and carbon. In forests, the total ET measured above the canopy consists of T from both overstory and understory vegetation, and E from soil and the intercepted precipitation. To quantify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we have measured ET from the floors of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Gwangneung using eddy covariance technique from 1 June 2008 to 31 May 2009. Due to smaller eddies that contribute to turbulent transfer near the ground, we performed a spectrum analysis and found that the errors associated with sensor separation were <10%. The annual sum of the understory ET was 59 mm (16% of total ET) in the deciduous forest and 43 mm (~7%) in the coniferous forest. Overall, the understory ET was not negligible except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he plant area index was near its maximum. In both forest canopies, the decoupling factor ($\Omega$) was about ~0.15, indicating that the understory ET was controlled mainly by vapor pressure deficit and soil moisture content.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ory ET between the two forest canopies were due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the canopies, particularly the contrasting air humidity and soil water content. The non-negligible understory ET in the Gwangneung forests suggests that the dual source or multi-level models are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and modeling of surface exchange of mass and energy in these forests.

Growth of ZnSe/ZnSe(bulk) Epilayer by HWE Method (HWE 방법에 의한 ZnSe/ZnSe(bulk) 박막 성장)

  • Shin, Yeong-Jin;Jeong, Tae-Soo;Shin, Hyun-Keel;Kim, Taek-Sung;Jeong, Cheol-Hoon;lee, Hoon;Shin, Yeo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 no.1
    • /
    • pp.78-84
    • /
    • 1993
  • Hot-Wall Epitaxy(HWE) 방법으로 ZnSe/ZnSe(bulk) 박막을 성장하였다. 이 때 사용되어진 ZnSe 기판은 승화법으로 증발부분의 온도를 $1160^{\circ}C$ 성장부분의 온도를 $1130^{\circ}C$로 하여 약 2주 동안 직경 20mm, 높이 18mm인 원추형의 ZnSe 단결정을 얻었다. 양질의 ZnSe 박막을 얻기 위한 조건은 증발부분의 온도는 $610^{\circ}C$, 기판의 온도는 49$0^{\circ}C$이었다. ZnSe(bulk) 기판위에 성장한 ZnSe 박막의 광발광에서는 강한 D-A pair emission과 Cu 불순물에 의한 녹색과 적색 발광이 관측되었고 SA 발광은 관측되지 않았다.

  • PDF